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모델링에 있어 ERD를 관계형 모델로 사상시킨다. 산출물인 관계들을 데이터모델 설계 툴을 활용하여 작성하시오.
문서 내 토픽
  • 1.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기능 중심 프로세스로 설계하더라도, 고객의 욕구를 먼저 이해하고, 이를 문서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을 요구분석이라고 한다. 이 설계 과정에서는 현재 기업 정보의 구조를 살펴보고, 정보시스템상의 문제점을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만약 새롭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면 고객이 요구하는 핵심 기능들이 무엇인지 리스트업 및 문서화하여, 그에 알맞은 설계가 구현되어야 한다.
  • 2. 개념적 모델링
    요구분석 과정이 끝나면 개념적 모델링을 위해, 데이터베이스 청사진을 그려야 한다. 이를 상세화 하는 작업 및 핵심 업무는 모든 관리 대상 업무에 포괄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중복을 제거하는 일이다. 더불어 정규화 작업이 이루어지는 논리 모델링, 데이터베이스를 실제 구축하는 DBS 선정, 하드웨어 스펙에 따라 알맞은 설계, 구축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
  • 3. 엔티티 및 개념적 모델링
    엔티티 가정쇼핑몰을 제작한다는 가정 아래,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는 상황을 가정해보도록 한다. 고객 엔티티, 제품 이벤트(열람 혹은 이탈), 고객 정보 관리, 주문, 주문하지 않고 장바구니에만 머무는 고객, 아무런 액션을 취하지 않고 이탈한 케이스의 정보들을 수집해야 할 것이다.
  • 4. ERD 작성
    본 ERD 다이어그램은 aquerytool을 이용하였으므로, 5번 테이블까지 무료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이외의 작업들을 정의할 수 있어야 하는데, 시중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툴을 이용했다는 한계점 내에서 최대한으로 표현하자면 위와 같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데이터 관리와 처리를 위한 핵심적인 과정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데이터의 구조, 관계, 무결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 검색, 업데이트가 가능해집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데이터 모델링, 정규화, 인덱싱 등의 기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성능과 확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 2. 개념적 모델링
    개념적 모델링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첫 단계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추상화하여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 과정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엔티티, 속성, 관계 등을 식별하고 이들 간의 논리적 연결을 정의합니다. 개념적 모델링은 데이터베이스의 전반적인 구조를 결정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모델링 기법으로는 엔티티-관계 모델(ER 모델)이 널리 사용되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의미와 구조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개념적 모델링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후 논리적/물리적 모델링 단계에서 구체화할 수 있습니다.
  • 3. 엔티티 및 개념적 모델링
    엔티티와 개념적 모델링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핵심 요소입니다.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객체를 의미하며, 개념적 모델링은 이러한 엔티티와 그들 간의 관계를 추상화하여 표현하는 과정입니다. 엔티티 식별 시 현실 세계의 객체를 정확히 반영해야 하며, 속성과 관계를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개념적 모델링에서는 엔티티 간의 관계 유형(1:1, 1:N, M:N 등)을 정의하고, 이를 ER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엔티티와 개념적 모델링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기반이 되므로 매우 중요하며, 이후 단계에서 논리적/물리적 모델링으로 발전됩니다.
  • 4. ERD 작성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는 개념적 모델링의 결과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엔티티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입니다. ERD 작성은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ERD를 통해 데이터 객체와 그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논리적/물리적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ERD 작성 시 엔티티, 속성, 관계 유형 등을 정확히 식별하고 표현해야 합니다. 또한 ERD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에서 의사소통과 문서화에 활용되므로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다이어그램을 작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모델링에 있어 ERD를 관계형 모델로 사상시킨다. 산출물인 관계들을 데이터모델 설계 툴을 활용하여 작성하시오. 데이터 베이스 설계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2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