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실습 - 수술실 실습 보고서
본 내용은
"
성인간호실습 - 수술실 실습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4
문서 내 토픽
-
1. Parathyroidectomy (부갑상샘절제술)Parathyroidectomy(부갑상샘절제술)은 Parathyroid adenoma (부갑상샘선종)의 치료법 중 하나로, 부갑상샘을 직접 제거하는 시술이다. 부갑상샘선종은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을 동반하여 칼슘, 인산 및 골 대사에 이상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부갑상샘절제술은 악성종양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있는 부갑상샘선종을 미리 제거함으로서 암 발병 확률을 낮추기 위해 시행한다. 수술 적응증으로는 2003년 K/DOQI 가이드라인에서는 6개월 이상 내과적 치료로 해결되지않는 고칼슘혈증이나 고인산 혈증 환자에서 부갑상선 호르몬이 800 pg/ml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고, 부갑상선 호르몬 증가와 칼시피락시스가 있는 경우, 병적 골절이나 골밀도가 -2.5 이상 감소된 경우, 가려움증, 골 통증, 심한 혈관 석회화 및 근육병증 발생 시 적용된다.
-
2. 수술 전 준비1. 환자 도착 전 소독 간호사는 수술 가운 및 장갑을 착용하고 수술 물품을 준비한다. 순환간호사는 기계 정상 작동여부를 확인한다. - 거즈 및 블레이드, 수술 물품의 계수를 확인한다. 2. 환자 도착 후 수술 침대로 환자를 옮기고, 환자 확인을 위해 개방형으로 환자에게 직접 물어본다. (성함, 수술부위, 등록번호 등등)3. 순환간호사는 수술 전 준비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체위를 취해준다. (피부상태 및 흔들리는 치아 확인, 체위 : 앙와위, 목 과신전) 4. 환자에게 EKG, SpO2, NIBP, Plate를 적용하고 마취과 전문의가 Time out을 실시 한 후 환자에게 마취 주의사항을 설명 후 마취를 시행한다. (Intubation set 적용)5. 순환간호사는 다른 의료인들의 수술용 가운 착용을 돕는다. 6. 수술 부위를 소독한 후 수술 부위를 제와한 나머지 부분을 멸균포로 덮는다. 7. 'Time out' 집도의가 무슨 수술인지 예상되는 주의사항 및 수술시간을 설명한다.
-
3. 수술 중 간호활동8. blade 와 bovie를 이용하여 목 부분 피부를 2cm 절개한다.9. 절개한 부위의 띠 근육들을 중앙으로부터 분리한다. 10. 기관전의 부분을 절개하고, 부갑상샘 선종을 육안으로 확인한다. 11. 육안으로 확인한 선종 부분을 절개하고 동결절편검사를 보낸다. 1차 (2개)12. 동결절편검사 결과 선종으로 판단되어 2차 동결절편검사를 위해 절제 후 검체를 보낸다. 2차 (1개)13. 2차 동결절편검사 결과 정상으로 판단되어 병리검사를 위해 조직을 절제한다. (3개)14. 수술 후 삼출물 제거를 위해 J-P 배액관을 적용한다. 15. 출혈을 컨트롤하기 위해 collastat 3ml(젤타입 지혈제), mediclove 3cc(유착방지제)를 적용한다. 16. 봉합 전 순환간호사와 소독간호사는 거즈, 니들 count를 실시한다. 17. Suture set 이용하여 woind closure (상처봉합)을 실시한다. 18. 봉합부위에 dressing을 적용한다.
-
4. 마취 회복 관찰19. 마취의사 및 마취간호사는 환자를 마취에서 풀리게 하며, 수술이 끝났음을 알리고 의식상태를 확인한다. 20. 간호사는 환자를 수술침대에서 Stretcher car로 옮기고 환자를 회복실로 옮긴다. 21. 소독간호사 및 순환간호사는 수술에 사용된 기구 및 물품을 정리한다. 22. 순환간호사는 수술 중 사용된 물품 및 간호활동을 기록한다.
