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 매개성 질환
본 내용은
"
성 매개성 질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7
문서 내 토픽
-
1. 성 전파성 질환성 전파성 질환(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TD)은 주로 성행위나 접촉을 통해 감염되는 질환을 말한다. 성 전파성 감염(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STI)라고도 한다. 동성이나 이성 파트너와의 성행위에 의해 전파되며, 한 가지 성 전파성 감염을 가지고 있는 것은 재감염이나 다른 성 전파성 감염에 대해 면역성을 주는 것은 아니다. 감염된 대상자의 성 파트너도 치료를 위한 사정을 받아야 하며, 사회적 계층, 문화, 인종, 연령 집단에 영향을 미친다. 성 전파성 질환의 원인은 세균, 바이러스, 원충류, 진균 등이다.
-
2. 세균성 감염세균성 감염에는 매독, 임질, 연성하감, 클라미디아 등이 있다. 매독은 Treponema pallidum 균에 의해 발생하며, 성기점막, 항문 내 점막과 구강 내 점막으로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침입하여 혈류와 림프 통해 전신으로 확산된다. 임질은 Neisseria gonorrheae 균에 의해 발생하며, 전염성이 매우 높지만 외부환경에서 생존율이 낮아 직접적인 성 접촉에 의해 전파된다. 연성하감은 Heamophilus ducreyi 균에 의해 발생하며, 전염성이 매우 강하다. 클라미디아는 Chlamydia trachomatis 균에 의해 발생하며, 질 성교, 구강-항문 접촉, 항문삽입, 구강성교 등 밀접한 성접촉에 의해 전파된다.
-
3. 바이러스성 감염바이러스성 감염에는 음부포진, 콘딜로마(성기 사마귀), 에이즈(HIV) 등이 있다. 음부포진은 단순포진 바이러스 II형(herpes simplex virus II, HSVII)에 의해 발생하며, 병소의 삼출물에 존재하여 병소에 있는 동안, 치유 후 10일간 전파 가능하다. 콘딜로마는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에 의해 발생하며, 30종류 이상의 HPV가 생식기계에 침범한다. 에이즈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의해 발생하며, 체액, 특히 혈액, 정액, 여성의 질 분비물 등을 통해 전파된다.
-
4. 원충 감염원충 감염에는 트리코모나스증이 있다. 트리코모나스증은 혐기성 편모가 있는 원충류인 Trichomonaisis vaginalis에 의해 발생하며, 성적으로 전파된다. 여성의 경우 많은 양의 황녹색의 악취가 나는 질 분비물이 나오며, 분비물이 외음부를 자극하여 소양증, 작열감, 박피와 짓무름의 원인이 된다.
-
5. 기생충 감염기생충 감염에는 사면발이와 옴이 있다. 사면발이와 옴은 음부에 이(pediculosis pubis)나 진드기(scabies)가 감염되는 것으로, 감염자와 밀접한 신체접촉을 가지거나 감염된 사람이 사용했던 린넨, 옷 등의 오염된 물체와 접촉 시 감염된다. 성 접촉으로도 가능하다.
-
1. 성 전파성 질환성 전파성 질환은 매우 심각한 문제이며, 개인과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질환은 주로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며,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도 전염될 수 있어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성 교육과 안전한 성관계 실천, 정기적인 검진 등이 필요하며, 감염된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사회적 편견과 낙인을 해소하고 환자들이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성 전파성 질환의 확산을 막고 개인과 사회의 건강을 지켜나가야 할 것입니다.
