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보장]성인간호학실습 만성 신부전(CRF)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19페이지 자료
문서 내 토픽
  • 1. 신장(Kidney)의 해부·생리
    신장은 한 쌍의 후복막장기로서 제 12흉추에서 제 3요추에 걸쳐 척추 좌우에 위치하는 완두콩 모양의 장기이다. 우신이 간 오래에 있어서 좌신 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고 있고 12번째 늑골의 높이에 있다. 각 신장의 위에는 부신이 있다. 각 신장의 무게는 115-175g정도이다. 신장의 크기는 길이가 약 12cm, 폭이 5-7.5cm, 두께가 약 2.5cm된다. 각 신장주변에 지방과 결합조직이 있어 신장을 지지하고 외부충격을 흡수해 신장을 보호한다. 신장 내측에 움푹 들어간 곳을 신문hilus이라 하며, 이 곳으로 요관, 신장동맥, 신장정맥, 림프관과 신경 등이 통과 한다. 신장피질과 신장 수질: 신장의 종단면을 보면 외측에 적갈색으로 보이는 신장피질cortex과 내측에 적색으로 보이는 신장수질medulla이 뚜렷이 구분된다. 신장수질은 약 8~18개의 피라밋(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이 피라밋의 기저부는 피질을 향해 있고, 정점은 유두papilla로서 작은 신배minor calyx에 돌출되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장(Kidney)의 해부·생리
    신장은 인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입니다. 신장의 주요 기능은 체내 노폐물 및 과잉 수분을 배출하여 체내 균형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신장은 복부 후부에 위치하며, 좌우 각각 하나씩 총 두 개가 있습니다. 신장의 해부학적 구조를 살펴보면, 신장 피질, 신장 수질, 신우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신장 피질에는 네프론이라는 기능 단위가 밀집되어 있어 여과와 재흡수 과정을 통해 노폐물 배출 및 체액 균형을 조절합니다. 신장 수질에는 신장 피라미드가 있어 농축된 오줌을 신우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신장의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기능은 인체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신장 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신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A+보장]성인간호학실습 만성 신부전(CRF)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19페이지 자료입니다.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25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