
판넨베르크의 기독론
본 내용은
"
판넨베르크의 기독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10
문서 내 토픽
-
1. 판넨베르크의 신학적 배경판넨베르크의 신학 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들로는 칼 바르트, 게르하르트 폰 라드, 그리고 판넨베르크 서클 구성원들이 있다. 바르트의 계시 개념과 폰 라드의 역사 이해, 그리고 판넨베르크 서클에서의 토론과 연구가 그의 신학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2. 판넨베르크 기독론의 특징판넨베르크 기독론의 핵심은 '아래로부터의 기독론'이다. 그는 예수를 신으로부터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건 속의 인간 예수로부터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전통적 기독론의 양성론 문제와 역사적 예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
3. 인간 예수의 삶과 죽음판넨베르크는 예수의 삶과 죽음을 통해 예수의 참된 인간성을 설명한다. 예수는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완전한 개방성을 보였으며, 자신의 운명에 순종하며 죽음을 받아들였다. 이를 통해 예수는 인간의 본질을 대표하는 존재로 나타난다.
-
4. 부활 사건과 예수의 신성판넨베르크에게 부활 사건은 예수의 신성을 확인하는 핵심적인 사건이다. 부활을 통해 예수의 하나님과의 계시적, 본질적, 인격적 통일성이 드러나며, 이는 전통적 기독론의 양성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5. 양성론과 삼위일체판넨베르크는 양성론과 삼위일체 교리가 신학적 사고의 출발점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는 역사적 예수에서 출발해야 하며, 양성론과 삼위일체는 그 내적 논리의 귀결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본다.
-
1. 주제2: 판넨베르크 기독론의 특징판넨베르크의 기독론은 역사적 예수와 신적 그리스도의 통일성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는 예수의 인성과 신성을 모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예수의 삶과 죽음, 부활을 통해 드러나는 그의 신성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예수의 인간적 실존과 경험에 주목하면서도 그의 구원론적 의미를 부각시켰습니다. 이를 통해 판넨베르크는 전통적인 이원론적 기독론을 극복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통일성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
2. 주제4: 부활 사건과 예수의 신성판넨베르크는 예수의 부활 사건을 통해 그의 신성이 드러난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예수의 부활이 단순한 육체적 부활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 사역의 완성이자 새로운 창조의 시작이라고 이해했습니다. 부활을 통해 예수가 단순한 인간이 아닌 하나님의 아들이자 구원자로 확인되며, 이를 통해 그의 신성이 명확히 드러난다는 것입니다. 또한 부활은 예수의 십자가 죽음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그의 인성과 신성이 통일된 모습을 보여준다고 판넨베르크는 주장했습니다.
-
판넨베르크의 종말론 연구 14페이지
Ⅰ. 서 론예수 그리스도 이후 이 천년의 신학은 형이상학 내지 관념론의 지평에서 논의되어 왔으나 오늘날의 신학은 새로운 지평에로 옮겨지고 있다. 곧 역사학, 사회학 자연과학 등이 신학의 새로운 지평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역사라는 지평은 다른 지평을 통합할 만큼 보다 넓은 지평이며 또한 성서적 계시가 발생한 원래의 지평이라고 할 수 있다.) 서남동, "불프하르트 판넨베르크", 현대신학자 20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0), p.165.하나님의 계시가 인간의 언어 형태로 주어진 이래 Text와 Context의 문제는...2023.01.27· 14페이지 -
근대철학이 현대신학에 미친 영향 12페이지
근대철학이 현대신학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1.서론기독교적 지식을 추구하는데 있어서 철학이라는 분야를 제외시켜서도 안되리라는 점이다. 역사상 나타났던 철학사상의 한계 내지 오류를 지켜보면서, 그 가운데에서도 인간으로서의 사유의 솔직성과 더불어 나타났던 철학역사의 흐름을 염도에 두고 음미할 때에는 오히려 사유하는 활동을 통해 우리의 모든 지식과 신앙의 문제를 좀더 분명히 세울 수가 있다. 이것은 철학과 신학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흐름을 부정적으로든 긍정적으로든 관련지어 이해하게 될 때 분명히 드러나게 된다. 특별히 근대철학은 기독교 ...2022.06.24· 12페이지 -
현대 기독론 연구 13페이지
개혁파기독론 세미나현대 기독론 3인방에 대한 고찰1. 바르트의 기독론2. 판넨베르크 기독론3. 몰트만의 기독론Ⅰ. 서 론기독론은 기독교 신학의 중심이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어떤 분으로 믿고 이해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신앙의 입장과 신학적 방향이 결정된다. 필자는 개혁주의 보수 신학교에서 신학을 배우고 Th.M 과정에 진학을 하였다. M.div과정에서 기독론의 주된 주제는 위격 적 연합과 성육신이었다. 더불어 칼빈의 형벌대속 적 속죄론을 배우고 익혔다. 이번학기 개혁파 기독론 수업을 수강하면서 현대신학에서의 기독론에 대해 접할 수...2020.03.22· 13페이지 -
판넨베르크의 성령론 3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FILE:Contents/section0.xml판넨베르크의 성령론판넨베르크의 성령론은 크게 4가지로 나뉘는데, 창조의 영과 삼위일체론 그리고 장의 개념으로서의 성령 이해와 종말론 속 성령이 그것이다.1) 주요 내용 정리1. 창조의 영판넨베르크는 세계는 하나님의 창조라고 여겨질 때 바르게 이해된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현대의 자연과학과 성경적 주제들...2023.08.14· 3페이지 -
불프하르트 판넨베르크의 계시로서의 역사에 관한 연구 20페이지
Ⅰ. 서 론예수 그리스도 이후 이천년의 신학은 형이상학 내지 관념론의 지평에서 논의되어 왔으나 오늘날의 신학은 새로운 지평에로 옮겨지고 있다. 곧 역사학, 사회학 자연과학 등이 신학의 새로운 지평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역사라는 지평은 다른 지평을 통합할만큼 보다 넓은 지평이며 또한 성서적 계시가 발생한 원래의 지평이라고 할 수 있다.. 서남동, "불프하르트 판넨베르크", 현대신학자 20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0), p.165.하나님의 계시가 인간의 언어 형태로 주어진 이래 text와 context의 문제는 끊...2023.01.27· 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