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체생리학 - 자율신경계
본 내용은
"
인체생리학 - 자율신경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8
문서 내 토픽
-
1. 신경계의 분류와 자율신경계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와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PNS)로 나눌 수 있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며 뇌(brain)와 척수(spinal cord)로부터 나와 이어지는 뉴런들은 말초신경계에 속한다. 말초신경계는 구심성 신경(afferent nerve)과 원심성 뉴런(effernet nerve)로 구성된다. 감각에 대한 정보는 구심성 뉴런을 통해 중추신경계를 거쳐 원심성 뉴런을 통해 운동성 반응을 일으킨다. 이때, 원심성 뉴런은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을 통해 수의적 조절에 관여하고, 자율 신경계(anutonomous nervous system)을 통해 불수의적 조절에 관여한다.
-
2. 자율신경계의 기능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은 신경절후 뉴런에서 norepinephrine의 방출과 adrenal glands에서의 epinephrine 분비를 통해 신체의 '싸움 혹은 도망' 반응을 활성화한다. 부교감신경은 신경절후 신경세포에서 아세틸콜린 방출을 통해 '휴식과 소화' 형태로 작용하며 길항작용에 관여한다. 신경 절후 뉴런에서 분비되어 효과기에 도달하는 신경전달 물질의 종류에 따라 서로다른 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작용하는 신경전달 물질에 따라 콜린성 시냅스 전달과 아드레 날린성 시냅스 전달로 구분지을 수 있다.
-
3.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의 특성 비교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은 기원, 절전 뉴런과 절후 뉴런의 길이, 신경절 위치, 신경전달물질, 수용체 등에서 차이가 있다. 부교감신경은 뇌줄기와 척수의 천수부에서 기원하며 절전 뉴런이 길고 절후 뉴런이 짧다. 교감신경은 척수의 흉부와 요부에서 기원하며 절전 뉴런이 짧고 절후 뉴런이 길다. 부교감신경은 주로 아세틸콜린을, 교감신경은 노르에피네프린을 신경전달물질로 사용한다.
-
4. 자율신경계의 이중신경지배대부분의 내장기관은 교감신경과 부교감 모두의 신경지배를 받는다. 이때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효과는 서로 길항적일수 있고, 보완적일수 있거나, 협력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심장의 경우 부교감 신경활동 감소와 교감신경 활성 증가로 심박수가 증가하는데, 이는 길항작용이다. 반면 음경의 발기와 사정은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이 협력하는 예이다.
-
5. 부신수질의 기능부신은 교감신경과 관련된 특수화된 신경내분비조직으로, 부신수질은 교감신경계에 의해 자극되면 epinephrine과 norepinephrine을 분비한다. 부신 수질 내에서 척수에서 유래된 교감신경절전뉴런은 부신수질에서 변형된 절후 뉴런인 chromaffin cell과 시냅스를 형성하고, chromaffine cell에서 epinephrine과 norephinephrine이 분비되어 혈관을 타고 표적 조직으로 이동 및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 반응을 유도한다.
-
6. 자율신경 절후 뉴런의 특징자율신경 절후 뉴런의 축산말단은 구슬이 연결된 염주(varicosity)형태로 존재한다. 염주에서 방출된 신경전달물질은 확산되어 수용체가 존재하는 곳에 이동하여, 넓은 범위의 기관이 자율신경계의 조절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체성운동뉴런과 골격근 사이에서 일어나는 것보다 덜 통제된 소통이 일어난다.
-
1. 신경계의 분류와 자율신경계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뉩니다. 자율신경계는 말초신경계의 한 부분으로, 의식적인 조절 없이 자동으로 작용하여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두 신경계가 상호 길항작용을 통해 체내 기관의 기능을 조절합니다. 자율신경계의 이해는 다양한 생리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자율신경계의 기능자율신경계는 체내 항상성 유지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교감신경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교감신경 활성화를 통해 심장 박동 증가, 혈압 상승, 호흡 증가 등의 반응을 일으켜 에너지 동원을 돕습니다. 반면 부교감신경은 휴식 및 소화 상황에서 활성화되어 심장 박동 감소, 혈압 저하, 소화 기능 증가 등의 반응을 유발합니다. 이처럼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3.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의 특성 비교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은 서로 상반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교감신경은 휴식 및 소화 상황에서 활성화되어 심장 박동 감소, 혈압 저하, 소화 기능 증가 등의 반응을 유발합니다. 반면 교감신경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활성화되어 심장 박동 증가, 혈압 상승, 호흡 증가 등의 반응을 일으켜 에너지 동원을 돕습니다. 이처럼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은 서로 길항작용을 하며, 이를 통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자율신경계의 이중신경지배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이중신경지배를 받습니다. 이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서로 길항작용을 하며 체내 기관의 기능을 조절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심장의 경우 교감신경 활성화로 심장 박동이 증가하고, 부교감신경 활성화로 심장 박동이 감소합니다. 이처럼 자율신경계의 이중신경지배는 체내 항상성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체내 기관의 기능이 상황에 맞게 적절히 조절될 수 있습니다.