-
2. 세균성 감염세균성 감염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세균은 공기, 물, 음식, 접촉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파될 수 있어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개인위생 관리, 균형 잡힌 식단, 정기적인 건강검진 등이 필요하며,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항생제 내성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과 함께 세균성 감염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바이러스성 감염바이러스성 감염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때로는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공기, 접촉, 체액 등을 통해 전파될 수 있어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개인위생 관리, 백신 접종, 사회적 거리두기 등이 필요하며,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바이러스 변이와 새로운 바이러스 출현에 대한 대비와 함께 바이러스성 감염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원충 감염원충 감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파될 수 있으며,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오염된 물이나 음식, 곤충 등을 통해 감염될 수 있어 개인위생과 식품 안전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더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 이들에 대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원충 감염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며, 예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활동도 강화되어야 할 것입니다.
-
5. 기생충 감염기생충 감염은 개인위생과 식품 안전 관리가 중요한 문제입니다. 오염된 물이나 음식, 곤충 등을 통해 감염될 수 있으며,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더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 이들에 대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기생충 감염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며, 예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활동도 강화되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기생충 감염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와 함께 관련 정책 및 제도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성매개성 질환 정리1. 세균성 감염 매독은 Treponema pallidum 균에 의해 발생하며, 성기, 항문, 구강 내 점막으로 침입하여 혈류와 림프를 통해 전신으로 퍼진다. 태아는 태반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1기에는 경성하감, 2기에는 편평콘딜로마와 장미진이 나타나며, 잠복기에는 무증상이다. 3기에는 고무종이 발생한다. 페니실린으로 치료하며, 과민한 경우 erythr...2025.01.15 · 의학/약학
-
식품매개감염병 - 기생충1. 감염병 감염병은 살아있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숙주세포가 침범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여러 사람에게 잇달아 돌아가며 앓는 질병을 의미한다. 감염병 유행의 조건은 병원체, 경로, 숙주의 감수성이며, 이 세 가지 조건 중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으면 감염병은 발생하지 않는다. 2. 법정감염병 법정감염병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감염...2025.05.09 · 의학/약학
-
난관난소염 간호진단 케이스1. 골반염증성 질환 골반염증성 질환은 상부성기도 감염으로 성 접촉에 의해서 발생되는 급성 난관염을 말하며, 증상은 처음에는 무증상이지만 이들이 난소난관염으로 진행하면 복통, 성교통, 발열, 구토, 비정상적 질 분미물, 불규칙한 질 출혈이 발생한다. 보통 하부성기도에 침입한 각종 세균의 상행성 전파에 의해 발생된다. 염증성 변화는 자궁내막에서 시작하여 난관...2025.01.28 · 의학/약학
-
