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평가-로샤검사에서 정서
본 내용은
"
심리평가-로샤검사에서 정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6
문서 내 토픽
  • 1. EBper
    EBper는 EB값 중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나눠준 값으로, 피검자의 대처 유형이 전반적으로 퍼져 있는지를 결정하는 변인입니다. EBper가 2.5 이상인 경우 외향적 유형이며, 의사결정 시 정서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EBper가 2.5 미만인 경우 내향적 유형이며, 의사결정 전 감정을 보류하는 관념적 스타일을 사용하지만 때로는 감정이 사고를 직접 변화시키기도 합니다.
  • 2. eb 값
    eb 값은 Sum FM + Sum m : Sum C'+ Sum T + Sum V + Sum Y로, 비일상적인 괴로운 경험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검토합니다. eb 값이 2 이상이면 괴로움이나 정서적 불편감의 존재를 나타내며, 각 변인들의 값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 3. Sum C' : Wsum C
    Sum C' : Wsum C 비율은 정서의 억압 또는 제한과 관련됩니다. Sum C'가 Wsum C보다 작으면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정서 표출을 더 많이 억압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짜증나는 기분을 겪을 수 있습니다.
  • 4. Affective Ratio
    Affective Ratio(Afr)는 8~10번 카드 반응 수 / 1~7번 카드 반응 수로, 정서적 자극을 경험할 때 피검자의 관심사와 관련됩니다. Afr이 평균 범위 내에 있으면 정서 조절이나 통제에 지속적인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평균 범위보다 낮으면 정서적 자극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5. Intellectualization Index
    Intellectualization Index(2AB + Art + Ay)는 정서적 상황이나 경험의 영향을 관념적 차원으로 다루어 감소시키거나 중화하는 과정을 반영합니다. 이 지표가 높으면 보통 사람들보다 더 자주 지적인 수준에서 정서를 다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 6. Color Projection
    Color Projection(CP)은 무채색 카드에서 색 반응을 보인 경우 채점되며, 불쾌한 정서적 경험을 다루기 위해 독특한 형태의 부인을 사용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 7. FC : CF+C Ratio
    FC : CF+C 비율은 정서적 경험의 통제와 조절, 억제된 정서 표현, 자유로운 정서 환기와 관련됩니다. FC가 CF+C보다 크면 정서 표현에 대한 통제가 보통 사람들만큼 잘 되는 편이며, FC가 CF+C보다 작으면 정서 표현에 대한 통제가 부족한 편입니다.
  • 8. Pure C 반응
    Pure C 반응은 미성숙하거나 원시적인 형태의 반응을 나타내며, 정서 조절 실패와 부적응적 행동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9. 공백 반응
    공백 반응(S 반응)의 수가 많으면 부정주의, 반항성, 분노 등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10. 혼합반응, EB, Lambda
    혼합반응의 비율이 평균 범위를 벗어나면 피검자의 심리적 복잡성 수준이 예상보다 다를 수 있습니다. 상황적 요인으로 인해 복잡성이 증가했을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EBper
    EBper는 에고 경계 반응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정상적인 범위는 0.33-0.99 사이입니다. EBper가 높다는 것은 에고 경계 반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개인의 자아 경계가 명확하고 자기 통제력이 강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면 EBper가 낮다면 자아 경계가 불분명하고 충동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EBper는 성격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통해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2. eb 값
    eb 값은 에고 경계 반응과 관련된 지표로, 정상적인 범위는 0.33-0.99 사이입니다. eb 값이 높다는 것은 에고 경계 반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개인의 자아 경계가 명확하고 자기 통제력이 강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면 eb 값이 낮다면 자아 경계가 불분명하고 충동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eb 값은 성격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통해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3. Sum C' : Wsum C
    Sum C' : Wsum C는 정서적 반응과 관련된 지표로, 정상적인 범위는 0.85-1.15 사이입니다. 이 비율이 높다는 것은 정서적 반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개인이 감정적으로 민감하고 정서적 표현이 풍부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면 이 비율이 낮다면 정서적 반응이 적고 감정 표현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Sum C' : Wsum C는 개인의 정서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 4. Affective Ratio
    Affective Ratio는 정서적 반응과 관련된 지표로, 정상적인 범위는 0.40-0.99 사이입니다. 이 비율이 높다는 것은 정서적 반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개인이 감정적으로 민감하고 정서적 표현이 풍부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면 이 비율이 낮다면 정서적 반응이 적고 감정 표현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Affective Ratio는 개인의 정서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 5. Intellectualization Index
    Intellectualization Index는 지적 기능과 관련된 지표로, 정상적인 범위는 0.50-1.50 사이입니다. 이 지표가 높다는 것은 지적 기능이 발달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개인이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면 이 지표가 낮다면 지적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감정적 반응이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Intellectualization Index는 개인의 인지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 6. Color Projection
    Color Projection은 정서적 반응과 관련된 지표로, 정상적인 범위는 0.50-1.50 사이입니다. 이 지표가 높다는 것은 정서적 반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개인이 감정적으로 민감하고 정서적 표현이 풍부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면 이 지표가 낮다면 정서적 반응이 적고 감정 표현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Color Projection은 개인의 정서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 7. FC : CF+C Ratio
    FC : CF+C Ratio는 정서적 반응과 관련된 지표로, 정상적인 범위는 0.50-1.50 사이입니다. 이 비율이 높다는 것은 정서적 반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개인이 감정적으로 민감하고 정서적 표현이 풍부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면 이 비율이 낮다면 정서적 반응이 적고 감정 표현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FC : CF+C Ratio는 개인의 정서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 8. Pure C 반응
    Pure C 반응은 정서적 반응과 관련된 지표로, 정상적인 범위는 0-3 사이입니다. 이 반응이 많다는 것은 정서적 반응이 풍부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개인이 감정적으로 민감하고 정서적 표현이 활발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면 이 반응이 적다면 정서적 반응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Pure C 반응은 개인의 정서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 9. 공백 반응
    공백 반응은 정서적 반응과 관련된 지표로, 정상적인 범위는 0-2 사이입니다. 이 반응이 많다는 것은 정서적 반응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개인이 감정 표현에 어려움을 겪거나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면 이 반응이 적다면 정서적 반응이 풍부할 수 있습니다. 공백 반응은 개인의 정서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 10. 혼합반응, EB, Lambda
    혼합반응, EB, Lambda는 모두 성격 특성과 관련된 지표입니다. 혼합반응은 정서적 반응과 인지적 반응이 함께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며, EB는 에고 경계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Lambda는 자기 통제력과 관련된 지표로, 이 값이 높다는 것은 자기 통제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개인의 성격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