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리학 자율신경계 부교감신경 약물
본 내용은
"
약리학 자율신경계 부교감신경 약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0
문서 내 토픽
-
1. 부교감신경 효현제 (agonist)부교감신경 효현제는 M1 수용체에 작용하여 자율신경절, 중추신경, 심장, 평활근, 분비선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주요 작용으로는 심장 박동수 및 수축력 저하, 중추신경 평활근 수축, 분비선 분비 항진 등이 있습니다. 분자기전으로는 PLC 활성화를 통한 IP3 및 DAG 생성, 세포내 Ca2+ 증가, PKC 활성화, K+ 통로 활성화, AC 억제 등이 관여합니다.
-
2. 부교감신경 길항제 (antagonist)부교감신경 길항제는 M1, M2, M3, M4, M5 수용체에 작용하여 부교감신경 효과를 차단합니다. 주요 적응증으로는 위장관 경련성 통증, 유기인 중독 해독, 진단/치료 목적의 산동, 기관지천식 증상 완화, 과민성 방광 증상 치료 등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아트로핀, 사이클로펜톨레이트, 부스코판, 디사이클로민 등이 있습니다.
-
3. 신경근 차단제신경근 차단제는 신경근 접합부의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골격근 이완을 유발합니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석시콜린, 아트라쿠리움, 시사트라쿠리움, 로쿠로니움, 베쿠로니움 등이 있습니다. 마취 시 근이완 유지, 기관내 삽관 등에 사용되며, 중증근무력증 환자에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4.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는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하여 부교감신경 효과를 증강시킵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 중증근무력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피리도스티그민 등이 있습니다.
-
5. 항무스카린성 약물항무스카린성 약물은 무스카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부교감신경 효과를 억제합니다. 주요 적응증으로는 과민성 방광, 위장관 운동 항진, 진단/치료 목적의 산동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펠소테로딘, 플라복사이트, 글리코피롤레이트, 옥시부티닌, 솔리페나신, 트로스피움 등이 있습니다.
-
1. 부교감신경 효현제 (agonist)부교감신경 효현제는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 신체의 휴식과 회복 기능을 증진시킵니다. 이러한 약물은 주로 소화기계, 비뇨기계, 심혈관계 등의 기능을 조절하는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아세틸콜린은 대표적인 부교감신경 효현제로, 장관 운동을 증가시키고 방광 수축을 유발하는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은 부교감신경계 기능 저하로 인한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과도한 사용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
2. 부교감신경 길항제 (antagonist)부교감신경 길항제는 부교감신경계의 활성을 억제하여 신체의 교감신경계 활성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킵니다. 이러한 약물은 주로 과도한 부교감신경계 활성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하는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아트로핀은 대표적인 부교감신경 길항제로, 과도한 타액 분비, 방광 수축, 심박수 감소 등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은 부작용으로 인해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녹내장, 전립선 비대 등의 환자에게는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신경근 차단제신경근 차단제는 신경과 근육 사이의 신경전달을 차단하여 근육 이완을 유발하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주로 마취 및 수술 시 근이완을 위해 사용되며, 중증 근무력증 등의 신경근 질환 치료에도 활용됩니다. 대표적인 신경근 차단제로는 d-튜보큐라린, 베큐로늄, 아트라쿠리움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은 호흡근 마비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신장 또는 간 기능 저하 환자에게는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고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4.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는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하여 부교감신경계 활성을 증가시키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주로 치매, 파킨슨병 등의 신경계 질환 치료에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로는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은 부작용으로 구토, 설사, 두통, 어지러움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심장 질환, 폐쇄각 녹내장 등의 환자에게는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고 부작용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5. 항무스카린성 약물항무스카린성 약물은 아세틸콜린의 수용체인 무스카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부교감신경계 활성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주로 과도한 부교감신경계 활성으로 인한 증상 완화에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항무스카린성 약물로는 아트로핀, 스코폴라민, 옥시부티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은 구강 건조, 시력 장애, 배뇨 장애, 심박수 증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녹내장, 전립선 비대 등의 환자에게는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고 부작용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약리학의 기초!!(정신과 및 질병 및 약기전/각각 호흡기계, 순환기계 등 분류)1. 자율신경계 약리 항정신병 약,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들의 작용 기전과 사용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순환기계 약리 심부전, 허혈성 심질환, 고혈압 등 순환기계 질환에 사용되는 약물들의 작용 기전과 사용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3. 빈혈 및 조혈계통 약리 빈혈 치료를 위한 철분제, 비타민 B12, 엽산 등...2025.04.28 · 의학/약학
