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섬유재료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 벽체 내진보강공법
본 내용은
"
다양한 섬유재료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 벽체 내진보강공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30
문서 내 토픽
-
1. SRF(Super 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 공법SRF 공법은 고연성 재료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벨트 또는 시트 형상으로 만들어 경화 후에도 인성을 갖는 우레탄계 접착제로 기둥이나 벽체 등의 압축제 콘크리트 표면에 인력으로 부착하는 보강공법입니다. 이 공법은 시공성, 친환경성, 내진성능 향상, 저렴한 비용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
2. Basalt Fiber-reinforced polymers (BFRP) 공법BFRP 공법은 현무암섬유(Basalt fiber)를 사용하여 RC 조의 부식된 전단벽을 보수하는 공법입니다. BFRP는 CFRP보다 재료비용이 저렴하고 연성적이며, GFRP보다 내열성능과 알칼리 저항성이 우수합니다. BFRP 시트를 이용하여 부식률 3%와 9%의 전단벽에서 에너지 흡수량이 향상되어 강도와 연성이 개선되었습니다.
-
3. 탄소섬유 보강공법탄소섬유 보강공법은 고강도의 탄소섬유시트를 구조체에 부착하는 공법입니다. 시공성, 경량, 고강도 등의 장점이 있지만 재료가 고가이며 내화 및 난연 피복이 필요한 단점이 있습니다.
-
4. 아라미드섬유 보강공법아라미드섬유 보강공법은 고강도의 아라미드섬유시트를 구조체에 부착하는 공법입니다. 탄소섬유 보강공법과 유사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5. 철판 및 강재보강공법철판 및 강재보강공법은 H빔, 강재를 이용해 RC 구조물의 힘을 분산시키는 공법입니다. 보편화된 공법이지만 중량물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
6. 기둥단면증설보강공법기둥단면증설보강공법은 기존 면을 처리하고 보강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면을 증가시키는 공법입니다. 보편화된 공법이지만 역시 중량물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
1. SRF(Super 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 공법SRF(Super 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 공법은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 및 내하력 향상을 위한 보강 기술로, 유연성이 높은 섬유보강재를 활용하여 구조물의 변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공법은 기존 구조물의 보강에 효과적이며,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지진 등 외부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 향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장기 내구성 및 내화성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Basalt Fiber-reinforced polymers (BFRP) 공법Basalt Fiber-reinforced polymers (BFRP) 공법은 천연 광물섬유인 현무암 섬유를 활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기술입니다. 이 공법은 기존의 탄소섬유나 유리섬유 보강재에 비해 내화성, 내구성, 내식성 등이 우수하고 가격 경쟁력이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시공성이 좋아 기존 구조물의 보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장기 내구성 및 내구성능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국내외 적용 사례 및 기술 기준 마련 등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3. 탄소섬유 보강공법탄소섬유 보강공법은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및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활용하는 기술입니다. 이 공법은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고 경량성이 있어 기존 구조물의 보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공성이 좋아 기존 구조물의 보강에 적합합니다. 다만 고가의 재료비용과 전문 시공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재료 및 시공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단점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아라미드섬유 보강공법아라미드섬유 보강공법은 아라미드 섬유를 활용하여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및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아라미드 섬유는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고 경량성이 있어 기존 구조물의 보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공성이 좋아 기존 구조물의 보강에 적합합니다. 다만 재료비용이 높고 전문 시공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재료 및 시공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단점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5. 