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성인간호학 만성 신부전 case study 35쪽 (문헌고찰 O,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2개, 진단검사 O, 약물 O, PBL O)
본 내용은
"
A+ 성인간호학 만성 신부전 case study 35쪽 (문헌고찰 O,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2개, 진단검사 O, 약물 O, PBL O)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2
문서 내 토픽
-
1.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 과다대상자는 Dx CKD stage 3로 전신에 Edema 양상을 보여 Edema control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걸을 때마다 숨이 차고 다리에 힘이 없어서 잘 넘어진다고 하였는데, 이는 부종으로 인하여 체액이 과다 되어 발생된 것이라고 본다. 또한 체중이 증가하여 Lasix를 투여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체액 과다는 생리적 욕구에 직접적으로 위협하기 때문에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 과다를 1순위 간호진단으로 선정하였다.
-
2. 빈혈 수치 및 쇠약감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대상자는 고령이며 쇠약하여 걷다가 힘이 빠지면서 넘어지는 경우가 많다. RBC, Hb, Hct 등 빈혈과 관련된 수치가 낮은 상태이다. Orthostatic hypotension이 있으며 dizziness를 호소하고 있기 때문에 빈혈 수치 및 쇠약감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을 2순위 간호진단으로 선정하였다.
-
3.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대상자는 "걸을 때마다 숨이 차요."라고 말하며 주로 걸어다닐 때 Dyspnea 증상이 심해지는 양상이다. 혈액 내 이산화탄소의 총량을 측정한 Total CO2 content는 19.6mmol/L로 정상수치보다 낮은 상태이지만 7월 12일 "움직일 때마다 숨차는 증상이 괜찮아졌어요."라고 말하였으므로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을 3순위 간호진단으로 선정하였다.
-
4. 면역 저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대상자의 Lab 결과상 염증을 나타내는 수치인 ESR이 12mm/hr로 정상수치보다 높은 수치이다. 이는 감염의 위험에 취약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BUN은 41mg/dL, Creatinine은 1.78mg/dL로 정상수치보다 높다. 신장기능이 많이 악화 되었음을 나타내고, 수분과 염분의 배설이 저하되어 전신 Edema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면역 저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을 3순위 간호진단으로 선정하였다.
-
5.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양상 장애대상자는 새벽에 혼자 휴게실에서 TV를 보고, "병실 왔다갔다 하는 소리 때문에 겨우 잠들어도 금방 깨요..", "여기서 잠을 못 자겠어요."라고 말하며 외적인 요인으로 잠에 쉽게 들지 못하기 때문에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양상 장애를 5순위 간호진단으로 선정하였다.
-
6. 낙상과 관련된 지식 부족대상자는 낙상에 대한 고위험 환자로 입원 시에 낙상에 대한 교육을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side rail 내리기, 발 사이즈보다 큰 슬리퍼 신기, 혼자 보행하기, side rail에 걸터앉기 등 낙상 위험이 높은 행동을 하고 있다. 낙상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면 낙상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낙상과 관련된 지식 부족을 6순위 간호진단으로 선정하였다.
-
1.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 과다신기능 저하는 노화와 함께 발생하는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체액 과다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심부전, 신부전 등의 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적절한 수분 섭취와 약물 조절, 그리고 정기적인 건강검진이 필요합니다. 또한 운동, 식이요법 등의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신기능을 유지하고 체액 과다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개인의 상황에 맞는 관리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빈혈 수치 및 쇠약감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빈혈은 노인에게 흔히 나타나는 건강 문제로, 쇠약감과 낙상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빈혈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철분 보충, 비타민 섭취, 식단 조절 등의 방법으로 빈혈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근력 강화 운동, 균형 훈련 등을 통해 낙상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노인의 경우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함께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3.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신기능 저하는 호흡 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체내 산-염기 균형이 깨지고, 이로 인해 호흡 양상이 비효과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호흡 곤란, 피로감 등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산소 공급, 호흡 운동, 약물 치료 등의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기능 저하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개인의 상황에 맞는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4. 면역 저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노화와 함께 면역 기능이 저하되면 감염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는 폐렴, 요로감염, 피부감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균형 잡힌 식단, 충분한 수면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감염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필요한 경우 백신 접종, 항생제 투여 등의 의학적 치료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인의 상황에 맞는 예방 및 관리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5.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양상 장애노인의 경우 환경 변화에 따른 수면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익숙한 환경에서 벗어나면 불안감과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수면의 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환경에 점진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규칙적인 수면 습관 형성, 편안한 수면 환경 조성, 스트레스 관리 등의 방법으로 수면 장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개인의 상황에 맞는 수면 관리 방법을 찾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6. 낙상과 관련된 지식 부족노인의 경우 낙상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해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낙상의 위험 요인, 예방 방법, 대처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노인 스스로 낙상 위험을 인지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가족, 돌봄 제공자 등 주변인들도 낙상 예방에 대한 교육을 받아 노인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 차원에서 낙상 예방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A+ 성인간호학 담낭암 사례보고서 29쪽 (문헌고찰 O,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2개, 진단검사 O, 약물 O, PBL O)1. 담낭암 담낭암은 담낭 세포에서 발생하는 선암종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담낭암의 대다수가 선종이며, 담낭암 환자들은 증상이 없어서 진단 시에는 이미 암이 진행된 상태가 많다. 담낭 점막의 만성적인 자극과 염증은 상피세포의 이형성을 초래하여 담낭암을 유발한다. 담낭암의 조기 증상은 잠행성이고 만성 담낭염은 담석증의 증상과 비슷해서 진단을 내리기 어렵다...2025.01.17 · 의학/약학
-
A+ 성인간호학 십이지장 궤양 사례보고서 35쪽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2개, 문헌고찰O, PBL, 약물 및 진단검사O)1. 십이지장 궤양 십이지장 궤양은 소화성 궤양의 약 80%를 차지하며,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특히 35세~45세 연령에서 발생률이 높다. 십이지장 궤양의 발생은 보통 위산분비 과다와 관련이 있으며, 알코올 섭취와 흡연은 위산분비를 자극하기 때문에 십이지장 궤양 천공과 연관되어 있다. 십이지장 궤양의 증상은 위산이 궤양을 침범했을 때 나타나며,...2025.01.15 · 의학/약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