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D 2주 데일리일지
본 내용은
"
PED 2주 데일리일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9
문서 내 토픽
  • 1. brochiolitis
    모세 기관지염은 호흡기에서 가장 작은 가지인 세기관지에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최근에는 세기관지염이라고 합니다. 호흡기는 코에서부터 시작해 상부 기관지를 거쳐 점점 더 작은 기관지로 나뭇가지처럼 분지되어 마침내 폐포까지 이르게 됩니다. 폐포 바로 상부의 가장 작은 기관지 분지를 세기관지라고 합니다. 세기관지는 직접 폐포로 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폐포는 이를 받아 혈액으로 산소 공급을 합니다.
  • 2. 산소텐트
    산소결핍이란 생체조직이 충분한 산소를 취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원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흡기 중의 산소농도가 낮다. ② 폐포에서 혈액에 산소가 좀처럼 이행되지 않는다. ③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이 적다. ④ 조직으로 가는 혈류가 나쁘다. ⑤ 산소가 있어도 조직이 이것을 이용하지 못한다. 이상의 5가지 중, 산소요법은 ①~④의 상태에만 유효하다. 고농도의 산소를 흡입하면 혈액의 산소분압이 올라가고, 혈액 속에 용해하는 산소와 헤모글로빈과 결합하는 산소도 증가하기 때문에, 그만큼 조직은 산소공급을 받게 된다.
  • 3. 장염
    장염(gastroenteritis)이란 장(소장, 대장)에 염증이 생기는 모든 질병을 일컫는 광범위한 용어로, 크게 세균성 장염과 바이러스성 장염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경우 음식 섭취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식중독과 구분이 어렵기도 하다. 장염에는 콩,두부,치즈,계란,쇠고기,닭고기,지방이적은생선,바나나,매실 등이 좋고, 찬 음식, 기름기가 많은 음식, 우유 및 치즈 등의 유제품, 과일은 삼가는 것이 좋다.
  • 4. 폐렴
    세균 및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로타바이러스 장염(소아) : 발병초기 감기 증세, 2-3일 구토 후 3-5일간 설사를 동반함. 노로바이러스 장염(성인) : 1-3일 지나 구토, 설사, 복통을 동반하나 1-3일 지속 후 저절로 호전됨. 살모넬라 위장관염 : 6-72시간 잠복기를 거쳐 구토, 설사, 고열을 동반하며 3-7일 후 저절로 호전됨.
  • 5. 혈압측정
    청진이나 전자장치에 의해 혈압측적이 불가능한때 이용하는 방법으로 사지로 가는 혈류에 의한 피부색의 변화로 결정하는 방법. 부위 : 팔(요골동맥), 다리 -순서- ①영아의 손목 바로 위에 커프를 감는다. ②팔을 심장 높이에 두고 ③커프를 130mmHg정도 부풀린 후 팔을 심장 높이 보다 낮게 해서 천천히 커프압력을 푼다. ④어린이의 손이 창백하든 것이 핑크색이 되면서 어린이 주먹을 쥔 측정자의 손에 맥박을 느끼게 될 때 수은계의 압력을 읽어 수축압으로 기록한다.
  • 6. 뇌수막염
    뇌수막(meninx)이란 뇌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을 의미한다. 해부학적으로 뇌수막은 가장 깊은 곳에서 뇌를 감싸고 있는 연질막(pia mater), 연질막의 밖에서 뇌척수액공간을 포함하고 있는 거미막(arachnoid mater), 그리고 가장 두껍고 질기며 바깥쪽에서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있는 경질막(dura mater)으로 구성된다. 뇌수막은 척수로 연장되므로, 보다 정확하게는 뇌척수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7. 가와사키병
    가와사키병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급성 열성 혈관염으로, 전신에 다양하게 침범한다. 피부, 점막, 임파절, 심장 및 혈관, 관절, 간 등에 기능 이상을 가져올 수 있고, 위장관 장애, 담당수종, 드물게 뇌수막 등의 염증이 나타날 수 있다.
  • 8. 성홍열
    A군 사슬알균 중 외독소를 생성하는 균주에 의한 상기도 감염증(인후염) 발생시 인후통(목의 통증), 발열 및 전신에 퍼지는 닭살 모양의 발진을 보이는 급성 감염성 질환이다. 주로 3세 이상의 소아에서 발생하게 되며 발열 및 인후염이 있는 환아에서 신체 검진상 전형적인 발진과 함께 딸기 모양의 혀 모양이 있을 시에 임상적으로 진단을 할 수 있다.
  • 9. 장티푸스
    장티푸스는 살모넬라 타이피균(Salmonella typhi)에 감염되어 발생하며 발열과 복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살모넬라 타이피균은 장을 통해 몸 속으로 침투한다. 복통, 구토, 설사 또는 변비 등 위장관계 증상이 나타나지만 위장관염의 한 종류라기 보다는 발열 등의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는 전신 질환이다.