철판 및 강재보강공법철판 및 강재보강공법은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및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철판이나 강재를 활용하는 기술입니다. 이 공법은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고 시공성이 좋아 기존 구조물의 보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재료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구조물의 중량 증가로 인한 추가적인 하중 전달 문제와 부식 등의 내구성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경량 고강도 재료의 개발과 부식 방지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단점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6. 기둥단면증설보강공법기둥단면증설보강공법은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 단면을 증설하여 내하력 및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이 공법은 기존 구조물의 보강에 효과적이며,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지진 등 외부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 향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기존 구조물과의 접합 및 하중 전달 문제, 시공 중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등에 대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리모델링 사례분석조사 17페이지
사례분석을 통해 알아본 국내리모델링공법의 특징목차1. 리모델링1.1 리모델링의 개념1.2 리모델링의 필요성 및 국내 리모델링 시장의 현황1.2.1 리모델링의 필요성1.2.2 국내 리모델링 시장의 현황1.2.3 리모델링 관계법률 개정 현황2. 리모델링을 위한 보수·보강공법2.1 구조물의 보수공법2.2 구조물의 보강공법3. 사례분석을 통해 알아본 국내 리모델링공법의 특징3.1 압구정대림아크로빌3.1.1 개요3.1.2 리모델링 공사범위3.1.3 코어벽체 신설3.1.4 내진벽체 신설 및 보강3.1.5 단면결손 보수·보강3.1.6 기둥 보강...2019.05.30· 17페이지 -
구조디자인 (철근콘크리트) 7페이지
1)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조,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철근콘크리트구조장점단점재료공급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다.콘크리트의 비중이 크므로 구조체의 자중이 커진다부재의 형상과 크기를 자유자재로 제작할수 있다콘크리트의 경화 및 거푸집 존치기간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어진다철근과 콘크리트로 피복보호하므로 내화, 내구성이 크고 내구성, 내진성이 크다작업방법, 기후, 기온 및 양생조건 등이 강도에 큰영향을 미치므로 균일한 시공 어렵다목조나 철골조 보다 유지관리가 쉽다접합점을 용접하는 외에는 일체화로 보기어렵다철근콘크리트 구조재에서 콘크리트는 압축력에는 강...2019.04.24· 7페이지 -
시멘트콘크리트 제품 33페이지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Contents 1.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 개요 2. 시멘트 제품 3. 콘크리트 제품 4. 시장현황 및 연구개발 현황1.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 개요 시멘트 제품 - 공장에서 시멘트 모르타르를 소정의 치수와 형상으로 성형하고 양생하여 필요한 품질을 갖도록 제조한 것 . 다시 말해 시멘트를 결합재 (matrix) 로 하여 골재 ( 모래 , 자갈 ) 나 석면 , 목모 , 목편 등의 구성입자 (particle) 를 1 종 이상 배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제조한 것 . 콘크리트 제품 - 콘트리트를 주요재료로 한 것으로 일반...2015.03.09· 33페이지 -
PC.RC.STEEL.목구조.조적 구법 사례조사를 통한 이해 54페이지
PC.RC.STEEL.목구조.조적 (구법 사례조사를 통한 이해)LIST [1] PC. [2] RC. [3] STEEL. [4] 목구조. [5] 조적[1] Precast ConcretePrecast Concrete벽이나 바닥의 전부 또는 일부 부재를 공장에서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구조.특 징장점 공사기간 단축 감독관리의 편리성 공사비와 가설시설의 절감 단점 설계상의 제약 접합부와 시공기술 문제 획일성과 초기투자비 과다 운송과 적재, 양중의 문제특 징PC 의 과정PC 계단실Precast Concrete- System Form 을 이...2012.11.07· 54페이지 -
[건축] 저층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 11페이지
저층 건축물 내진성능 보강내진보강이란 ?■ 기술의 분류지진을 다루는 기술은 현재까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기술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내진, 제진, 면진으로 구분한다. 1) 내진 : 구조물 자체를 튼튼하게 설계하는 기술 2) 제진 :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구조물이 부담하는 지진력을 감소시키는 기술 3) 면진 : 구조물과 지반을 분리시켜 지반진동으로 인한 지진력이 직접 구조물에 전달되는 양을 감속시키는 기술비 용 부 담 안 전 도낮 음높 음■ 내진보강이란?내진 보강이란 지진에 저항하기 위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이 ...2011.07.13·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