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의 국가브랜드 GREAT 캠페인 분석
본 내용은
"
한국외대 문화와국가브랜드 과제-영국 국가브랜드 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4
문서 내 토픽
-
1. 영국의 국가브랜드 GREAT 캠페인영국의 GREAT 캠페인은 2011년에 시작된 영국 정부의 최신 국가브랜딩 전략이자 대표적인 국제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입니다. 이 캠페인은 영국의 위대함을 홍보하며 전 세계 22개국 정부 부처 및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관광 촉진, 자국 교육 홍보, 비즈니스 및 투자 유치, 국제적인 문화 교류와 협력 촉진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GREAT 캠페인은 영국의 다양한 문화와 산업을 홍보하고 비즈니스 파트너로서의 영국의 이미지를 제고하며 영국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고조시키기 위해 10년 이상 전 세계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
2. GREAT 캠페인의 제작 배경GREAT 캠페인의 제작 배경에는 1997년 토니 블레어 총리가 추진한 'Cool Britannia' 캠페인이 있습니다. 당시 영국은 역사와 전통의 이미지가 강했지만,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이미지가 필요했습니다. 토니 블레어는 'Cool Britannia' 캠페인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참신함, 개성과 독창성이 활약하는 혁신적인 영국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이후 2010년 보수당 정권이 들어서면서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는 'Old Britannia'를 강조하며 영국의 전통과 역사에 대한 존중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GREAT 캠페인이 등장했습니다.
-
3. GREAT 캠페인의 구성 요소 및 전략GREAT 캠페인은 주로 'This is Great Britain'이라는 표어로 표현되며, 'Shopping is GREAT', 'Green is GREAT' 등과 같이 'This'의 자리에 다양한 명사를 위치시켜 직관적인 메시지와 인상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니언 잭을 활용한 단순하고 깔끔한 로고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GREAT 캠페인은 다양한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많은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영국의 문화, 산업, 혁신 등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포뮬러 원,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업이 눈에 띕니다.
-
4. GREAT 캠페인의 평가GREAT 캠페인은 국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홍보한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채로운 광고와 이벤트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영국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그러나 비용 대비 효과성, 문화적 다양성 부족, 특정 분야에 편중된 홍보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특히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국제적 입지 변화에 따른 현실과의 괴리, 지역 간 편중 등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향후 GREAT 캠페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영국의 전반적인 국가 이미지를 균형 있게 전달할 필요가 있습니다.
-
1. 영국의 국가브랜드 GREAT 캠페인영국의 국가브랜드 GREAT 캠페인은 영국의 국가 이미지 제고와 경제 활성화를 위해 2011년 시작된 대규모 마케팅 캠페인입니다. 이 캠페인은 영국의 역사, 문화, 교육, 관광,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의 강점을 부각시키며 영국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전 세계에 알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특히 영국의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면모를 강조하여 영국이 세계적인 선도국가로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 주요 목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영국 방문 관광객 증가, 영국 기업의 해외 진출 확대, 영국 내 외국인 투자 유치 등의 경제적 효과를 거두고자 합니다.
