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슈퍼컴퓨터 도입 역사와 종류, 세계 수준과의 비교
본 내용은
"
컴퓨터구조_우리나라에 현재 도입되어 있는 슈퍼컴퓨터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역사와 종류를 찾아서 정리하시오. 그리고 세계 수준과 비교하여 어떤지 설명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12
문서 내 토픽
  • 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퓨터 도입 역사
    KISTI는 1988년 8월 Cray-2S 슈퍼컴퓨터 1호기를 도입하면서 슈퍼컴퓨터 역사를 시작했다. 이후 1993년 Cray-C90 2호기, 2001년 IBM p690과 NEC SX-5/SX-6 3호기, 2010년 324Tflops 성능의 4호기, 2018년 25.7PFlops 성능의 5호기 '누리온'을 도입했다. KISTI의 슈퍼컴퓨터는 기상예보, 신약개발, 석유 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었다.
  • 2. 기상청의 슈퍼컴퓨터 도입 역사
    기상청은 1999년 NEC SX-5/28M2 1호기, 2004년 CRAY X1E 2호기, 2010년 CRAY XE6 3호기, 2017년 CRAY XC40 4호기를 도입했다. 기상청의 슈퍼컴퓨터는 최신 모델을 지속적으로 도입하며 성능이 향상되어 왔다.
  • 3. 우리나라 슈퍼컴퓨터의 세계 수준 비교
    우리나라는 슈퍼컴퓨터 보유 순위 8위이며, 특히 KISTI의 '누리온'은 전 세계 13위의 성능을 기록했다. 그러나 미국의 '서밋'과 비교하면 아직 뒤처져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슈퍼컴퓨터가 없다는 점이 아쉬운 부분이며, 관련 기관들의 협력을 통해 기술 발전과 성과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퓨터 도입 역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국내 최고 수준의 슈퍼컴퓨터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해 왔다. KISTI는 1980년대 초반부터 슈퍼컴퓨터 도입을 추진하여 1986년 국내 최초로 슈퍼컴퓨터 CRAY-1S를 도입하였다. 이후 지속적으로 슈퍼컴퓨터 성능을 업그레이드하여 현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슈퍼컴퓨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KISTI의 슈퍼컴퓨터는 국내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해 왔으며, 앞으로도 국가 R&D 지원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2. 기상청의 슈퍼컴퓨터 도입 역사
    기상청은 1980년대 후반부터 슈퍼컴퓨터 도입을 추진하여 1989년 국내 최초로 슈퍼컴퓨터 CRAY-2를 도입하였다. 이후 지속적으로 슈퍼컴퓨터 성능을 업그레이드하여 현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슈퍼컴퓨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기상청의 슈퍼컴퓨터는 기상예보 정확도 향상, 기후변화 연구, 재해 예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국가 기상 정보 서비스 향상에 크게 기여해 왔다. 앞으로도 기상청의 슈퍼컴퓨터는 국가 기상 정보 인프라의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3. 우리나라 슈퍼컴퓨터의 세계 수준 비교
    우리나라의 슈퍼컴퓨터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KISTI와 기상청이 운영하는 슈퍼컴퓨터는 세계 TOP500 순위에서 항상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으며, 성능과 에너지 효율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세계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도입된 차세대 슈퍼컴퓨터들은 AI 및 빅데이터 분석 등 새로운 분야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슈퍼컴퓨터 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 슈퍼컴퓨터 인프라의 경쟁력을 더욱 높여 나갈 필요가 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