골반 염증성 질환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사례 연구1. 골반염(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골반염(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은 여성의 자궁, 난소 및 나팔관에 중대한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여성에서 불임의 중요한 원인이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2. 골반염의 원인 골반염증성 질환의 원인균은 여러 종류가 있으...2025.01.03 · 의학/약학
-
[모성간호학 기말고사 요점정리] 생식기 종양 간호/생식기 종양 간호/자궁내막 질환 간호/생식기 감염 및 성매개 질환 간호1. 자궁절제술 자궁의 경부와 체부를 제거하는 수술로, 부분자궁절제술, 전자궁절제술, 전자궁절제술과 한쪽 난관난소절제술, 전자궁절제술과 양쪽 난소절제술, 근치 자궁절제술 등의 종류가 있다. 각 수술 방법에 따라 생식 생리의 변화가 다르며, 복식, 질식,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절제술 등 다양한 수술 방법이 있다. 각 방법의 장단점이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2025.01.04 · 의학/약학
-
지역사회간호학실습 - 보건소 사업 정리 (부산 사상구)1. 만성질환사업 만성질환 관리 사업으로 아토피 및 천식 관리 사업, 재가암관리 사업, 만성질환 예방사업 등을 운영하고 있다. 아토피 및 천식 자조교실 운영, 의료비 지원, 예방관리 홍보 등을 통해 만성질환자를 관리하고 있다. 또한 암환자 의료비 지원, 재가암환자 관리 및 호스피스 연계,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환자 조기발견, 등록관리, 지역사회 교육 및 홍...2025.01.29 · 보건
-
성매개성 질환 정리 5페이지
병명원인균병태생리ㆍ부위증상ㆍ치료세균성 감염매독Treponema pallidum성기, 항문, 구강 내 점막으로 침입.혈류와 림프 통해 전신 확산(후선성)태아는 태반통해 감염(선천성)1기 : 경성하감2기 : 편평콘딜로마, 장미진잠복기 : 무증상3기 : 고무종페니실린으로 치료, 과민한 경우는erythromycin(태아감염 치료는 X),doxycycline, tetracycline(임신 중 X)임질Neisseria gonorrheae주로 성교를 통해 감염국소 : 요도, 자궁경부, 직장, 인두전신 : 다발성 관절염, 피부염, 심내막염, 뇌막...2024.05.27· 5페이지 -
모성간호학요점정리/생식기감염질환, 성매개질환, 비뇨생식기의 구조이상, 난임간호 14페이지
모성간호학 정리Ⅰ. 생식기 감염질환 간호1. 생식기 감염질환1) 외음 감염성 질환(1) 원인① 접촉성 피부염- 합성섬유 재질의 팬티-> 질분비물이 내의 흡수X -> 묻은채로 외음 자극- 꼭 끼는 옷들- 향수 비누 분말, 내의, 세탁용 청정제- 다른질환의 치료약- 당뇨병, 피부질환 같은 질환, 폐경으로 인한 외음의 위축② 간찰진- 두 피부 표면이 맞닿는 부위에 피부자극 및 짓무름 발생- 분비물로 외음항상 습함-> 습진처럼 짓무르는 현상(2) 증상 및 징후?소양증: 열감(+), 밤에 심해짐?작열감?다양한 크기의 흰색 장액성 병변 다발성...2024.03.13· 14페이지 -
생식기 감염 및 성매개성 질환 간호 정리 5페이지
Ⅱ 생식기 감염 및 성매개성 질환 간호 - 1장 생식기 감염1) 외음의 염증성 질환원인? 접촉성 피부염: 외음부가 여러 가지 여러가지 자극원에 의해 받는 자극으로 흔히 발생- 자극원: 월경, 질분비물, 소변이나 외음 주위에 있는 피지샘의 분비물 등합성섬유 재질을 팬티를 입었을 때 질분비물이 내의에 흡수되지 않아 외음 자극,특히 꼭 끼는 거들, 팬티스타킹이나 청바지 등은 분비물의 외음 자극을 더욱 조장거품 목욕, 보디 오일, 향수 화장지, 향수 비누, 향수 분말, 내의, 세탁용 청정제 등- 약물이 알레르기원이 될 수 있으며,외음염의 ...2021.02.08· 5페이지 -
성매개성질환 보건교육안 (모성간호A+) 4페이지
REPORT[ 모성간호학 재택실습 ]- 성매개성질환예방교육안 -보건교육안대상자의 특성 : 만 18세 이상 40세미만 여성교 육 목 표 : 성매개성질환과 예방방법을 이해하여 성매개성질환의 발병위험을 낮출 수있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학 습 주 제 : 만 18세 이상 40세미만 여성의 성매개성질환 교육교 수 방 법 : 집단교육준비사항 및 교수 매체 : PPT, 유인물, 동영상참고문헌 : 이에스비뇨기과 관계 전 성병검사( https://blog.naver.com/chlalsgh1122/221949437928)[메디텔]...2020.08.18· 4페이지 -
성매개감염, sexually trasmitted infection (STI) 7페이지
성매개감염,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STI)성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성매개감염은 전 세계의 공통된 문제이며 한국의 실정으로는 매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림1,2] 이로인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1980년대에는 Venereal disease (VD), 성병이라는 용어로, 1990년대에는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TD), 성전파성질환으로, 최근에는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STI), 성매개감염이라는 용어로 변천해 왔다. 이 글에서는 현재 ...2021.05.19·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