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munohistochemistry (IHC) 실험 보고서
본 내용은
"
세포생물학실험 만점(A+) 실험 보고서(레포트) 10. Immunohistochemistry (IHC)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9
문서 내 토픽
  • 1. 면역 염색법
    면역 염색법(Immunostaining)은 세포 또는 조직에서 특정 분자, 단백질 등을 항체를 이용해 가시화하는 방법으로, 특정 단백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세포나 조직에 반응시킨 후, 항체의 결합 반응 후 그 항체의 위치를 관찰하는 생화학적인 방법이다. 면역염색법의 종류로는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 (immunohistochemistry, IHC), 면역 세포 화학 염색법 (immunocytochemistry, ICC), 면역 형광법 (immunofluorescence, IF) 등이 존재한다.
  • 2. IHC 원리
    IHC는 항원 복원 (Antigen retrieval) 과정이 가장 중요한 단계로, 조직을 고정할 때 사용했던 포르말린에 의해 교차결합 (cross-link)된 단백질들의 교차결합을 절단하여 숨겨진 항원을 노출시키는 과정이다. 항원 복원 방법으로는 가열에 의한 HIER 방법과, 단백질 분해 효소를 이용하는 PIER 방법이 존재한다.
  • 3. Cleaved-caspase3 (c-cas3)
    Cleaved-caspase3 (c-cas3)는 apoptosis를 유발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로, 활성화 시 핵안으로 침투하여 핵 기질을 분해한다. Apoptosis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Death signal이 생성되어 Fas 리간드가 Fas에 결합하면 Fas 3량체가 형성되고, 여기에 Fas의 사멸 도메인이 결합하게 되고, 마지막으로 caspase-8까지 결합하게 되면서 세포 사멸 유도 복합체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Pro-caspase-8이 caspase-8로 활성화되고, caspase-8은 Pro-caspase-3를 cleaved-caspase3 (c-cas3)으로 절단한다.
  • 4. IHC 실험 과정
    IHC 실험은 '탈파라핀 - 수화 - 수세 - 항원 복원 - 1차 안티바디 부착 - 2차 안티바디 부착 - ABC 부착 - DAB 반응 - 헤마톡실린 염색 - 청색화 - 탈수 - 투명화 - 봉입' 순서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항체 선택, 항원 복원, DAB 반응 등이 중요한 단계이다.
  • 5. 실험 결과 및 고찰
    실험 결과, 조직이 전반적으로 푸르게 관찰되었으며 갈색으로 염색된 부분은 거의 없었다. 400X 관찰 결과 apoptosis가 거의 발생하지 않은 건강한 조직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실험에 사용한 종양 조직 슬라이드 속 세포들이 대부분 건강하게 살아있는 상태임을 보여준다. 또한 ABC법 사용 시 아비딘의 비특이적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면역 염색법
    면역 염색법은 특정 단백질 또는 항원을 검출하고 분석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이 방법은 조직 내에서 특정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시각화하고 정량화할 수 있어 다양한 생물학적 및 의학적 연구에 활용됩니다. 면역 염색법은 항체와 항원의 특이적 결합 반응을 이용하여 표적 단백질을 검출하며, 형광 또는 효소 표지 항체를 사용하여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조직 내 단백질의 분포, 발현 수준, 세포 내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면역 염색법은 암 진단, 신경 질환 연구, 면역학적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2. IHC 원리
    IHC(Immunohistochemistry)는 조직 내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검출하고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IHC의 원리는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조직 내 표적 단백질에 특이적인 1차 항체를 적용하면 이 항체가 해당 단백질에 결합합니다. 그 후 2차 항체(1차 항체에 특이적인)를 적용하여 1차 항체를 검출합니다. 2차 항체에는 효소 또는 형광물질이 결합되어 있어 이를 통해 표적 단백질의 위치와 발현 정도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IHC는 조직 내 단백질의 공간적 분포와 발현 양상을 확인할 수 있어 다양한 생물학적 및 의학적 연구에 활용됩니다. 특히 암 진단, 면역학적 분석, 신경 질환 연구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Cleaved-caspase3 (c-cas3)
    Cleaved-caspase3(c-cas3)는 세포 자살 과정인 세포 자멸사(apoptosis)의 주요 지표 단백질입니다. 세포 자멸사가 진행되면 caspase-3 효소가 활성화되고 이는 세포 내 다양한 기질 단백질을 분해하여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 c-cas3는 활성화된 caspase-3의 cleaved 형태를 나타내므로, 이를 면역 염색하면 세포 자멸사가 진행 중인 세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cas3 발현은 세포 자멸사 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며, 암 세포 사멸, 신경 세포 사멸, 면역 세포 조절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을 연구하는 데 활용됩니다.
  • 4. IHC 실험 과정
    IHC 실험은 다음과 같은 주요 단계로 진행됩니다. 1) 조직 고정 및 절편 제작: 조직을 적절한 고정액으로 고정하고 박절기를 이용하여 얇은 절편을 제작합니다. 2) 항원 retrieval: 고정 과정에서 변성된 항원을 복원하기 위해 열처리 또는 효소 처리를 합니다. 3) 1차 항체 반응: 표적 단백질에 특이적인 1차 항체를 적용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합니다. 4) 2차 항체 반응: 1차 항체에 특이적인 2차 항체(효소 또는 형광 표지)를 적용하여 1차 항체를 검출합니다. 5) 발색 및 현미경 관찰: 효소 반응 또는 형광 신호를 통해 표적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관찰합니다. 이러한 IHC 실험 과정을 통해 조직 내 특정 단백질의 발현 위치, 수준, 분포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5. 실험 결과 및 고찰
    IHC 실험 결과 및 고찰 부분은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1) 표적 단백질의 발현 양상: 조직 내 표적 단백질의 발현 위치, 수준, 분포 등을 정성적/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2) 결과 해석: 표적 단백질의 발현 양상이 실험 목적 및 가설과 어떻게 부합하는지 고찰합니다. 3) 생물학적 의미 고찰: 관찰된 결과가 가지는 생물학적 의미와 함의를 논의합니다. 4) 추가 실험 제안: 결과에 대한 보완 실험 또는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IHC 실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