-
5. 배액관 관리 교육1. 배액관의 올바른 형태 - 배액관이 꼬이게 될 경우 제대로 배액이 되지 않기 때문에 배액관이 꼬여있는지 확인한다. - 배액주머니가 수술부위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하여 배액을 원활하게 한다. - 체위 변경 시 배액관이 침상 난간에 걸려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옷핀으로 환의에 고정한다. 2. 배액 양상 확인- 수술 후 시간이 점차 지나갈수록 양이 적어져야 한다.- 삼출물의 색깔이 새빨간 색깔로 혈액성을 나타낼 경우 새로운 출혈이 발생한 가능성이 있어 의료진에게 알려야한다. 3. 배액관의 관리방법- 배액관은 음압을 이용하여 체내에 있는 삼출물 등을 밖으로 빼내는 것이기 때문에 배액주머니에 음압이 유지되어야 한다. - 배액관의 내용물이 1/3~1/2 정도 차게 되면 배액주머니를 비워줘야 한다. 배액된 삼출물에서 세균이 증식하여 감염으로 번질 수 있기 때문이다.
-
1. Parathyroidectomy (부갑상샘절제술)부갑상샘절제술은 부갑상샘 과활성증 환자에게 시행되는 수술로, 과도하게 분비되는 부갑상샘을 제거하여 정상 수준의 부갑상샘 호르몬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수술은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이지만, 수술 전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수술 전 철저한 검사와 평가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수술 중에는 부갑상샘 조직을 정확히 확인하여 제거해야 합니다. 또한 마취 회복 시 저칼슘혈증 등의 합병증을 면밀히 관찰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해야 합니다. 배액관 관리 교육을 통해 환자가 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전반적으로 부갑상샘절제술은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수술 전후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2. 수술 전 준비부갑상샘절제술 수술 전 준비는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환자의 병력, 검사 결과, 투약 내역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수술 전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특히 부갑상샘 기능 검사, 영상 검사, 심전도 등을 통해 부갑상샘 과활성증의 정도와 동반 질환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수술 전 영양 상태 평가와 함께 필요 시 영양 보충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수술 전 금식, 투약 중단, 피부 준비 등의 지침을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이해시켜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수술 전 불안감 해소를 위한 심리적 지지도 중요합니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수술 전 준비를 통해 수술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3. 수술 중 간호활동부갑상샘절제술 수술 중 간호활동은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수술 전 준비 사항을 확인하고, 수술 중 환자의 활력징후와 의식 수준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특히 저칼슘혈증, 출혈, 호흡 저하 등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필요 시 신속하게 의사에게 보고하고 적절한 처치를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수술 중 무균 술기를 철저히 준수하여 감염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수술 후 회복을 위한 준비 작업도 병행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활동을 통해 수술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4. 마취 회복 관찰부갑상샘절제술 후 마취 회복 관찰은 매우 중요합니다. 마취에서 깨어나는 과정에서 저칼슘혈증, 호흡 저하,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회복실에서 환자의 활력징후, 의식 수준, 출혈 여부 등을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특히 저칼슘혈증 발생 시 신속한 칼슘 보충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통증 관리와 함께 구토, 오심 등의 증상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관찰과 관리를 통해 수술 후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습니다. 마취 회복 관찰은 부갑상샘절제술 성공을 위한 필수적인 간호활동입니다.
