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도행전 17장 1-15에 나타난 바울의 전도 여행
본 내용은
"
사도행전 17장 1-15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4
문서 내 토픽
-
1. 바울의 전도 여행바울은 빌립보를 떠나 암비볼리와 아볼리니아를 거쳐 데살로니가에 도착했습니다. 데살로니가에서 바울은 유대인 회당에 가서 3주 동안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했습니다. 그 결과 많은 경건한 헬라인과 귀부인들이 바울을 따랐지만, 유대인들은 바울을 시기하여 불량배들을 동원해 바울을 잡으려 했습니다. 바울 일행은 밤중에 베뢰아로 피신했고, 베뢰아에서도 유대인 회당을 찾아가 복음을 전했습니다. 베뢰아 사람들은 데살로니가 사람들보다 더 너그러워서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성경을 상고했습니다.
-
2. 복음 전파의 어려움바울이 복음을 전하는 곳마다 순탄하지 않은 상황들이 벌어졌습니다. 데살로니가에서는 유대인들이 바울을 시기하여 불량배들을 동원해 바울을 잡으려 했고, 베뢰아로 피신해야 했습니다. 이처럼 복음을 전파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과 위험이 따랐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방인들이 생명의 길로 걸어가게 되는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
3. 베뢰아 사람들의 태도베뢰아 사람들은 데살로니가 사람들보다 더 너그러웠습니다. 그들은 바울이 전한 말씀을 간절한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바울이 전한 내용이 사실인지 확인하기 위해 날마다 성경을 상고했습니다. 이처럼 베뢰아 사람들은 말씀을 듣고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말씀을 더 깊이 공부하고 묵상하는 자세를 보였습니다.
-
4. 말씀 묵상의 중요성베뢰아 사람들은 바울이 전한 말씀을 간절한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그 내용이 사실인지 확인하기 위해 날마다 성경을 상고했습니다. 이처럼 말씀을 듣는 것만으로는 신앙이 성장하지 않으며, 말씀을 더 깊이 공부하고 묵상하는 과정을 통해 신앙이 성장할 수 있습니다. 우리도 베뢰아 사람들처럼 말씀 묵상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
5. 하나님의 구원 계획바울의 전도 여행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 과정을 통해 헬라의 우상 문화 속에 살고 있는 많은 이방인들이 생명의 길로 걸어가게 되는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이처럼 하나님께서는 전도의 미련한 것으로 믿는 자들을 구원하시기를 기뻐하십니다. 우리도 하나님의 구원 계획 안에서 복음을 전하는 도구로 사용되기를 소망합니다.
-
1. 바울의 전도 여행바울의 전도 여행은 초대 교회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바울은 예수님을 만나 회심한 후 복음을 전하기 위해 여러 차례 전도 여행을 떠났습니다. 그는 당시 로마 제국 내에서 복음을 전파하며 많은 사람들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했습니다. 바울의 전도 여행은 초대 교회 성장의 핵심이 되었으며, 그의 서신서들은 오늘날까지도 기독교 신앙의 기초가 되고 있습니다. 바울의 열정과 헌신은 오늘날 우리에게 복음 전파의 본보기가 되고 있습니다.
-
2. 복음 전파의 어려움복음 전파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릅니다. 당시 바울은 유대인들과 이방인들로부터 많은 박해와 반대에 직면했습니다. 그들은 새로운 복음 메시지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고, 바울을 비방하며 그의 사역을 방해했습니다. 오늘날에도 복음 전파는 여전히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세속화된 사회 분위기, 타宗敎와의 갈등, 그리고 개인주의적 가치관 등이 복음 전파의 장애물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우리는 복음의 능력을 믿으며, 끊임없이 복음을 전파해야 합니다.
