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 사례보고서 CASESTUDY (분만실&병동 실습) 산후출혈 Postpartum hemorrhage (출혈의 위험, 급성통증, 고체온, 감염의 위험, 애착장애의 위험)
본 내용은
"
여성간호학 사례보고서 CASESTUDY (분만실&병동 실습) 산후출혈 Postpartum hemorrhage (출혈의 위험, 급성통증, 고체온, 감염의 위험, 애착장애의 위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28
문서 내 토픽
  • 1. 분만 후 자궁이완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대상자는 산욕부로, 산욕초기에는 WBC가 15,000-30,000mm3 수준으로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상승된 WBC 수치는 정상 반응이다. 보통 1주 내 정상수치(6,000-10,000mm3)로 회복한다. Hb, HCT의 감소는 출혈을 의미한다. 분만 후에는 보통 Hb, HCT 수치가 상승하지만, 대상자의 경우 산후출혈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Hb, HCT 수치가 감소된 상태이다. 원래 Hb의 정상범위는 12-16g/dL이고, HCT은 36-46%이지만 둘다 정상범위보다 낮은 상태이다. ballooning 후에 출혈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소량씩 출혈이 지속되고 있다.
  • 2. 외과적 분만과 관련된 급성통증
    제왕절개 수술 후 절개부위, 장내 가스, 자궁퇴축, 자세, 절개분리 등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한다. 대상자는 NRS 7점으로 강한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빠른 중재를 통해 통증을 완화시키고 안위를 증진해야 한다.
  • 3. 수혈과 관련된 고체온
    수혈로 인해 오한과 발열이 발생할 수 있다. 발열은 간호를 요구하는 생체신호 중 가장 일반적인 증상이며 대상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숙주 방어 작용이다. 대상자는 RBC 수혈 도중 체온 38.3℃로 발열이 발생하였다. 수혈 중 발열은 가벼운 증상일 수 있으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치명적인 부작용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즉시 중재가 필요하다.
  • 4. 외과적 분만으로 인한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감염은 상처치유를 더디게 한다. 대상자는 C/S 시행 후 IUFB 유지, IV catheter, Foley catheter 유지 중이며, WBC 수치가 18.05 10^3/uL로 상승되어 있어 감염의 위험이 있다.
  • 5. 단유와 관련된 애착장애의 위험
    대상자는 2년전 가슴확대수술을 해서 모유수유 하지 않을 예정이며, 직접 단유약을 신청하였다. 이는 신생아와의 애착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외과적 분만과 관련된 급성통증
    외과적 분만은 산모에게 상당한 급성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제왕절개술이나 진공흡입분만, 산도 절개술 등의 외과적 처치는 산모의 신체에 직접적인 외상을 가하므로 심각한 통증을 동반합니다. 이러한 통증은 산모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정신적 스트레스를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산모의 통증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수술 전후 적절한 진통제 투여, 통증 조절 기법 교육, 물리치료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산모의 통증 호소에 귀 기울이고 개인차를 고려한 맞춤형 관리가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산모의 급성 통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주제4: 외과적 분만으로 인한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외과적 분만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침습적 처치는 산모에게 감염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제왕절개술, 산도 절개술, 진공흡입분만 등의 처치는 산모의 신체에 직접적인 외상을 가하므로 세균 감염의 경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감염은 산모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철저한 무균 술기 준수, 적절한 항생제 투여, 상처 관리 등 감염 예방 조치를 강화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감염 징후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신속한 진단과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외과적 분만으로 인한 감염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