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의 공명 실험_결과레포트
본 내용은
"
[일반물리학실험2] 관의 공명 실험_결과레포트 (단국대 A+자료_ 오차율/결과분석/고찰/토의 포함)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20
문서 내 토픽
-
1. 닫힌 관의 공명 진동수닫힌 관의 공명 진동수에 따른 파장의 이론치는 관의 길이 L에 end correction factor 0.2d를 더해 공명길이를 보정하였다. 음속 실험치와 이론치를 비교하여 오차백분율을 계산하였다.
-
2. 열린 관의 공명 진동수열린 관의 기본진동수의 이론치는 관의 길이 L에 end correction factor 0.8d를 더해 공명길이를 보정하였다. 음속 실험치와 이론치를 비교하여 오차백분율을 계산하였다.
-
3. 음파의 공명 현상 관찰마이크를 스피커 앞의 열린 관 입구로 가까이 이동시켜 공명하는 관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진동의 진폭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확인하여 마디 위치를 결정하였다.
-
4. 음속 측정 오차 분석실험 결과 음속의 실험치와 이론치 사이의 오차율이 31.85%, 0.84%로 나타났다. 높은 오차율은 육안 측정 오류와 기기 한계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5. end correction factor 적용닫힌 관의 공명진동수에 대한 파장을 결정할 때 0.2d의 end correction factor는 다소 적절하지 않으며, 직접 계산하여 보정하는 것이 실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
1. 닫힌 관의 공명 진동수닫힌 관의 공명 진동수는 관의 길이와 음속에 의해 결정됩니다. 관의 길이가 길수록 공명 진동수는 낮아지며, 음속이 빠를수록 공명 진동수가 높아집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관의 길이나 음속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닫힌 관의 공명 진동수는 실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명 진동수 분석은 음향 공학, 건축 음향학, 악기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2. 열린 관의 공명 진동수열린 관의 공명 진동수는 닫힌 관의 공명 진동수와 달리 관의 길이와 음속뿐만 아니라 관의 단면적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열린 관의 경우 관 양끝의 압력이 대기압과 같아지므로, 관 내부의 압력 변화가 크게 나타납니다. 이로 인해 공명 진동수가 달라지게 됩니다. 열린 관의 공명 진동수 분석은 악기 설계, 건축 음향학, 소음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특히 관의 단면적 변화에 따른 공명 진동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음파의 공명 현상 관찰음파의 공명 현상은 특정 주파수의 음파가 특정 공간에서 증폭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음파가 공간 내에서 반사와 간섭을 일으켜 특정 주파수에서 공명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공명 현상은 악기 연주, 건축 음향학, 소음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집니다. 공명 현상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것은 음향 시스템 설계와 최적화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공간의 크기, 형태, 재질 등이 공명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음속 측정 오차 분석음속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은 다양합니다. 온도, 습도, 기압 등 환경 요인의 변화, 측정 장비의 정확도, 측정 방법의 한계 등이 오차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차 요인을 분석하고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온도와 습도를 정확히 측정하고, 보정 공식을 적용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정밀한 측정 장비를 사용하고, 반복 측정을 통해 통계적 오차를 줄이는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음속 측정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
5. end correction factor 적용end correction factor는 열린 관의 공명 진동수를 계산할 때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열린 관의 경우 관 양끝에서 음파가 반사되어 나오면서 관 길이가 실제보다 약간 더 길게 작용하게 됩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end correction factor를 적용하여 공명 진동수를 계산합니다. end correction factor는 관의 단면적, 음속, 관 길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nd correction factor를 적용하지 않으면 공명 진동수 계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적용이 필요합니다.
-
일반물리실험 관의공명 결과레포트, 관의공명 3페이지
결과 리포트관의 공명일반물리학실험조Ⅰ. 이론값실온T =20 CENTIGRADEv = 331.5 + 0.607T =343.64m/sⅡ. 측정값주파수f`=`600Hzx _{1} ``(m)0.07mx _{2} ``(m)0.34mLEFT | x _{2} -x _{1} RIGHT | ``(m)0.27m파장lambda `=2 LEFT | x _{2} -x _{1} RIGHT | ``(m)0.54m음속의 측정값v'`=`f lambda ``(m/s)324m/s상대오차LEFT ( {LEFT | v'-v RIGHT |} over {v} RIGHT )...2021.02.24· 3페이지 -
현대물리실험 관의 공명 결과 레포트 4페이지
4) 정상파, 보정 상수, 공명이란 무엇인가?정상파 : 파장과 진폭이 같은 두 파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여 중첩되어있는 파동으로 한정된 공간인 마디 사이에 갇혀 제자리에서 진동하는 형태.보정 상수 : 음파는 관 내에서 정확히 공명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관 밖으로 일부 밀려나 공명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을 보정하는 상수가 필요하다.공명 : 물체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는 파동이 일어날 때 순간 물체의 진동이 커지는 현상2021.04.16· 4페이지 -
한양대(서울) 일반물리학및실험 관의 공명 결과레포트 3페이지
-결과분석- 이 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주파수와 음속간의 관계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주파수는 음속에 무관하다. 즉, 소리의 속력은 매질과 온도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오차원인분석-이론값의 오차가 발생하였을 수 있다. 즉, 온도 측정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 있다. 두번째 실험에서 측정값들이 대부분 이론값보다 크게 측정되었는데, 이로 미루어보아 관내의 실제온도가 측정한 온도보다 더 높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2021.06.28· 3페이지 -
[A+]일반물리학실험1 결과 레포트 (9.관의 공명) 2페이지
Ⅰ. 실험 목적1. 음파란 무엇인지 이해한다. 2. 스피커를 이용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주파수를 가진 음파를 발생시켜 공명조건과 정상파의 의미를 알아본다. Ⅱ. 실험데이터관의 길이 0.5mⅢ. 결과 분석 및 오차 분석 1. 결과 분석이론에 따르면 음파의 속도는 (331.5 + 0.607T) m/s이며 이론 공명진동수를 구하는 공식 은 [(2n-1) v/{(4)(L)}]이다. 측정 공명진동수를 정숫값이 되도록 반사판을 조정하여 실 험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n 값은 정수비가 아닌 실수비를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실험과정에서 측정한 공명...2023.11.02· 2페이지 -
[실험보고서] A+ 받음 물리학 및 실험 2 보고서 - 공명 8페이지
Report공명1. 실험제목 : 공명2. 실험 목적플라스틱 공명관(resonance tube) 공기 기둥의 음파 공명주파수를 구하고 정상파의 골과 마루의 위치를 측정하여 음파의 파장과 음속을 결정한다.3. 관련이론A. 공명관에서의 정상파줄에서 들어가는 파와 끝단에서 반사해서 나오는 두 개의 파가 서로 간섭하여 정상파를 형성한다. 줄에서 형성되는 정상파에는 움직이지 않는(즉 진폭이 0인) 지점인 골(node)과 파동에 의해 움직이는(즉 진폭이 최대인) 지점인 마루(antinode)가 있으며, 이곳에서 진폭은 시간에 따라 상하로 진동한...2021.08.18·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