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행정 재정(재무)관리에서의 예산모형 비교 및 장단점
본 내용은
"
사회복지행정 재정(재무)관리에서는 다양한 예산모형들이 있다. 예산 모형의 개념과 특성(특징)을 배교하여 설명하고, 예산모형의 장단점을 쓰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30
문서 내 토픽
  • 1. 품목별예산
    품목별예산(LIB : Line Item Budget)은 20세기 초 미국에서 예산지출에 대한 통제를 강조하면서 개발된 것으로서, 지출대상을 품목별로 분류하여 지출대상과 한계를 명확하게 규정하는 통제 지향적 예산편성방법이며 가장 오래되고 전통적이고 일반화된 예산체계이다.
  • 2. 성과주의예산
    성과주의예산(PB : Performance Budget)은 기능주의예산(Functional Budget) 또는 사업예산(Program Budget)이라고도 부르는데, 1912년에 미국행정부의 한 위원회에서 처음으로 도입하여 행정부의 각 부서에 이용하게 되었다. 이 성과주의예산은 점증주의예산을 기반으로 한 품목별예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조직의 활동을 기능별 또는 사업별로 나누고 이를 다시 세부사업으로 나누어 세부사업 단위의 원가를 계산하고 여기에 업무량을 곱하여 예산액을 정하고 있다.
  • 3. 기획예산
    기획예산(PPBS : Planning Programming Budgeting Systems)은 1954년 미국의 Rand연구소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어 1965년 이후 미국행정부에 채택된 바가 있다. 이는 장기적인 사업계획을 세우고 실천하기 위한 당해 연도의 사업계획과 이를 뒷받침하는 예산을 통합하여 수립하는 예산체계이다. 이 예산체계의 핵심적인 특징은 바로 사업계획과 예산을 통합하는 것이다.
  • 4. 영기준예산
    영기준예산(ZBB : Zero Based Budgeting)은 1960년대 초에 미국행정부의 농무성에서 처음 시험되어 1960년대 중반부터 미국행정부 내에서 채택되고 있던 기획예산(PPBS)에 통합되어 사용되었고, 1970년대 초에 기획예산이 폐기된 이후에도 미국행 정부 조직 및 주정부 등에서 사용되었다. 이 예산체계는 대규모 조직들에서 잘 나타나는 문제들, 즉 예산이 전변도의 예산에 대한 점증식으로 책정되어 매년 반복되는 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지금까지의 관행이나 전년도 사업의 계속성과는 무관하게 처음부터 새로 사업을 시작한다는 전제하에서 예산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품목별예산
    품목별예산은 정부 예산 편성 시 각 부처와 기관의 지출 내역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편성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예산 집행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예산 편성 과정에서 각 부처의 우선순위와 필요성을 면밀히 검토할 수 있어 예산 배분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세부 항목 간 예산 전용의 어려움, 예산 편성의 경직성 등의 단점도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품목별예산은 정부 재정 운영의 투명성과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예산 편성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성과주의예산
    성과주의예산은 정부 예산 편성 시 각 부처와 기관의 사업 성과를 중심으로 예산을 편성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예산 집행의 책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고 국민에 대한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성과 지표 설정의 어려움, 단기적 성과에 치중할 우려, 부처 간 협력 저해 등의 단점도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성과주의예산은 정부 재정 운영의 책임성과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예산 편성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3. 기획예산
    기획예산은 정부 예산 편성 시 중장기 국가 발전 전략과 정책 목표에 따라 예산을 편성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정부 정책의 일관성과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국가 발전을 위한 중요 사업에 대한 투자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처 간 협력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다만 단기적 성과에 대한 고려가 부족할 수 있고, 예산 편성의 경직성이 높아질 수 있는 단점도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기획예산은 국가 발전을 위한 중장기 관점에서 정부 재정을 운영할 수 있는 중요한 예산 편성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4. 영기준예산
    영기준예산은 정부 예산 편성 시 기존 사업의 지속 여부와 규모를 재검토하여 예산을 편성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예산 편성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재정 건전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 정책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예산 배분의 합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기존 사업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며, 부처 간 이해관계 조정의 어려움 등의 단점도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영기준예산은 정부 재정 운영의 효율성과 건전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예산 편성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