-
5. 부신수질의 기능부신수질은 교감신경계의 일부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활성화되어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합니다. 이 호르몬들은 심장 박동 증가, 혈압 상승, 호흡 증가 등의 반응을 유발하여 에너지 동원을 돕습니다. 또한 부신수질은 혈당 상승, 지방 분해 등의 대사 과정에도 관여합니다. 이처럼 부신수질은 교감신경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신체의 반응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6. 자율신경 절후 뉴런의 특징자율신경 절후 뉴런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모두에서 말초 기관으로 연결되는 신경 세포입니다. 이 뉴런들은 아세틸콜린을 분비하여 표적 기관의 반응을 유발합니다. 교감신경 절후 뉴런은 노르에피네프린을, 부교감신경 절후 뉴런은 아세틸콜린을 분비하여 각각 다른 생리적 반응을 일으킵니다. 자율신경 절후 뉴런의 이해는 자율신경계 기능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생리학 요점정리1. 생리학의 개요 생리학은 생물체의 생명현상을 탐구하는 학문으로, 주요 개념으로는 원인과 결과, 조화와 균형이 있다. 병태생리학은 질병이나 상해 시의 생리적 변화를 규명하고, 영양병리학은 신체 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영양적인 접근을 다룬다. 2. 인체의 구성 체계 인체는 다세포, 다조직, 다기관, 다기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 조직, 기관, 기관계로 ...2025.01.12 · 의학/약학
-
해부학 중간고사 퀴즈문제 20개1. 신체 구조와 방향 신체를 위 아래로 나누는 면과 용어가 바르게 표시된 것은 수평면(transverse plane), 시상면(sagittal plane), 정중면(median plane)입니다. 흉막(pleura), 심막(pericardium), 복막(peritoneum)은 각각 폐, 심장, 복강 내장을 싸고 있는 막입니다. 연골내골화의 발달과 성장 단...2025.01.12 · 의학/약학
-
가축생리학_1. 호르몬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시상하부 호르몬과 뇌하수체 호르몬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 3. 축산분야에서 사용하는 합성 호르몬의 종류와 각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1. 호르몬의 특징 호르몬은 신체의 내분비기관에서 생성되는 화학물질로, 신경전달물질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지만 보다 광범위한 내분비기관에서 분비되어 혈액을 통해 넓은 범위에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작용한다. 호르몬은 물질대사, 생식, 세포 증식 등에 직접적으로 관계하며, 페로몬, 식물호르몬, 합성호르몬 등도 포함된다. 2. 시상하부 호르몬과 뇌하수체 호르몬...2025.01.25 · 농수산/해양
-
정서와 기분이 장기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일상생활에서 어떤 식으로 관련되는지를 설명하시오.1. 정서의 작동방식 정서의 작동방식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는 상황에 따른 판단이 선행하고 그 뒤에 정서가 유발되며, 신체 반응이 생겨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월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공포나 다른 각성과 연합된 인체의 생리적 변화가 정서의 본질에 대한 신호를 준 다음에 인지적 평가가 가능하다고 주장하였고, 그의 견해는 심리학자 칼 랑게(Ca...2025.01.16 · 심리/행동
-
호흡의 기전과 호흡 조절의 기전1. 호흡의 기전 호흡의 기전은 폐에 근육이 없기 때문에 갈비뼈와 횡경막의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흡식은 횡경막이 하강하고 늑골이 올라가면서 가슴의 기압이 낮아져 공기가 폐 속으로 들어가는 능동적인 과정이다. 호식은 흡식 후 근육들이 이완되면서 가슴우리가 축소되어 공기가 밖으로 나가는 수동적인 과정이다. 정상적인 호흡은 분당 16-20회 정도로 이루어진다. ...2025.01.03 · 의학/약학
-
신경계 사전학습 보고서1.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신경계는 생각, 기억, 판단, 감각, 운동, 인지, 언어, 행동과 인격을 관장하는 중추로서 환경의 변화를 수용하여 해석하고 신체와 정신을 통합하고 조절한다.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성되며, 신경원, 신경아교세포, 신경섬유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경원은 세포체, 수상돌기, 축삭으로 구성되며 신경흥분 전도, 연접, 신경...2025.01.29 · 의학/약학
