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매개성 질환 정리
문서 내 토픽
-
1. 세균성 감염매독은 Treponema pallidum 균에 의해 발생하며, 성기, 항문, 구강 내 점막으로 침입하여 혈류와 림프를 통해 전신으로 퍼진다. 태아는 태반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1기에는 경성하감, 2기에는 편평콘딜로마와 장미진이 나타나며, 잠복기에는 무증상이다. 3기에는 고무종이 발생한다. 페니실린으로 치료하며, 과민한 경우 erythromycin, doxycycline, tetracycline을 사용한다.
-
2. 임질Neisseria gonorrhoeae 균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성교를 통해 감염된다. 남성은 3~5일의 잠복기 후 농성 분비물, 배뇨곤란, 빈뇨 증상이 나타나며, 여성은 무증상일 수 있지만 황녹색의 농성 분비물, 자궁경부 홍반, 외음부 궤양 등이 발생할 수 있다. ceftriaxone, cefixime, ciprofloxacin, ofloxacin 등으로 치료한다.
-
3. 연성하감Haemophilus ducreyi 균에 의해 발생하며, 음순과 질전정, 회음부에 작은 구진이 발생하다가 통증 있는 부드러운 궤양으로 발전한다. 림프절 종창과 화농이 나타나며, azithromycin, ceftriaxone, ciprofloxacin, erythromycin으로 치료한다.
-
4. 클라미디아Chlamydia trachomatis 균에 의해 발생하며, 질, 항문, 구강 성교로 감염된다. 여성은 자궁내막과 자궁관까지 감염되어 불임, 자궁 외 임신, 자궁관염이 발생할 수 있고, 남성은 부고환으로 확대되어 요도 협착이 생길 수 있다. 여성의 75%, 남성의 25%가 무증상이다. doxycycline 또는 azithromycin으로 치료한다.
-
5. 음부포진Herpes simplex virus Ⅱ에 의해 발생하며, 성교와 분비물 접촉으로 감염된다. 3~7일의 잠복기 후 작열감, 홍반성 수포, 통증 동반한 궤양이 형성되며 재발하기 쉽다. acyclovir, famciclovir, valcyclovir로 치료한다.
-
6. 콘딜로마Human papilloma virus에 의해 발생하며, 성접촉, 채액 접촉, 피부접촉으로 감염된다. 외음부, 질, 자궁경부, 회음부, 항문상부, 요도구, 귀두에 건조하고 무통성 사마귀가 발생한다. podophyllin, imiquimod 크림으로 치료하며, 증상 지속 시 레이저, 전기소작기, 절개 수술을 할 수 있다.
-
7. 에이즈Human immunodeficiency virus에 의해 발생하며, 체액, 혈액, 정액, 질 분비물을 통해 감염된다. 태반을 통과하거나 분만 시 태아 감염, 모유수유를 통해서도 감염이 가능하다. 감염 초기에는 감기몸살 증상이 나타나며, 무증상기를 거쳐 AIDS 환자가 되면 기회감염으로 인한 질병이 발생한다.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을 병합하여 사용한다.
-
8. 트리코모나스 감염Trichomonaisis vaginalis 원충에 의해 발생하며, 여성의 질, 남성의 전립선, 요도에 서식한다. 여성은 황녹색의 분비물, 소양증, 작열감, 자궁경부의 작은 반점 출혈, 질 점막 발적과 부종이 나타나고, 남성은 요도까지 번져 빈뇨와 배뇨 시 작열감이 발생한다. metronidazole 또는 tinidazol로 치료한다.
-
9. 사면발이와 옴사면발이는 음부에 기생하는 이, 옴은 음부에 기생하는 진드기에 의해 발생한다. 밀접한 신체접촉, 감염자의 옷이나 물체 접촉, 성접촉으로 감염된다. 소양증이 발생하며, 지속될수록 심해진다. 사면발이는 phenothrin 분말가루, 옴은 benzene hexachloride를 사용하여 치료한다.