  • 10. 소아마비
    소아마비는 폴리오(polio) 바이러스에 의한 신경계의 감염으로 발생하며 회백수염(척수성 소아마비)의 형태로 발병한다. 예방 접종이 효과적으로 시행되면서 발생률이 감소하여, WHO는 1994년 서유럽에서, 2000년 우리 나라를 포함한 서태평양 지역에서 소아마비 박멸을 선언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brochiolitis
    Bronchiolitis is a common respiratory illness in young children, typically caused by viral infections. It is characterized by inflammation and swelling of the small airways (bronchioles) in the lungs, leading to difficulty breathing and wheezing. The most common cause is th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which can be particularly severe in infants under 1 year old. Treatment typically involves supportive care, such as maintaining hydration, managing fever, and providing supplemental oxygen if needed. In most cases, bronchiolitis resolves on its own within 1-2 weeks, but in some cases, it can lead to more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pneumonia or respiratory failure, requiring hospitalization. Prevention through good hygiene, handwashing, and avoiding exposure to sick individuals is important, especially for high-risk infants. Overall, bronchiolitis is a common and often manageable condition in young children, but it requires close monitoring and appropriate medical care when symptoms are severe.
  • 2. 산소텐트
    산소텐트는 호흡 곤란이나 저산소증 환자에게 사용되는 의료 장비입니다. 이 장치는 환자에게 농축된 산소를 공급하여 혈액 내 산소 농도를 높이고 호흡을 돕습니다. 산소텐트는 주로 신생아, 소아, 노인 환자 등 호흡기 질환이 있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산소텐트는 기관 내 삽관이나 기계 환기 장치보다 덜 침습적이며, 환자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 사용 시 피부 자극, 코 건조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산소 농도와 유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장염
    장염은 위장관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으로, 주요 증상으로는 설사, 복통, 구토, 발열 등이 있습니다. 원인은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 다양하며, 특히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살모넬라 등이 흔한 원인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가 치유되지만, 심한 탈수, 전해질 불균형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치료는 수분 및 전해질 보충, 증상 완화를 위한 약물 투여 등의 보존적 치료가 중심이 되며, 심한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 위생 관리, 음식물 관리, 손 씻기 등이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장염은 자연 치유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
  • 4. 폐렴
    폐렴은 폐 조직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기침, 가래, 호흡 곤란, 발열 등이 있습니다. 원인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다양하며, 특히 폐렴구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즈마 등이 흔한 원인입니다. 고령, 만성 질환자, 면역저하자 등 취약 계층에서 더 심각한 경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치료는 원인 병원체에 따른 항생제 투여, 수액 공급, 산소 공급 등의 보존적 치료가 중심이 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폐렴구균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금연, 규칙적인 운동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폐렴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대부분 완치될 수 있지만, 합병증 발생 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5. 혈압측정
    혈압 측정은 건강 관리에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혈압은 심장이 수축할 때의 최고 압력(수축기 혈압)과 이완할 때의 최저 압력(이완기 혈압)으로 구성됩니다. 정상 혈압 범위는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이완기 혈압 80mmHg 미만입니다.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은 경우 고혈압으로 진단되며,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이 됩니다. 혈압 측정은 가정에서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혈압 측정 시 올바른 자세와 환경 유지, 측정 방법 숙지 등이 중요하며,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 6. 뇌수막염
    뇌수막염은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수막(뇌막)의 감염 및 염증 상태를 말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심한 두통, 발열, 구토, 경부 강직 등이 있습니다. 원인은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 다양하며, 특히 수막구균, 폐렴구균, 대장균 등의 세균성 뇌수막염이 가장 위험합니다.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며,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제 투여, 수액 공급, 증상 관리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합병증으로 뇌 손상, 청력 손실, 신경학적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수막구균 백신 접종, 개인 위생 관리 등이 중요합니다. 뇌수막염은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대부분 완치될 수 있지만, 합병증 발생 시 심각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 7. 가와사키병
    가와사키병은 원인 불명의 급성 혈관염으로, 주로 5세 이하 소아에게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결막 충혈, 입술 및 구강 점막 병변, 림프절 종대, 발진, 손발 부종 등이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면역 체계의 이상 반응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관상동맥 동맥류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치료는 면역글로불린 정맥 투여, 아스피린 투여 등이 중심이 되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예후 향상에 중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정기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중요하며, 증상 발현 시 신속한 의학적 조치가 필요합니다. 가와사키병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대부분 완치될 수 있지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 8. 성홍열
    성홍열은 A군 연쇄구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인두통, 발진, 혀 붉어짐 등이 있습니다. 발진은 몸 전체에 퍼지며 피부가 거칠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합병증으로는 중이염, 신장염, 류마티스열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치료는 항생제 투여가 중심이 되며,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치료도 병행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A군 연쇄구균 감염 예방, 개인 위생 관리, 적절한 치료 등이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항생제 치료 후 빠른 회복이 가능하지만, 합병증 발생 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 9. 장티푸스
    장티푸스는 살모넬라 장티푸스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지속적인 고열, 두통, 식욕 부진, 설사 등이 있습니다. 오염된 식수나 음식물 섭취를 통해 감염되며,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장출혈, 장천공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항생제 투여가 중심이 되며, 수액 공급, 증상 관리 등의 보존적 치료도 병행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깨끗한 식수 섭취, 개인 위생 관리, 장티푸스 백신 접종 등이 중요합니다. 장티푸스는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대부분 완치될 수 있지만, 합병증 발생 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 10. 소아마비
    소아마비는 폴리오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마비성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두통, 구토, 근육 약화 및 마비 등이 있습니다. 주로 5세 미만 어린이에게 발생하며, 심각한 경우 호흡근 마비로 인한 호흡 부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증상 관리와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가 중심이 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폴리오 백신 접종이 매우 중요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백신 접종 노력으로 인해 소아마비 발생이 크게 감소했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소아마비는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지만,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므로 적극적인 예방 접종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