-
2. GREAT 캠페인의 제작 배경GREAT 캠페인의 제작 배경에는 영국 정부의 국가 브랜드 강화 전략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영국 경제가 침체되면서 영국 정부는 국가 이미지 제고와 경제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영국의 강점을 부각시키고 영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 GREAT 캠페인을 기획하게 된 것입니다. 특히 2012년 런던 올림픽을 계기로 영국의 국가 브랜드를 전 세계에 알리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영국의 경제 회복과 국가 위상 제고를 도모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
3. GREAT 캠페인의 구성 요소 및 전략GREAT 캠페인은 영국의 다양한 강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 요소와 전략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캠페인의 핵심 메시지인 'GREAT'이라는 브랜드 슬로건을 통해 영국의 위대함과 매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광, 교육, 비즈니스,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국의 강점을 부각시키는 세부 캠페인들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영국 정부와 기업, 관련 기관들이 협력하여 통합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다양한 채널을 활용하여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영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키고 궁극적으로 영국의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4. GREAT 캠페인의 평가GREAT 캠페인은 영국의 국가 브랜드 강화와 경제 활성화에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우선 캠페인을 통해 영국의 긍정적인 이미지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영국 방문 관광객 증가, 영국 기업의 해외 진출 확대, 영국 내 외국인 투자 유치 등의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와 기업, 관련 기관들이 협력하여 통합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는 점에서 캠페인의 효과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영국의 국가 브랜드 가치를 지속적으로 제고하기 위해서는 캠페인의 내용과 전략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혁신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중국인관광객,중국인관관객증가,중국관광객의재방문율,중국관광객의방안목적,중국크루즈관광,중국관광객수용문제점,중국관광객대응및개선방안 48페이지
53% 중국인 관광객 수용태세 개선방안 목 차 Ⅰ. 서론 Ⅱ. 현황분석 1. 중국관광객 증가 2. 중국관광객의 재방문율 3. 중국관광객의 방한 목적 및 경상지역 방문지 , 입국경로 4. 중국 크루즈 관광 Ⅲ. 중국관광객 수용 문제점 3. 홍보 및 마케팅 부족 4. 크루즈 측면 문제 Ⅳ. 대응책 및 개선 방안 1. 언어불편 문제 개선 2. 관광서비스 품질향상 3. 마케팅 활성화 4. 크루즈 문제 해결 방안53% 중국인 관광객 수용태세 서론 및 현황분석 Category 01 1. 서론 2. 현황분석문제 인식 및 조사 목적 Ⅰ. 서론 ‘...2022.03.07· 48페이지 -
영국왕실 국가브랜드 전략 18페이지
영국왕실 국가브랜드 전략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목 차 영국 소개 영국왕실 소개 및 이미지 사건으로 보는 왕실 영국왕실 - 마케팅 SWOT 분석 및 결과도출 전략 수립 및 파급효과영 국 위치 : 유럽 대륙 서쪽 북대서양 경위도 : 서경 2° 00, 북위 54° 00 면적 : 244820 ㎢ 수도 : 런던 (London) 종족구성 : 앵글로 색슨족 , 켈트족 공용어 : 영어 종교 : 성공회 50%, 로마가톨릭교 11%, 개신교 및 기타 39% 국가원수 : / 국무총리 엘리자베스 ...2019.06.10· 18페이지 -
이니스프리 - 제주도문화마케팅 제안 31페이지
이니스프리 - 제주도 문화마케팅 제안Index 기업개요 환경분석 문화마케팅 제 안기업개요Summary Innisfree : 영국 시인 , 예이츠의 시 “ innisfree ” 에서 유래 Vision : Great, Global, Green Mission : 제주 Heritage 강화 , Fast 화장품 , 세계화 ( 제주 청정 원료 개발 , 제주 사회 공헌 ) - Sales : 2012 년 2294 억원 , 2013 년 2328 억원 , 2016 년 6567 억원 ( 업계 2 위 )2000. 국내 최초의 자연주의 화장품 , 이니스프...2018.02.18· 31페이지 -
테스코 [Tesco] - 영국의 글로벌 유통기업 28페이지
테스코 [Tesco] - 영국의 글로벌 유통기업목 차 TESCO 의 브랜드 관리 TESCO 와 Sub-brand Green Shield Stamps campaign TESCO 의 브랜드 확장 전략 TESCO 해외 진출 전략 TESCO Ireland 와 TESCO Lotus 한국 진출 전략 UK 슈퍼마켓 시장 상황 분석 TESCO vs. ASDA. Sainsbury’s UK 시장 내 환경 이슈 TESCO 내부 역량 분석 연혁 및 성장과정 사업 영역 및 Brand Line TESCO 의 두 원칙TESCO 미국의 월마트 , 프랑스의 까르...2017.09.28· 28페이지 -
[경영전략]노키아의 한국시장에서의 실패사례 26페이지
노키아의 한국시장에서 실패사례- 목 차 -? 노키아란 어떤 회사인가??? 노키아의 연혁? 세계시장에서의 노키아의 위상? 노키아는 어떻게하여 세계시장속에서 선두기업이되었는가?? - 노키아의 국제경영전략- 기업비젼- 핵심역량- 기업문화 및 조직구조? 노키아의 국제경영전략 및 마케팅전략- 노키아의 글로벌경영전략 : 표준화와 현지화- 노키아의 글로벌경영전략의 특징? 노키아는 한국에서 어떤 전략을 펼쳤는가??- 삼성 애니콜과의 전략비교? 노키아는 왜 실패했는가??- 노키아의 실패요인과 삼성의 성공요인의 비교? 노키아란 어떤 회사인가??- 노...2006.06.05· 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