-
1. 세균성 감염세균성 감염은 매우 심각한 건강 문제로, 적절한 치료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세균성 감염은 다양한 경로로 전파될 수 있으며, 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근육통, 피로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세균성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위생 관리, 균형 잡힌 식단, 규칙적인 운동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세균성 감염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개인과 공동체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예방과 관리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
2. 임질임질은 매우 심각한 성병으로, 적절한 치료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임질은 주로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며, 증상으로는 요도 분비물, 배뇨 시 통증, 생식기 발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임질은 방치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성관계, 정기적인 검진, 파트너와의 솔직한 대화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고 성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
3. 연성하감연성하감은 성병의 일종으로, 적절한 치료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연성하감은 주로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며, 증상으로는 생식기 궤양, 림프절 종창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연성하감은 방치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성관계, 정기적인 검진, 파트너와의 솔직한 대화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고 성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
4. 클라미디아클라미디아는 매우 흔한 성병으로, 적절한 치료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클라미디아는 주로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며, 증상으로는 요도 분비물, 배뇨 시 통증, 생식기 발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클라미디아는 방치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성관계, 정기적인 검진, 파트너와의 솔직한 대화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고 성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
5. 음부포진음부포진은 매우 흔한 성병으로, 적절한 치료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음부포진은 주로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며, 증상으로는 생식기 부위의 수포, 통증, 가려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음부포진은 방치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성관계, 정기적인 검진, 파트너와의 솔직한 대화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고 성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
6. 콘딜로마콘딜로마는 매우 흔한 성병으로, 적절한 치료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콘딜로마는 주로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며, 증상으로는 생식기 부위의 사마귀 모양 병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콘딜로마는 방치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성관계, 정기적인 검진, 파트너와의 솔직한 대화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고 성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
7. 에이즈에이즈는 매우 심각한 질병으로, 적절한 치료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에이즈는 주로 성관계, 혈액 접촉, 수직 감염 등을 통해 전파되며, 증상으로는 발열, 피로감, 림프절 종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에이즈는 방치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성관계, 혈액 관리, 수직 감염 예방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고 에이즈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
8. 트리코모나스 감염트리코모나스 감염은 매우 흔한 성병으로, 적절한 치료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트리코모나스 감염은 주로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며, 증상으로는 질 분비물, 가려움, 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트리코모나스 감염은 방치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성관계, 정기적인 검진, 파트너와의 솔직한 대화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고 성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
9. 사면발이와 옴사면발이와 옴은 매우 흔한 피부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사면발이와 옴은 주로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증상으로는 피부 발진, 가려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면발이와 옴은 방치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 관리, 접촉 주의, 정기적인 검진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고 이러한 질환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성매개성 질환 정리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7
