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와 기분이 장기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일상생활에서 어떤 식으로 관련되는지를 설명하시오.
문서 내 토픽
  • 1. 정서의 작동방식
    정서의 작동방식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는 상황에 따른 판단이 선행하고 그 뒤에 정서가 유발되며, 신체 반응이 생겨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월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공포나 다른 각성과 연합된 인체의 생리적 변화가 정서의 본질에 대한 신호를 준 다음에 인지적 평가가 가능하다고 주장하였고, 그의 견해는 심리학자 칼 랑게(Carl Lange)에 의해 지지를 얻는다. 정서 자극으로 신체 반응(각성)이 일어나고, 의식적인 정서 감정이 생겨난다는 제임스-랑게 정서이론(James?Lange theory of emotion)은 정서에 있어서 신체적 경험을 중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나, 생리학자 캐넌(W. Cannon)에 의해 비판받는다. 캐넌(Cannon)은 자율신경계를 차단해도 정서가 경험되기 때문에, 뇌가 감정을 느끼는 것은 신체의 생리적 변화와 관계없다고 보았다. 또한 감정이 대뇌피질에 의해 조절된다는 James의 이론과 달리 캐논-바드 이론(Cannon-Bard theory)에 의하면 시상하부(hypothalamus)가 정서를 매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때의 신체적 변화와 거의 동시에 정서적 느낌을 경험하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 2. 정서와 장기기억체계
    기억은 크게 장기기억과 단기기억(작업기억 Woking memory)으로 분류된다. 외현기억(explicit memory)과 암묵기억(implicit memory)은 모든 유형이 서로 다른 집합의 신경구조에 자리 잡고 있으며,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된다. 외현기억은 개념 중심의 처리 혹은 '하향식 또는 꼭대기-하향(top-down)' 처리로, 측두엽 회로가 이미지를 형성하여 들어오는 시각 정보가 처리되는 방식에 영향을 주고, 이는 훗날 다시 그 정보의 회상에 영향을 주는 식의 정보를 재조직화하는 처리방식을 거친다. 반면 암묵기억은 정보가 지각된 방식과 비슷한 방식으로 부호화되는데, 즉 정보가 감각수용체를 통해 두뇌로 들어와 피질 영역을 거치면서 처리되며, 이를 두고 데이터 기반의 처리 혹은 '상향식 또는 바닥-상향(bottom-up)'처리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정서의 작동방식
    정서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작동되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정서는 생물학적, 신경학적, 인지적, 사회문화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생물학적으로는 뇌의 특정 영역과 신경전달물질의 활성화가 관여하며, 인지적으로는 상황에 대한 해석과 평가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개인의 성격, 경험, 문화적 배경 등 사회문화적 요인들도 정서 경험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처럼 정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복잡하게 작동하는 심리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정서와 장기기억체계
    정서와 장기기억체계는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정서적으로 강렬한 경험은 장기기억에 잘 저장되며, 이후 회상될 때 당시의 정서적 반응도 함께 재경험됩니다. 이는 정서가 기억 형성과 인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장기기억 속 정서적 경험은 이후 유사한 상황에서 정서적 반응을 유발하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따라서 정서와 장기기억체계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의 상호작용은 인간의 심리와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정서와 기분이 장기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일상생활에서 어떤 식으로 관련되는지를 설명하시오.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0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