-
3. 베뢰아 사람들의 태도베뢰아 사람들의 태도는 복음 수용에 있어 매우 모범적이었습니다. 바울이 베뢰아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바울의 말씀을 열심히 듣고 성경을 탐구하며 진리를 확인하고자 했습니다. 그들은 선입견 없이 열린 마음으로 복음을 받아들였고,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믿음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베뢰아 사람들의 태도는 오늘날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우리도 새로운 진리를 접할 때 선입견 없이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성경을 통해 진리를 확인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진정한 믿음을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
-
4. 말씀 묵상의 중요성말씀 묵상은 그리스도인의 신앙생활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베뢰아 사람들이 보여준 것처럼, 우리도 하나님의 말씀을 열심히 탐구하고 묵상해야 합니다. 말씀 묵상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뜻을 깨닫고, 삶의 방향을 정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말씀 묵상은 우리의 영적 성장을 돕고,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혼란스러운 시대에 말씀 묵상은 더욱 필요합니다. 우리가 말씀에 집중하고 그 말씀대로 살아갈 때, 우리는 하나님의 인도하심 속에서 견고한 믿음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
5. 하나님의 구원 계획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인류 역사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창세기부터 계시록까지 이어지는 성경의 메시지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해 역사 가운데 행하신 구속 사역을 보여줍니다. 바울의 전도 여행은 이러한 하나님의 구원 계획의 일부였습니다. 그는 복음을 전파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했고, 이를 통해 하나님의 구원이 온 세상에 전파되도록 했습니다. 오늘날 우리도 이 구원 계획의 일부가 되어 복음을 전파하고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해 나가야 합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구원 계획에 동참할 때, 우리는 더욱 풍성한 신앙생활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
성경리뷰(빌립보서, 골로세서, 데살로니가전_후서) 4페이지
성경리뷰(빌립보서, 골로세서, 데살로니가전/후서)하나님을 믿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뭘까? 눈으로 직접 보는 것? 영험한 것을 직접 체험해보는 것? 내 기도에 신이 응답해 주시는 것? 신이 있다는 증거? 아니면 그런 것을 다 제외하고 오로지 믿음을 가지는 것? 성경을 읽으면서 문득 생각한 건데 다 아닌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눈으로 봐야 믿는다는 점도 이상하고, 그렇다고 무턱대고 믿는다는 것도 이상했다.사람들은 어떤 연유로 하나님을 믿고 따르는 것일까. 내 생각으로는 하나님을 믿고 따를만한 각자의 ...2023.12.18· 4페이지 -
갈라디아서 2장16~21절 주석 13페이지
갈라디아서 2:16~21까지의 주석과 목 명 : 행전, 바울서신개 신 대 학 원 대 학 교1. 본문의 개인번역과 단어 연구16절 eijdovte" de; o{ti ouj dikaiou'tai a[nqrwpo" ejx e[rgwn novmou, eja;n mh; dia; pivstew" Cristou', !Ihsou' kai; hJmei'" eij" Cristo;n !Ihsou'n ejpisteuvsamen, i{na dikaiwqw'men ejk pivstew" Cristou', kai; oujk ejx e[rgwn novmou: ...2020.09.06· 13페이지 -
사도행전 21장(5p) 5페이지
-사도행전 21장 관찰과 이해-(F. F. 브루스 『사도행전』, 김장복 역[NICNT,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7] 중심)B. 예루살렘으로 가는 여행(20:7~21:16)6. 밀레도에서 두로까지(21:1~6)바울 일행은 밀레도에서 떠나 고스로 갔다. 고스는 도데카네스 제도 가운데 하나로서 BC 5세기 히포크라테스가 설립한 의과대학의 본거지로 유명했다. 다음 날 로도를 거쳐 루기아 남부 해안 바다라에 입항했다. 바울 일행은 원하던 대로 베니게 항구로 가는 배를 갈아타고 두로까지 빨리 갈 수 있었다. 크리소스무스에 따르면 바다라에서...2021.04.28· 5페이지 -
독서감상문(유일한 복음과 거룩한 교회 고린도전후서와 바울신학) - 복사본 5페이지
독서감상문(독후감)제목 : 유일한 복음과 거룩한 교회(고린도전후서와 바울신학)저자 : 김광수출판 : 하기서원고린도전서가 중요한 이유는 ?1 세기 그리스 -로마 사회를 보는 창문이기 때문이다 .?이 창문을 통해 정체성 ,?관계성 ,?신앙 및 실천의 문제와 씨름하고 있던 그리스도인 공동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모습과 특히 고린도교회의 상황과 관련하여 고린도전서의 창문을 통한 정보에 상당한 제약이 없는 것은 아니다 .?또한 ?1 세기 초대교회를 보는 창문이다 .?고린도서들에는 이방의 문화에 둘러싸인 기독교 교회의...2020.09.18· 5페이지 -
데살로니가후서 보고서 6페이지
데살로니가 후서데살로니가전?후서는 공히 기독교이기 때문에 핍박받는 자신이 개척한 데살로니가 교회 교인들을 위로하며 주님의 재림에 대한 진리를 가르치고 있다. 데살로니가전서에는 애정이 넘치는 부드러운 어조로 재림의 임박함을 가르쳤었는데 이 때문에 교인 중 상당수가 일상생활을 경시하고 나태함으로 인하여 교회를 보는 눈이 더욱 나빠졌고 핍박도 심해졌다. 데살로니가 전서를 써 보낸 후 거기에 기록된 주의 재림에 대한 말씀을 잘 이해하지 못하여서 세상일에는 전혀 관심을 가지지 않고 오히려 그런 일은 허무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2021.01.28·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