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 - 시민권 이론
문서 내 토픽
  • 1. 시민권 이론의 내용
    시민권적 복지이론은 T. H. Marshall의 '시민권과 사회계급'이라는 논문에서 처음으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는 주로 시민권적 권리(citizenship right)의 개발과 그것이 사회불평등에 미친 영향분석에 관심을 두었다. 그에 의하면 이러한 권리(시민권)는 공민적(civil), 정치적(political), 사회적(social)이라는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공민권은 법 앞에 개인적 자유와 평등을 보장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법적 제도에 부여되어 발생된다. 둘째, 정치권은 투표권과 공공기관에 접근할 권리와 같은 정치적 참정권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치제도에 부여되어 발생한다. 셋째, 복지권 내지 사회권은 사회의 지배적 기준에 의하여 시민으로서의 문명인 생활과 사회적 유산의 몫을 충분히 분배받을 수 있는 권리, 즉 적은 양의 경제적 복지와 보장에 대한 권리를 의미하며, 복지서비스 제도 및 사회봉사에 부여되어 발생한다.
  • 2. 시민권 이론의 평가
    시민권 이론이 사회복지정책이나 복지제도를 설명하는 데 어느 정도 설명력이 있을까? 이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민권적 복지관의 특성과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시민권적 복지이론은 법률적 복지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봉사 등의 복지형태를 포괄하기가 어렵다. 둘째, 시민권으로서의 복지개념은 서구 민주사회에 한정되어 지역적으로도 지나치게 국한되어 있다. 셋째, 복지국가의 특성으로 볼 수 있는 사회적 권리 내지 복지권의 개념이 구체적으로 명료하게 규정되어 있지 못하다. 넷째, 사회적 권리를 공민적 '정치적 권리와 같은 차원의 개념으로 볼 수 있는가하는 점이다. 이렇게 볼 때, 시민권적 복지관은 현대산업사회의 복지 성격과 사회복지정책의 발달과정을 설명하는 준거틀(the framework of reference)로서는 불충분하다고 평가할 수밖에 없다.
  • 3. 정책적 함의
    사회복지정책에 대하여 시민권 이론이 갖는 기본적 가치는 정책의 정당성에 대한 철학적 기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왜냐하면 시민권 이론에 의하면 복지서비스가 보편적이고 포괄계인 권리가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시민권에 바탕을 둔 사회복지정책을 형성하는 데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첫째, 의문이 제기되는 것은 시민권 사상이 자원배분의 기초로서 자본주의 가치나 지배적 신념과 어떻게 양립할 수 있겠는가 하는 문제이다. 둘째, 시민권 이론에 의한 사회복지정책의 결정 및 집행과정에서 형식적으로 존재하는 사회적 권리(복지권)와 이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존재하는 괴리(discrepancy) 내지 갭(gap)의 문제이다. 셋째, 시민권 이론을 정책과정에 실제 원용할 때 사회복지정책결정에 대한 민주적 통제와 고객의 사회복지정책결정에의 참여확대문제, 이해 당사자의 타협과 합의, 경제적 상황에 대한 고려 등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시민권 이론의 내용
    시민권 이론은 개인이 국가와 맺는 관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적 틀입니다. 이 이론은 시민의 권리와 의무, 국가와 시민 간의 상호작용 등을 다룹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시민권의 구성 요소(시민적 권리, 정치적 권리, 사회적 권리), 시민권 획득 과정, 시민권과 국가 정체성의 관계 등이 있습니다. 이 이론은 개인과 국가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함으로써 민주주의 사회의 기반을 제공합니다.
  • 2. 시민권 이론의 평가
    시민권 이론은 개인과 국가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공하지만, 몇 가지 한계점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첫째, 시민권의 구성 요소와 범위에 대한 견해 차이가 존재합니다. 둘째, 시민권 획득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평등과 차별 문제를 충분히 다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셋째, 세계화와 다문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새로운 시민권 개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민권 이론의 지속적인 발전과 재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정책적 함의
    시민권 이론은 정책 수립과 집행에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공합니다. 첫째,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국가와 시민 간의 관계를 정립할 수 있습니다. 둘째, 시민권 획득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평등과 차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셋째, 다문화 사회에서 새로운 시민권 개념을 반영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민의 권리를 보장하고, 사회 통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시민권 이론은 민주주의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 - 시민권 이론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1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