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립학교 조성원가 대비 공급가격 사례
본 내용은
"
사립학교 조성원가 대비 공급가격 사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12
문서 내 토픽
-
1. 사립학교 법적 정의사립학교법 제2조에 따르면 사립학교는 학교법인, 공공단체 외의 법인 또는 그 밖의 사인(私人)이 설치하는 유아교육법,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를 말한다.
-
2. 학교용지 공급가격 기준학교용지 확보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르면 공공기관이 개발사업을 하는 경우 학교용지를 무상으로 공급해야 하나, 사립학교의 경우 조성원가 이하로 공급할 수 있다. 택지개발업무처리지침에서도 사립학교용지는 조성원가 수준으로 공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3. 특별법에 따른 토지공급 사례새만금사업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혁신도시 등 특별법에 따른 토지공급 사례를 살펴보면 초·중학교는 조성원가 100% 또는 20%, 고등학교는 조성원가 100% 또는 30% 수준으로 공급하고 있다. 사립학교의 경우 동탄2신도시는 조성원가 100%, 광교신도시는 조성원가 50%, 울산 북구 송정지구는 조성원가 100% 수준으로 공급되었다.
-
1. 사립학교 법적 정의사립학교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개인이나 법인이 설립·경영하는 학교를 말합니다. 사립학교는 교육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공공성과 투명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입니다. 사립학교법에 따르면 사립학교는 교육의 기회균등, 학교운영의 민주성과 투명성 확보, 교육의 질적 향상 등을 위해 일정 수준의 규제를 받게 됩니다. 이를 통해 사립학교가 공공성을 확보하면서도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학교용지 공급가격 기준학교용지 공급가격 기준은 학교 설립에 필요한 토지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현행 법령에 따르면 학교용지는 개발사업시행자가 무상으로 제공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다만 개발사업 지역의 토지 가격이 높은 경우 학교 설립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학교용지 공급가격 기준을 합리적으로 마련하여 학교 설립을 촉진하고 교육 기회의 균등을 보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토지 가격 수준, 개발이익 환수 등을 고려한 기준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특별법에 따른 토지공급 사례특별법에 따른 토지공급 사례는 특정 목적을 위해 토지를 공급하는 제도로, 교육, 산업, 주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혁신도시 개발 특별법에 따라 공공기관 이전 부지를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거나, 산업단지 개발 특별법에 따라 산업용지를 공급하는 등의 사례가 있습니다. 이러한 특별법에 따른 토지공급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필요한 경우 활용될 수 있지만, 동시에 토지 소유자의 재산권 보호, 투명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균형을 이루어야 할 것입니다. 특별법에 따른 토지공급 제도는 공공의 이익과 개인의 권리가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