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실습 케이스스터디 -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본 내용은
"
성인간호실습 케이스스터디 -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0
문서 내 토픽
  • 1. 면역력 저하에 따른 감염 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대상자는 65세의 고령으로 가족력상 Anemia가 있으며, 본원에서 AML을 진단받았다. 8/22 LMC에서 splenomegaly와 Pancytopenia 소견으로 내원하였고, 9/20 수혈 후 fever가 발생하였다. 평균 37.9°C의 고체온 상태가 지속되며 피부 열감, 오한, 식욕부진, 구역 및 구토 증상이 있다. Leukopenia로 인해 항생제를 유지 중이며, 해열, 진통, 소염제를 적용하고 있다. 염증 관련 검사 수치(ANC, LUC, CRP)의 증가를 보였다.
  • 2. 구토, 오심에 따른 식욕 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대상자는 8/22 LMC에서 splenomegaly 소견을 받았다. 입원 전부터 식욕 부진, 구역감, 구토 증상으로 식사량이 적었고, 입원 후에도 영양 섭취 부족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최근 2-3kg의 체중 감소가 있었다. 오심 및 구토로 인한 음식 기피 증상이 있어 현재 NPO 상태이며, TPN으로 영양 공급 중이다. 복통, 소화불량, 설사, 변비 증상도 있다. 영양 관련 검사 수치(T. protein, Albumin, T. Calcium)의 저하를 보였다.
  • 3. 혈소판 수치 저하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대상자는 65세의 고령으로 가족력상 Anemia가 있었다. 8/22 LMC에서 splenomegaly와 Pancytopenia 소견으로 내원하여 AML을 진단받았다. 특히 Leukopenia와 낮은 혈소판 수치를 보였다. 말초 정맥으로 TPN을 적용 중이며, 오심 및 구토로 인한 음식 기피로 영양 섭취가 부족하다. 피부는 건조하고 입술이 갈라져 있으며, Rt. wrist에 멍이 관찰되었다. 출혈 관련 검사 수치(Plt, Reticulocyte, PT, aPTT)의 이상을 보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구토, 오심에 따른 식욕 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구토와 오심은 식욕 저하를 유발하여 영양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만성 질환자나 암 환자에게서 자주 관찰되는데, 이로 인한 체중 감소와 영양 결핍은 질병 경과와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토와 오심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항구토제 투여, 소량 다빈도 식사, 영양 보조제 섭취 등의 방법을 통해 식욕과 영양 섭취를 개선하고 영양불균형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선호도와 소화 능력을 고려한 맞춤형 식단 제공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