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수혈과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간호과정/간호진단
본 내용은
"
A+ 수혈과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간호과정/간호진단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9
문서 내 토픽
  • 1. 수혈(transfusion) 간호과정 간호진단 신체손상위험성(Acute confusion)
    NANDA 간호진단■ 수혈과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Risk for Injury): 개인의 적응적이고 방어적인 자원과 환경의 상호작용 결과로써 신체 손상 위험에 취약한 상태로 그것이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a state of being vulnerable to the risk of bodily harm as a result of an individual's adaptive and defensive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that can affect health.) 간호사정주관적 자료 (1) '이전에 수혈하고 열난 적 있었어요.'(2) '수술 하고 나서 약간 어지러운 것 같아요.'(3) '제 얼굴 약간 창백해 보이지 않나요?'객관적 자료 (1) 진단명 Dx : 빈혈(Anemia).(2) 혈액검사 상 헤모글로빈(Hb) 수치: 6.9g/dl▼, 헤마토크릿(Hematocrit) 수치: 21.1%▼ 측정됨.(3) dizzness 호소하며 pare appearance 관찰됨.(4) 전일 OP후 Venofferum 100mg+n/s50ml IV 투약 된 상태임.(5) Pack RBC 400ml 1pint transfusion 처방남. 간호목표장기목표① 퇴원 시 까지 발열, 두드러기, 오한 등 수혈로 인한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는다.② 퇴원 시 까지 수혈로 인한 신체손상이 관찰되지 않는다.단기목표① 수혈 중 대상자는 발열, 두드러기, 오한 등 수혈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는다.② 수혈 전, 수혈 15분후, 수혈 후 정상범위의 활력징후가 측정된다.③ 교육 후 대상자는 수혈의 부작용에 대해 2가지 이상 말로 설명할 수 있다.④ 1일 이내 대상자는 안전한 수혈을 시행한다.⑤ 3일 이내 대상자는 혈액검사 상 Hb 수치가 8.0g/dl 이상을 유지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수혈(transfusion) 간호과정 간호진단 신체손상위험성(Acute confusion)
    수혈 간호 과정에서 신체 손상 위험성(Acute confusion)은 매우 중요한 간호 진단 요소입니다. 수혈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급성 혼돈 상태는 환자의 안전과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간호사는 수혈 전, 중, 후 단계에서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특히 수혈 중 발생할 수 있는 급성 혼돈 증상, 예를 들어 호흡 곤란, 혈압 변동, 발열, 두통 등의 징후를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중재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수혈 후 발생할 수 있는 지연성 부작용에 대해서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수혈 과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환자 상태 변화에 대한 민감성과 대응력을 높여야 할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