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장애 아동 교육의 역사
문서 내 토픽
  • 1. 미국 학습장애 아동 교육의 역사
    미국의 학습장애의 역사는 공식적으로는 Kirk가 학습장애라는 명칭을 사용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1963년 Samuel Kirk가 학습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학부모와 여러 전문가들도 학습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Kirk는 감각장애아동 또는 정신지체와 다른 말하기, 언어, 읽기, 쓰기, 셈하기 그리고 다른 학교 교과목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들을 분류하기 위해 학습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다. 학습장애는 능력-성취 불일치 방법으로 진단 및 평가되면서 그 영역이 보다 구체화되고 확장되기에 이른다. 이를 가능하게 했던 학자는 Bateman이었다. Kirk의 지도학생 이었던 Bateman은 Monroe가 학습장애아동을 진단하기 위해 처음으로 사용한 능력과 잠재력의 불일치 개념을 다시 강조하면서 능력-성취 불일치 모형을 학습장애 진단에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1975년 드디어 미국 연방정부는 위와 같은 능력-성취 불일치 타당성 연구에 힘을 입어 학습장애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학습장애의 정의와 진단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학습장애를 독자적인 특수교육 범주로 인정하게 되었다.
  • 2. 한국 학습장애 아동 교육의 역사
    국내에서는 1994년에 '특수교육진흥법'에 학습장애가 특수교육 범주에 처음으로 포함된 이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등에서 학습장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2000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 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이 설치된 후로 학습장애에 대한 연구들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003년에는 김동일 · 이대식 · 신종호(2003)의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이라는 학습장애 전문서적이 출간되기도 하였다. 이후 2004년 7월 3일에는 한국학습장애학회가 창립되었으며 학습장애연구가 보다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오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학습장애학회에서는 학습장애의 정의와 진단 및 평가 방법에 대한 미국의 이론을 국내 학습장애 진단 및 평가에도 반영하게 되었다. 또한 중재반응모형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학습장애의 정의 및 진단 · 평가 방법에 대해서도 변화를 이루어내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미국 학습장애 아동 교육의 역사
    미국의 학습장애 아동 교육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1970년대 이전에는 학습장애 아동들이 일반 교육 시스템에서 소외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1975년 제정된 장애인 교육법(IDEA)을 통해 학습장애 아동들도 공립학교에서 무상으로 적절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후 지속적인 법 개정과 정책 변화를 통해 학습장애 아동들의 교육 기회가 확대되었고, 개별화된 교육 지원, 보조 기술 활용 등 다양한 교육 방법이 도입되었습니다. 현재는 학습장애 아동들이 일반 학교에서 통합 교육을 받으며, 개별화 교육 계획(IEP)에 따라 맞춤형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습장애 아동들의 교육 성과가 점차 향상되고 있습니다.
  • 2. 한국 학습장애 아동 교육의 역사
    한국의 학습장애 아동 교육은 미국에 비해 역사가 짧습니다. 1980년대 초반부터 특수교육 관련 법률이 제정되면서 학습장애 아동 교육이 시작되었습니다. 초기에는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에서 분리 교육이 이루어졌지만, 점차 통합 교육이 확대되었습니다. 2007년 개정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라 학습장애 아동들은 일반 학교에서 개별화 교육 계획(IEP)에 따라 맞춤형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학습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 교사 전문성 부족, 교육 예산 부족 등의 문제가 있어 학습장애 아동들이 충분한 교육적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향후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어 학습장애 아동들이 더 나은 교육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학습장애 아동 교육의 역사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31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