-
간호 약리학 문제만들기1. 약리학 1. 치료제 승인 단계 중 2상 임상시험은 특정 질환에서 선정된 100~300명의 대규모 환자군에게 약물을 투여한다. 2. 약물의 흡수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지용성 약물이 수용성 약물보다 흡수가 더 빠르다. 3. 간 미세소체 효소 복합체는 사이토크롬 P-450 체계라고 부른다. 4. 약물의 치료지수는 중간치사용량/중간효과용량이다. 5. 작용제...2025.05.08 · 의학/약학
-
[약리학] 약리학 총론 정리 [핵심 약리학, 은학사, 교과서 정리, 핵심정리, 요약]1. 제제명 제제명은 일반명이라고도 하며, 각국의 권위 있는 공정서에 수록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을 말한다. 2. 임신범주 임신 중 약물 사용에 대한 5가지 범주로 구분되며, A, B, C, D, X 범주로 나뉜다. 태아에 대한 위험성 정도에 따라 구분된다. 3. 약리작용의 종류 약리작용은 흥분작용과 억제작용, 직접작용과 간접작용, 전신작용과 국소작용,...2025.05.10 · 의학/약학
-
간호학과 약리학 A+ 중간고사, 기말고사 요약정리본 (완전꼼꼼, 성적인증)1. 약리학 총론 약리학은 약물의 작용 기전, 약물의 체내 동태, 약물의 치료 목적 등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약물은 정상보다 항진되거나 저하된 생리적 기능을 정상 상태에 가까워지게 하는 화학물질입니다. 약물의 작용 기전은 세포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는 것이 주요하며, 이온통로 개폐, 효소 억제 등의 기전으로도 작용합니다. 약물은 흡수, 분...2025.01.16 · 의학/약학
-
약리학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PPT A+ 자료 89페이지
약리학 -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목 차 서론 1) 자율신경계란 ? 2. 본론 2)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 콜린성 효능약 - 콜린성 길항약 - 아드레날린성 효능약 - 아드레날린성 길항약 3. 결론 3)Q A 4. 참고문헌신경계통 (nervous system) 우리 몸 안팎에서 일어나는 여러 자극을 수용하고 이를 종합 . 분석 몸을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세포들이 적절한 반응을 일으켜 생명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 . 통제 1. 자율신경계란 ?신경계의 분류 뇌 중추신경계 척수 ③ 체성 신경계 ①원심성 신경 교감신경계 말...2020.12.15· 89페이지 -
[약리학] 자율신경계/중추신경계 정리 보고서 9페이지
REPORT‘자율신경계/중추신경계’과 목약리학담 당 교 수학 번이 름제 출 일Chapter 1. 자율신경계신경계는 뇌, 척수, 신경, 감각수용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감각 및 운동조절을 포함하는 신체의 기능을 조절하고 통제한다.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성되어있다.- 중추신경계 : 뇌와 척수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반응하여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신체적 반응을 일으키게 한다.- 말초신경계 : 체성신경계와 자율신경계로 나뉜다.→ 체성신경계 : 몸의 각 부분에 있는 감각기관의 중추, 또는 중추와 골격근 사이를 연결...2021.07.24· 9페이지 -
부교감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3페이지
약리학 과제물※ 부교감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1. 콜린성 신경 활성?콜린성 : 부교감신경계의 신경 & 수용체- 신경전달물질 : Ach (아세틸콜린)- 콜린성 신경 : Ach방출 신경- 콜린성 수용체 : 콜린성 자극에 반응하는 수용체(항콜린성 약물 : 무스카린 수용체를 차단하는 약물)?아세틸콜린 : 콜린성 신경종말에서 합성- 신경자극 = 콜린성수용체와 결합하는아세틸콜린을 유리시킴→ 부교감 신경 자극※ 콜린성 신경말단의 신경호르몬 전달의 개요① 신경종말에서 흡수된 콜린이 아세틸 CoA와결합하여 아세틸콜린으로 변화② 아세틸콜린 : 부...2023.03.02· 3페이지 -
[간호] 콜린성 제제와 항콜린성 제제 4페이지
기초간호과학Ⅴ(약리학)[설명]콜린성 제제와 항콜린성 제제 설명[목차]① 아세틸콜린과 콜린성 신경② 부교감신경계 약물들의 분류와 명명③ 콜린성 약물의 임상적 사용④ 항콜린성 약물의 임상적 사용① 아세틸콜린과 콜린성 신경아세틸콜린을 분비하는 신경이란? 콜린성 신경이라고 불린다. 콜린성 수용체는 결합하는 특정한 화학물질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뉜다.㉠니코틴 수용체: 수용체에 니코틴이 결합하기 때문에 불렸으며,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모두의 신경절에 위치㉡무스카린 수용체: 수용체에 무스카린이 결합하기 때문에 불렸으며, 부교감신경계의...2021.01.02· 4페이지 -
자율신경계 약물 62페이지
Drugs that affect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11. 자율신경계의 개념 2. 아드레날린성신경에 작용하는 약 3. 콜린성신경에 작용하는 약 Contents 아드레날린성약(교감신경 흥분약) 아드레날린성 차단약(교감신경 억제약) 콜린성약(부교감신경 흥분약) 콜린성 차단약(항콜린성약, 부교감신경 억제약) 자율신경절 차단약 2Autonomic Nervous System Autonomic Nervous System 개념 1 3Autonomic Nervous System 개념 중추신경계(central ner...2021.10.16· 6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