-
인체생리학- 최근 자율신경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자율신경계의 불균형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자율신경계의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제시하시오. 3페이지
주제: 최근 자율신경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자율신경계의 불균형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자율신경계의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제시하시오.권도희자율신경계는 우리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자발적인 움직임(숨쉬기, 심장박동, 소화운동)을 관리한다. 평상시 이런 움직임은 일정 속도로 안정되어 있지만, 생존을 압박하는 상황에서는 숨쉬기나 심장운동은 빨라지며 소화운동은 정지되는 등 움직임 속도는 달라진다.자율신경계는 불수의 기능을 조절하는 원심성 신경계이다. 평활근, 심장근, 분비샘, 지방조직 등은 자율신경계가 조절한다. 자율신경계는...2023.11.07· 3페이지 -
인체생리학_신경계통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생각해봅시다. 4페이지
인체생리학신경계통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생각해봅시다.1. 외부 구조와 뇌에서 해당되는 기능두뇌의 외부는 4개의 엽, 체감각피질, 소뇌, 엽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대뇌 피질은 오렌지 껍질 두께로 두뇌를 주름으로 감싸고 있어서 넓은 피질이 두개골 안에 들어갈 수 있다. 4개의 엽에 대해서 설명은 아래의 표로 설명하겠다.구분기능특징전두엽기능,문제해결, 계획- 작업기업관여-실행적 이성 센터-양쪽 대뇌반구의 약 50%-계획,고차적 사고, 주의집중, 창의성, 고차적 사고후두엽시각정보 수용하고 처리시각 처리측두엽언어, 청각, ...2022.03.25· 4페이지 -
최근 자율신경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자율신경계의 불균형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자율신경계의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제시하시오. 6페이지
인체생리학과 목 명: 인체생리학이 름:아 이 디:제출일자:Ⅰ. 서론Ⅱ. 본론1.1 자율신경계란?1.2 자율신경계의 불균형1.3 자율신경계의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Ⅲ. 결론서론사람이 긴장하면 가슴이 빠르게 두근거리고 맛있는 음식을 보면 입에 침이 고이며 스트레스를 받으면 소화가 되지 않고 어두운 곳에 들어가면 동공이 커지는 등 이런 증상들은 우리 몸에 자율신경이 있어서 나타나는 것입니다.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서로 반대 작용을 하면서 균형을 맞춰주는데 자율신경은 자동 조절 시스템으로서 우리가 특별하게 신경 쓰지 않아도 ...2024.01.23· 6페이지 -
인체구조와기능[사회적 이슈기반]레포트 8페이지
[ 사회적 이슈 관련 보고서 - 자율신경계 ]목차I. 서론1) 주제 선정 동기II. 본론1) 자율신경 실조증에 의한 미주신경성 실신- 주제에 따른 기사- 미주신경성 실신- 자율신경 실조증2) 주제에 대한 논문- 생리학적 기전- 해결방안(예방과 회복)III. 결론1) 견해2) 느낀점IV. 참고문헌I. 서론최근 COVID-19가 기승을 부리면서 많은 사람들이 너도나도 할거없이 백신접종을 하였다. 하지만 이런 백신접종은 치료가 아닌 예방접종의 의미이며 아직 불확실하고 많이 정착하지 않은 백신이다 보니 부작용이 다양하고 심하면 사망까지 초...2023.03.21· 8페이지 -
인체 생리학 요약본입니다. 41페이지
인체 생리학 요약본? 목차1. 세포막의 물질이동2. 신경세포와 세포막 흥분성3. 자율신경계4. 감각신경계5. 운동신경계6. 뇌의 고등기능7. 근육 생리8. 혈액 생리9. 면역10. 심장 생리11. 순환 생리12. 호흡 생리13. 신장 생리14. 산-염기 조절15. 위장관 생리16. 내분비1. 세포막의 물질이동? 항상성(homeostasis) : 내환경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내환경 : 세포외액의 온도, pH, 전해질농도, 삼투농도,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분압 등을 의미항상성의 조절기전 _ 음성되먹임 : 정상에서 이탈 시 다시 ...2020.12.23· 4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