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통신 언어에서 명사형 어미 '-음'의 종결어미로서의 기능
본 내용은
"
통신 언어에서 명사형 어미 '-음'의 종결어미로서의 기능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7
문서 내 토픽
  • 1. 통신 언어의 정의
    한국에서는 1990년 중반 이후 인터넷이 급격하게 확산되면서 '통신 언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이정복(2003: 21)은 통신 언어에 대한 초기의 논의들을 정리하여 인터넷 통신 언어를 '전자 통신에서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글자 언어'로 새롭게 정의 내리고 있다.
  • 2. 통신 언어의 특징
    일상 언어와 구별되어 새롭게 발달한 통신 언어의 특징은 '비규범성'으로 요약된다. 통신 언어의 발생은 '오타'와 같은 비의도적 요인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인터넷 공간에서의 언어 사용자들이 의도적이고 적극적으로 인터넷이라는 특성에 따라 새로운 언어를 발달시킨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언어의 발생 동기를 이정복(2003: 31-63)은 '경제성, 표현성, 오락성, 유대성, 심리적 해방성'으로 제시한다.
  • 3. 통신 언어의 확대와 일상 언어와의 관계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통신 언어의 영향력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휴대성은 인터넷 사용의 시공간적 제약을 사라지게 했으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등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발달은 다채널소통의 시대를 열어 놓았다. 인터넷상에서 읽고 쓰는 일이 증가하면서 반대로 일상에서의 언어 생활은 줄어들고 '과묵해지는 경향'이 나타난다(이정복, 2012). 일상 공간에서 사람들과 함께 있으면서도 각자의 스마트폰으로 제3자와 소통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통신 언어가 일상 언어보다 더 '일상적인' 자리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초기에는 일상 대화가 인터넷 공간으로 전이되었었다면 이제 통신 언어가 다시 일상으로 전이되면서 통신 언어와 일상 언어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 4. 통신 언어 연구의 필요성
    또한 통신 언어가 사용되는 인터넷상의 사용역이 다양해지고, 동일한 매체라 하더라도 그 목적과 대상에 따라 언어 사용의 형태가 달라진다. 이러한 현대 사회의 언어적 현상을 고려한다면 통신 언어에 대한 연구는 불가피해 보인다. 통신 언어의 확대와 다양화는 통신 언어의 세부 영역으로서 각 장르에 따른 담화적 언어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통신 언어의 정의
    통신 언어는 인터넷, 모바일 메신저, SNS 등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상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의미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문어체나 구어체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통신 언어는 빠른 소통을 위해 간단한 문장 구조, 약어 사용, 이모티콘 등을 활용하며, 비공식적이고 개인적인 표현이 많이 나타납니다. 또한 시공간의 제약이 적어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고, 익명성으로 인해 보다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통신 언어는 기존 언어 체계와는 구분되는 독특한 양상을 보입니다.
  • 2. 통신 언어의 특징
    통신 언어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간결성과 압축성입니다. 빠른 소통을 위해 문장을 최소화하고 약어, 이모티콘 등을 활용합니다. 둘째, 비공식성과 개인성입니다. 통신 언어는 공식적인 문어체와 달리 구어체에 가까우며, 개인의 감정과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합니다. 셋째, 상호작용성입니다.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여 즉각적인 피드백과 반응이 가능합니다. 넷째, 다양성과 창의성입니다. 통신 언어는 기존 언어 규범을 벗어나 새로운 어휘와 표현을 만들어내며, 이모티콘 등 시각적 요소를 활용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통신 언어는 기존 언어와는 구분되는 독특한 양상을 보입니다.
  • 3. 통신 언어의 확대와 일상 언어와의 관계
    통신 언어는 점차 일상 언어에 영향을 미치며 확대되고 있습니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통신 언어가 일상 대화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으며, 이는 점차 다른 연령층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통신 언어와 일상 언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습니다. 한편 통신 언어는 일상 언어에 새로운 어휘와 표현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갑분싸', '개쩌네' 등의 신조어가 일상 대화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처럼 통신 언어와 일상 언어는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언어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언어 규범과 예절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통신 언어의 확대가 언어 사용의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언어 파괴와 예절 문제 등 부정적인 측면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4. 통신 언어 연구의 필요성
    통신 언어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통신 언어는 기존 언어 체계와는 구분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통신 언어의 어휘, 문법, 화용 등 다양한 층위에서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통신 언어가 일상 언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통신 언어의 확산이 언어 규범과 예절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은 무엇인지 등을 연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셋째, 통신 언어 연구를 통해 언어 교육과 언어 정책에 시사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통신 언어의 특성을 반영한 언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언어 규범과 예절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이처럼 통신 언어 연구는 현대 사회의 언어 변화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따라서 통신 언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