-
주사침 자상 사고 예방 교육1. 주사침 자상 사고의 위험성 주사침 자상 사고는 사용된 주사기나 기타 날카로운 의료 기구에 의해 피부가 찔리는 사고로, 혈액매개 감염원에 노출되는 경로입니다. 주사침 손상에 의한 경피적 노출이 88%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일반주사기 70%, 봉합용 바늘 10%에서 발생합니다. 혈액매개 감염원에는 세균, 기생충, 바이러스 등이 포함되며, HBV, HCV,...2025.01.21 · 보건
-
[모성간호학 기말고사 요점정리] 생식기 종양 간호/생식기 종양 간호/자궁내막 질환 간호/생식기 감염 및 성매개 질환 간호1. 자궁절제술 자궁의 경부와 체부를 제거하는 수술로, 부분자궁절제술, 전자궁절제술, 전자궁절제술과 한쪽 난관난소절제술, 전자궁절제술과 양쪽 난소절제술, 근치 자궁절제술 등의 종류가 있다. 각 수술 방법에 따라 생식 생리의 변화가 다르며, 복식, 질식,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절제술 등 다양한 수술 방법이 있다. 각 방법의 장단점이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2025.01.04 · 의학/약학
-
아동간호학 천식 케이스/ 소아 천식/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 3개1. 천식 천식은 폐로 연결되는 통로인 '기관지'의 질환으로, 특정한 유발 원인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기관지의 염증에 의해 기관지가 심하게 좁아져 기침, 천명,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기관지의 염증으로 기관지 점막이 부어오르고 기관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점액이 분비되고 기관지가 막혀 숨이 차게 됩니다. 이것이 반복되면...2025.04.29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 (뇌졸중,기관 내 삽관 등)1. Emergency Cart 약물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약물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요 약물로는 에피네프린, 아트로핀,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리도카인, 칼슘 클로라이드, 도파민, 도부타민, 니트로글리세린, 노르에피네프린, 디곡신, 베라파밀, 딜티아젬, 황산마그네슘, 에토미데이트, 아미오다론 등이 있습니다. 각 약물의 효능, 부작용, 용량 등이 자세...2025.01.29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 ER 사전학습1. 응급약물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의 효능, 부작용, 용량 등을 정리하였다. 에피네프린, 아트로핀,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리도카인, 칼슘 클로라이드, 도파민, 도부타민, 니트로글리세린, 노르에피네프린, 디곡신, 베라파밀, 딜티아젬, 황산마그네슘, 에토미데이트, 아미오다론 등의 약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 응급환자 분류체계 응급실에 내원한 환...2025.05.04 · 의학/약학
-
생식기 감염 및 성매개성 질환 간호 정리 5페이지
Ⅱ 생식기 감염 및 성매개성 질환 간호 - 1장 생식기 감염1) 외음의 염증성 질환원인? 접촉성 피부염: 외음부가 여러 가지 여러가지 자극원에 의해 받는 자극으로 흔히 발생- 자극원: 월경, 질분비물, 소변이나 외음 주위에 있는 피지샘의 분비물 등합성섬유 재질을 팬티를 입었을 때 질분비물이 내의에 흡수되지 않아 외음 자극,특히 꼭 끼는 거들, 팬티스타킹이나 청바지 등은 분비물의 외음 자극을 더욱 조장거품 목욕, 보디 오일, 향수 화장지, 향수 비누, 향수 분말, 내의, 세탁용 청정제 등- 약물이 알레르기원이 될 수 있으며,외음염의 ...2021.02.08· 5페이지 -
모성간호학요점정리/생식기감염질환, 성매개질환, 비뇨생식기의 구조이상, 난임간호 14페이지
모성간호학 정리Ⅰ. 생식기 감염질환 간호1. 생식기 감염질환1) 외음 감염성 질환(1) 원인① 접촉성 피부염- 합성섬유 재질의 팬티-> 질분비물이 내의 흡수X -> 묻은채로 외음 자극- 꼭 끼는 옷들- 향수 비누 분말, 내의, 세탁용 청정제- 다른질환의 치료약- 당뇨병, 피부질환 같은 질환, 폐경으로 인한 외음의 위축② 간찰진- 두 피부 표면이 맞닿는 부위에 피부자극 및 짓무름 발생- 분비물로 외음항상 습함-> 습진처럼 짓무르는 현상(2) 증상 및 징후?소양증: 열감(+), 밤에 심해짐?작열감?다양한 크기의 흰색 장액성 병변 다발성...2024.03.13· 14페이지 -
[모성간호학 기말고사 요점정리] 생식기 종양 간호/생식기 종양 간호/자궁내막 질환 간호/생식기 감염 및 성매개 질환 간호 10페이지
★생식기계 수술 및 간호★1. 자궁절제술? 자궁의 경부와 체부를 제거하는 것1) 자궁절제술 종류 및 생식 변화수술명절제부위생식생리변화부분자궁절제술경부는 보존, 체부만 절제월경 없고 임신 안됨에스트로겐 분비됨전자궁절제술자궁체부와 경부 모두 절제전자궁절제술과한쪽 난관난소절제술자궁, 한쪽 난관 및 난소 절제전자궁절제술과양쪽 난소절제술자궁, 양쪽 난소 절제월경없고 임신 안됨에스트로겐 안됨폐경증상 나타남근치 자궁절제술자궁, 양쪽 난관 및 난소, 질의 일부자궁주의의 임파절과 인대 절제월경없고 임신 안됨에스트로겐 안됨폐경증상 나타남소변장애 올 ...2024.02.23· 10페이지 -
아동간호학 필기, 아동간호 내용 정리, 수분 전해질 불균형, 감염질환, 면역기능, 소화기계, 비뇨생식기능, 호흡기계 24페이지
아동간호학 정리chapter 17. 수분 전해질 불균형 아동chapter 18. 감염질환 아동chapter 19. 면역 기능 장애 아동chapter 20. 소화기 기능장애 아동chapter 21. 비뇨생식기 기능장애 아동chapter 22. 호흡기 기능장애 아동chapter 17. 수분 전해질 불균형 아동1. 아동의 수분 전해질 불균형수분: 영아 체중의 75% / 성인 55~60%영유아는 체중단위 당 수분 소실량이 높고, 성인에 비해 고갈속도가 빠름.-> 체표면적이 넓고, 호흡수 많아 불감성 수분 소실량이 높다.체액 손실 시 ECF...2020.09.19· 24페이지 -
질염, 성매개성 질환 정리 5페이지
세균성 질염칸디다 질염= 모닐리아성 질염트리코모나스 질염노인성 질염원인· 질 내 혐기성 세균 과도 성장→ 유산 간균 감소· 원인균 : Candida albicans(진균성 질염)· 임신부, 당뇨, 폐경 이후· 장기간 항생제 사용· 스테로이드 제제· 구강피임약→ 정상균주의 변화로 인해 발생· 원인균 : Trichomonas vaginitis(원충성 질염)· 성접촉으로 인한 전파· 공동목욕탕에서 전파에스트로겐 농도 저하→ 질점막 위축으로 특별한 감염 없이도 성교 후 질염 발생증상· 생선 비린내 나는 분비물- 질 분비물 : 회색 또는 흰...2019.06.05·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