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 부신피질기능저하증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adrenal crisis
본 내용은
"
[성인간호] 부신피질기능저하증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adrenal crisi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7
문서 내 토픽
  • 1. 부신피질기능저하증
    부신피질 기능 저하증은 부신 혹은 시상하부의 기능 저하로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적절한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지 않은 대상자는 부신위기와 같은 응급 상황을 발생할 수 있고, 심정지와 저혈압, 쇼크, 혼수, 신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치료방법 중 하나인 스테로이드 요법으로 여러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간호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 2. 부신피질 호르몬
    부신피질에서는 40여종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분비되며, 이 중 7종이 생리적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비조절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ACTH에 의해 조절됩니다. 염류코르티코이드(알도스테론)은 전해질 조절, 당류코르티코이드(코티솔)은 대사와 면역 기능, 성호르몬(안드로겐, 에스트로겐)은 성 기능을 담당합니다.
  • 3. 부신수질 호르몬
    부신수질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과 에피네프린이 분비되며, 교감신경에 의해 조절됩니다. 노르에피네프린은 혈관수축, 심장 활동 촉진, 소화관 활동 억제, 동공 확대 등의 작용을 하고, 에피네프린은 노르에피네프린과 비슷한 작용을 하지만 심장에는 20배 더 강력한 작용을 합니다.
  • 4. 부신 기능 검사
    부신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혈청 ACTH 검사를 실시합니다. ACTH는 뇌하수체 호르몬이지만 부신피질 호르몬을 조절하므로, 코티솔의 분비 이상이 뇌하수체 기능 이상인지 부신 기능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검사 시 자정 이후부터 채혈 전까지 금식하고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일주기 리듬에 적합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부신피질기능저하증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은 부신피질에서 코르티솔 등의 호르몬 분비가 부족한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피로감, 식욕 저하, 체중 감소, 저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원인으로는 자가면역질환, 감염, 약물 부작용 등이 있으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혈액 검사와 ACTH 자극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치료는 부족한 호르몬을 보충하는 것이 핵심이며, 평생 약물 복용이 필요합니다.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 2. 부신피질 호르몬
    부신피질 호르몬은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대표적인 것이 코르티솔입니다. 코르티솔은 스트레스 대응, 혈당 조절, 면역 기능 조절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합니다. 부신피질 호르몬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에 의해 조절되며, 이 축에 이상이 생기면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이나 부신피질기능항진증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신피질 호르몬은 합성 스테로이드 약물로도 널리 사용되며, 항염증 및 면역억제 효과가 있어 다양한 질환에 활용됩니다.
  • 3. 부신수질 호르몬
    부신수질은 부신의 내부에 위치하며, 교감신경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부신수질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호르몬은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과 노르에피네프린(노르아드레날린)입니다. 이 호르몬들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심장 박동 증가, 혈압 상승, 혈당 상승 등의 생리적 반응을 유발하여 급격한 에너지 동원을 돕습니다. 부신수질 호르몬의 과다 분비는 고혈압, 빈맥, 불안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부족 시에는 저혈압, 피로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신수질 호르몬은 교감신경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스트레스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부신 기능 검사
    부신 기능 검사는 부신피질과 부신수질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대표적인 검사로는 혈중 코르티솔 농도 측정, ACTH 자극 검사,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 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부신피질기능저하증, 부신피질기능항진증, 부신수질 종양 등의 진단이 가능합니다. 또한 부신 기능 검사는 부신 질환의 원인 파악과 치료 효과 모니터링에도 활용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검사 결과와 함께 환자의 증상, 병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부신 기능 검사는 부신 질환의 진단과 관리에 필수적인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