-
5. 배액관 관리 교육부갑상샘절제술 후 배액관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배액관은 수술 부위의 혈액이나 체액을 배출하여 감염 및 혈종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배액관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합니다. 먼저 배액관의 목적과 기능, 관리 방법 등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충분히 설명해야 합니다. 배액관 삽입 부위의 관찰, 배액량 확인, 배액관 고정 및 교환 방법 등을 교육해야 합니다. 또한 배액관 관련 합병증 발생 시 대처 방법도 안내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교육을 통해 환자와 보호자가 배액관 관리를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수술 후 합병증 예방과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성인간호학 실습 사례연구보고서(케이스) - 수술실 30페이지
실습 후 학습-성인간호학실습Ⅰ-?실습기관:?실습기간:?제출일자:?지도교원:? 대학교 간호학과? 학년 반 번?성명:목차1. 관찰한 수술실 환경2. 수술 대상자 현황표3. 첫 번째 수술 환자 사례 연구1)일반적 배경2)진단을 위한 계획 및 결과3)치료를 위한 계획 및 결과4. 두 번째 수술 환자 사례 연구1)일반적 배경2)진단을 위한 계획 및 결과3)치료를 위한 계획 및 결과1. 관찰한 수술실 환경- 초록색 : 제한구역 / 노란색 : 준제한구역- 준제한구역에서 제한구역으로 들어올 때 미세먼지를 날리기 위해 강한 바람이 3초정도 큰 소리...2020.05.18· 30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수술실 실습전 과제 14페이지
실습 전 학습-성인간호학 실습Ⅰ-■ 실습기관 :■ 실습기간 :■ 제출일자 :■ 지도교원 :■ 수간호사 :1) Scrubbing의 목적, 방법, 주의점에 대해 학습하시오.1.내과적 손씻기①목적미생물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손의 더러움이나 일시균을 제거하여 상주균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②방법1. 세면대 앞에 선다. 손을 씻는 동안 유니폼이 세면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2. 장신구는 빼고 가능하다면 안전한 장소에 보관한다. 납작한 모양의 결혼반지는 허용되기도 한다.3. 물을 틀어 세기와 온도를 조절한다. 물이 ...2023.06.29· 14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III 실습일지 10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 III 실습일지(학생용)임상실습일지학년/반4D실습기간2021.03.15. - 2021.03.26학번이름요일/시간실습내용 (1일차)월09:10- 17:301) 1-2교시 : OT100점사전학습 및 의학용어저널리뷰술기vSim사례연구 보고서출석2055303010- 흡인시간 : 1회 흡인 시 10-15초 이내- 흡인간격 : 20-30초, 총 흡인시간은 5분 넘지 않도록 함.- 흡인 시 유의할 점 : 저산소증, 기관지 점막 손상, 심부정맥, 감염, 무기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환자 상태 및 반응사정2) 3-4교시 : 사전 학습...2022.01.25· 10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 수술실 간호과정보고서 7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 성인간호학 실습 lI -(1) 일반적 배경성명 : 박OO성별 : 남성연령 : 18세입원배경(동기) : 상기환자 특별한 med 하지 않는 자로 1년 전 미래로 21 병원에서Wedge resection 시행 받았으며 내원 1시간 전부터 흉통있어광주기독병원 내원 후 시행한 CXR 상 Lt. PNX 관찰되어 평가및 처치 위해 전원됨.(2) 치료를 위한 계획 및 결과2.1 수술 및 질환에 대한 이론적 배경폐의 해부 생리스펀지 같은 반추형 모양의 기관으로 흉강에 존재하며, 폐의 상단을 폐첨, 아랫부분을 폐저라 한다. 우폐는 수...2021.02.13· 7페이지 -
A+ 간호학과 성인실습 윤리보고서 3페이지
성인실습윤리보고서3. 임상간호 현장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갈등과 문제1) 임상현장에서 학생간호사로서 혹은 간호사로서 경험하게 되는 윤리적 갈등 및 문제 상황에 대한 구체적기술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 대부분 입원 당시부터 L-tube가 연결되어 있었으며, 식사는 모두 L-tube를 통해서 드셨다. 수술 후 보통 회복을 위해 중환자실에 오는 환자가 빈번하게 있었지만 주로 억제대를 사용한 환자분들은 입원 일수가 2주 이상이고, 의식이 drowsy 및 stupor인 환자들이 대다수로 확인되었다. 환자 중 환자는 억제대를 하지 않을 때 손 부...2024.02.01·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