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간호실습 사전과제로 분만 1~4기 특징과 간호를 정리한 자료
본 내용은
"
여성간호실습 사전과제로 분만 1~4기 특징과 간호를 정리한 자료입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7
문서 내 토픽
-
1. 분만 1기분만 1기는 규칙적인 자궁수축에서 자궁경관의 완전개대까지를 의미한다. 잠재기, 활동기, 이행기의 3단계로 나뉘며, 초산부의 경우 평균 12~14시간, 경산부는 평균 6~7시간이 소요된다. 간호사정과 간호중재로는 입원간호, 심리적 접근, 지지적 환경 제공, 신체적 준비, 통증 완화, 접촉, 호흡법, 수액 및 식이섭취, 배뇨 간호, 일반위생, 가족관리 등이 있다.
-
2. 분만 2기분만 2기는 자궁경부의 완전개대부터 태아 만출기까지를 의미한다. 초산부의 경우 50분에서 1시간, 경산부의 경우 15분에서 30분 정도가 소요된다. 자궁수축 증가, 선진부 하강, 산부의 수의적 힘주기 등의 특징이 있다. 간호사정과 간호중재로는 잠재기 단계와 적극적인 힘주기 단계의 관리가 있다.
-
3. 분만 3기분만 3기는 태아 만출부터 태반 만출까지를 의미한다. 태반 박리기와 태반 만출기로 구분되며, 태반 박리 징후와 Schultze 기전, Duncan 기전이 있다. 간호사정과 간호중재로는 태반 만출 촉진, 자궁수축제 투여, 안락함과 통증관리, 위생관리, 정보제공, 부모-아기 애착 촉진 등이 있다.
-
4. 분만 4기분만 4기는 태반 만출부터 산후 1~4시간까지를 의미하며, 모체의 생리적 재적응 시기이다. 자궁수축, 출혈, 배뇨, 안위, 수분균형, 모아관계 등에 대한 간호사정과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1. 분만 1기분만 1기는 자궁 수축이 시작되어 자궁 입구가 열리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통증이 가장 심하며, 규칙적인 자궁 수축과 함께 자궁 입구가 점점 열리게 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심리적 지원과 통증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산모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며, 필요에 따라 진통제 투여 등의 처치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호흡법과 이완 기법 등을 교육하여 산모가 통증을 잘 견딜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분만 1기는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단계이므로, 의료진과 산모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필수적입니다.
-
2. 분만 2기분만 2기는 자궁 입구가 완전히 열리고 태아가 산도를 통해 나오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강력한 힘주기와 의료진의 적극적인 도움이 필요합니다. 산모는 자신의 힘을 최대한 발휘하여 태아를 밀어내야 하며, 의료진은 산모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처치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피로도가 매우 높아지므로, 의료진은 산모의 체력 관리와 심리적 지원에 힘써야 합니다. 또한 태아의 상태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응급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분만 2기는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가장 위험한 단계이므로, 의료진과 산모 간의 긴밀한 협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
3. 분만 3기분만 3기는 태반이 분리되어 배출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출혈 관리와 자궁 수축 유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태반 분리 여부와 출혈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약물 투여 등의 처치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자궁 수축을 유도하여 자궁 내막의 출혈을 최소화하고, 산모의 상태를 안정시켜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생명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과 처치가 필요합니다. 분만 3기는 산모에게 가장 위험한 단계이지만, 의료진의 전문적인 관리와 산모의 협조로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
4. 분만 4기분만 4기는 태반 분리 후 2시간 동안의 회복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출혈 관리와 생체 징후 안정화가 가장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산모의 자궁 수축, 출혈 상태, 활력 징후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약물 투여나 수혈 등의 처치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통증 관리와 심리적 지원도 중요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와 태아 모두의 상태가 안정화되어야 하므로, 의료진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분만 4기는 분만 과정의 마지막 단계이지만, 산모와 태아의 생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전문적인 관리가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