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르샤하 종합체계 20장 자기지각
본 내용은
"
로르샤하 종합체계 20장 자기지각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8
문서 내 토픽
-
1. 투사된 자료의 탐색로샤 검사 절차가 투사를 요구하거나 강요하지는 않지만, 잉크반점의 애매모호한 특성은 피 검자가 대상을 윤색하거나 자극장의 변형과 같은 반응을 하도록 촉발시킨다. 이런 반응들은 투사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다. 매 기록마다 나타나기는 하지만 그 빈도는 상당히 다양하며, 반응에서 투사된 자료가 나타나지 않는 피검자도 있다.
-
2. 오지각(misperception)과 윤색(embellishment)로샤 반응에서는 투사의 2가지 형태가 나타난다. 1) 오지각: 잉크반점이나 잉크반점 영역 특유의 중요한 특성은 잉크반점 특성에 적합한 반응 범위에 제한을 주기도 한다. 2) 윤색: 어떤 반응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피검자의 특성을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
3. 마이너스 반응(-)-반응은 가장 먼저 검토되어야 한다. 개인의 중재적 활동(mediational activity)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심리적 세트(set)를 반영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4. 병리적 내용 반응(MOR)MOR기호로 채점된 반응은 그 자신에게 갖는 부정적인 인상의 일부를 가정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빈도가 매우 높은 MOR반응도 있다. 보통 '다친, 깨진, 싸운, 파괴된'과 같은 여러 가지 MOR 반응에서 사용된 동의어들은 자기 개념에 대한 매우 신뢰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
5. 인간운동·인간내용 반응반응들을 분류하면 이 피검자가 어떤 것에 집착하고 있는지 또는 피검자의 정체성과 관련된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대체로 자기상이나 자기존중감에 대한 가정을 세우는데 유용한 정보들이 제공되곤 한다.
-
6. 동물운동반응·무생물운동반응FM반응과 m반응에서 수동성, 공격성, 분명한 감정 같은 몇 가지 반응들의 특징이 동질적이면 의미 있게 투사된 자료라고 볼 수 있다.
-
7. 사례 12 요약그는 대체적으로 자신을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의 자아존중감이나 개인적인 가치감은 매우 낮으며 자기 자신에 대해 심하게 반추적이다. 그는 희생당하고 위협 받는다고 느끼고 있으며 부적절감의 문제에 대해 몰두하고 있는데 성에 대한 집착도 포함된다. 또한 무력감이 두드러지는데, 그가 현재 상황에서 자신을 매우 무능하거나 변변찮은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8. 사례 13 요약그녀는 과도하게 자기-중심적인 사람으로 미숙하고 극단적으로 자기중심적이다. 동시에 매우 자기반성적(내성적)이지만 이것이 그녀에게 더 어려움이 되는 것 같진 않다. 그녀는 매우 유아적인 특성이 있다. 그녀는 스스로 매우 연약하고 취약하다고 여긴다. 그녀는 자신의 삶 속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사건들의 원인을 모두 외부로 돌린다.
-
1. 주제2: 오지각(misperception)과 윤색(embellishment)오지각과 윤색은 개인의 지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실제 사실과 다르게 인식하거나 과장하여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개인의 경험, 기대, 편견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지각과 윤색은 정확한 정보 전달을 방해하고, 의사결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인식하고 극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객관적인 정보 수집, 비판적 사고, 자기성찰 등을 통해 오지각과 윤색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인식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
2. 주제4: 병리적 내용 반응(MOR)병리적 내용 반응(MOR)은 투사검사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로, 개인의 병리적 특성이나 심리적 문제를 반영하는 반응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반응은 개인의 내적 갈등, 불안, 우울 등과 관련될 수 있으며, 정신병리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MOR 반응을 분석하고 해석할 때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단순히 MOR 반응의 빈도만으로 판단하기보다는 개인의 전반적인 심리적 특성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3. 주제6: 동물운동반응·무생물운동반응동물운동반응과 무생물운동반응은 투사검사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로, 개인의 무의식적 동기, 감정, 갈등 등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개인의 성격 특성, 심리적 특성, 대인관계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반응을 해석할 때는 개인의 문화적 배경, 경험, 상황적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단순히 반응의 빈도만으로 판단하기보다는 전체적인 반응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4. 주제8: 사례 13 요약사례 13은 투사검사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고 해석한 사례입니다. 이 사례에서는 대상자의 동물운동반응, 무생물운동반응, 인간운동·인간내용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투사검사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 유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의 문화적 배경, 성격 특성, 상황적 요인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동물가족화와 만다라의 이해 12페이지
목 차제1편 동물가족화1. 동물가족화 개발 배경과 특성 22. 동물가족화의 유용성 및 평가 기준 43. 동물가족화의 해석상의 지표(형식적 및 내용적 분석) 54. 동물가족화에 표현된 ‘본인과 가족관계’의 분류 5제2편 만다라1. 만다라의 기원 62. 만다라의 상징 9제1편 동물가족화1. 동물가족화 개발 배경과 특성1동적가족화는 가족화에 움직임을 첨가한 일종의 투사화이다. 투사란 프로이드가 방어개념의 하나로 처음 사용한 언어이다. 그림을 심리학적 평가도구로 사용한 것은 Goodenough(1926)가 인물화를 통해 내담자의 지적인 측...2023.03.24· 12페이지 -
[장애인교육] 정서행동장애 연구 8페이지
1. 이론적 배경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1) 카푸만(Kauffman) : 행동장애아동이란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주위 환경에 원만하게 적응하지 못하는 아동들이다.(2) 커크와 겔라거(Kirk & Gallagher, 1979) : 행동장애아란 아동 자신의 발달과 타인의 생활 또는 두 측면을 다 뚜렷이 방해하는 일탈된 행동을 하는 아동이다.(3) IDEA의 정의 - 바우어(Bower,1969)의 정의가 수정됨1 교육적 수행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하나 이상 장기간 그리고 뚜렷 한 정도로 보이는 아동들이다.·지적, 감...2003.07.01·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