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_배론_언어학개론_각종사전에서 새롭게 찾아 본 언어정보는
본 내용은
"
A+_배론_언어학개론_각종사전에서 새롭게 찾아 본 언어정보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7
문서 내 토픽
-
1. 사전사전이란 어떤 범위 안에서 쓰이는 낱말을 모아서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여 싣고 그 각각의 발음, 의미, 어원, 용법 따위를 해설한 책으로 최근에는 콤팩트디스크 따위와 같이 종이가 아닌 저장 매체에 내용을 담아서 만들기도 한다. 과거의 사람들은 집이나 학교에 두꺼운 사전을 두고 뜻을 모르는 단어가 있으면 사전을 열어 단어의 뜻을 찾아보고는 했지만, 최근의 우리는 두꺼운 사전대신 익숙하게 핸드폰을 켜 포털사이트에서 그 단어의 뜻을 검색해본다. 사전은 일정한 순서와 법칙에 의해 그 내용이 배열되어 있으나 상황에 맞게 나에게 필요한 뜻만 확인하고 그 외의 세부적인 정보는 잘 확인하지 않는다. 특별히 한국어에는 '손이 크다'와 같은 관용 표현이 많이 있어 '크다'라는 단어의 본래 뜻과 다른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사전을 통해 여러 가지 뜻과 예문 등을 살펴보는 것이 한국어 학습에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
2. 표제어 선정표제어를 선정함에 있어 가장 먼저 고려한 것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가장 어려운 단어가 무엇일까?'를 생각하는 것이었다. 그러던 중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인스타그래머의 게시물을 본 기억이 떠올라 '찾다'를 표제어로 선정하게 되었다. 외국인 학습자가 '찾다'라는 단어를 어렵게 느낀 이유는 한 단어가 다양한 환경에서 각각 다른 뜻으로 사용되기 때문이었다. 두 번째 표제어로 '우리'를 선정하였다. '우리'는 한국의 한민족 문화를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단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사전에 나타난 여러 가지 언어정보를 확인하고자 한다.
-
1. 사전사전은 언어의 기본 단위인 단어의 의미와 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참고 자료입니다. 사전은 단어의 정의, 발음, 품사, 용례 등을 제공하여 언어 사용자들이 단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사전은 언어의 변화와 발전을 반영하여 새로운 단어와 의미를 지속적으로 수록하므로, 언어 연구와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전은 단순히 단어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사전은 언어 사용자들에게 필수적인 참고 자료이며, 언어 연구와 교육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표제어 선정표제어 선정은 사전 편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표제어는 사전에 수록되는 단어의 기본 형태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단어의 의미, 품사, 용례 등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표제어 선정 시에는 언어 사용자들의 요구와 필요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언어의 변화와 발전을 반영하여 새로운 단어와 의미를 지속적으로 수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언어 연구자, 교육자, 일반 사용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표제어 선정 과정에서 언어의 역사와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사전은 언어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언어 연구와 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