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간호학실습 [문제해결형 사례보고서]_4.출산 산부간호
본 내용은
"
여성건강간호학실습 [문제해결형 사례보고서]_4.출산 산부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17
문서 내 토픽
  • 1. 분만 5요소
    분만의 5요소로는 만출 물질 (Passenger), 산도(Passage way), 만출력(Power), 심리적 반응(Psychological response), 산부의 자세(Position)가 있다. 1. 만출 물질 (Passenger)는 태아와 그 부속물인 태반, 양수 등을 말한다. 2. 산도(Passage way)는 경산도(골반 : 골반 입구, 골반 출구, 골반 형태), 연산도(경부, 질강, 회음조직 등)를 말한다. 3. 만출력(Power)은 자궁의 수축과 견축의 일차적인 힘과 산부가 밑으로 힘을 주는 노력을 포함하는 복부 근육의 긴장과 횡격막의 수축 등의 이차적인 힘을 말한다. 4. 심리적 반응(Psychological response)은 산부 자신의 분만에 대한 이해와 준비성, 지지자의 도움과 환경, 문화의 조건을 말한다. 5. 산부의 자세(Position)는 분만과정 중의 산부가 취할 수 있는 모든 자세(앙와위의 부동자세는 좋지 않다.)를 말한다.
  • 2. 분만 기전
    분만 기전은 1. 진입(ebgagement), 2. 하강(descent), 3. 굴곡(flexion), 4. 내회전(internal rotation), 5. 신전(extension), 6. 원상 회전(restitution), 7. 외회전(external rotation), 8. 만출(explusion)이다. 1. 진입(ebgagement)은 선진부의 가장 큰 횡경선이 골반 입구에 들어서는 것이다. 2. 하강(descent)은 태아가 골반 입구를 지나 골반 출구를 향하여 내려가는 모든 과정이다. 3. 굴곡(flexion)은 태아의 선진부가 하강을 시작하면 골반의 연조직과 골반저(pelvic floor)의 근육구조, 그리고 자궁경부의 저항을 받아 일어난다. 4. 내회전(internal rotation)은 골반강에서 골반 출구에 이를 때까지, 아두의 시상봉합이 산부의 골반의 전후경선에 일치하도록 골반강에서 회전하는 것이다. 5. 신전(extension)은 골반저의 저항과 질구를 향한 기계적인 움직임에 의하여 아두가 신전하게 되어 치골결합 아래쪽을 통과하게 된다. 6. 원상 회전(restitution)은 아두가 만출된 후 태아의 머리가 골반 내에서 내회전 되기 이전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아두의 원래 위치로 복구되는 것이다. 7. 외회전(external rotation)은 태아 어깨의 횡경선을 골반 출구의 전후경선에 맞추기 위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8. 만출(explusion)은 외회전이 완료됨과 거의 동시에 골반 전방에 위치한 태아의 어깨가 먼저 질구를 통해 만출되는 것이다.
  • 3. 분만의 신체, 생리적 변화
    1. 심혈관계: 분만 동안에는 심박출량, 혈압, 맥박이 모두 증가한다. 2. 조혈계: 질 분만으로 인하여 산부는 평균 500ml 미만의 실혈하게 되며, 제왕절개의 경우 평균 1,000mL 미만의 혈액 손실이 발생한다. 3. 호흡기계: 분만하는 동안 산부는 매 호흡 시마다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4. 비뇨기계: 방광 팽만은 선진부의 하강을 막거나 효과적인 자궁수축을 저해하여 지연분만을 초래할 수 있다. 5. 소화기계: 분만 직전과 분만 동안에는 위장운동, 위액 분비가 저하되어 소화 시간과 위가 비워지는 시간이 지연된다. 6. 근골격계: 릴락신(relaxin)은 골격 사이의 연골을 연화시켜 치골결합과 천미골관절을 늘어나게 한다. 7. 신경계: 분만 시 통증은 일정한 것이 아니라 급성이고, 파도처럼 극에 달했다가 가라앉는다. 8. 대사: 분만 중 산부의 불안과 근골격운동으로 탄수화물 대사가 증가하게 되며, 체온, 맥박, 호흡, 심박출량이 증가하고 수분 소실이 증가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분만 5요소
    분만 5요소는 분만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5가지 요소를 말합니다. 이는 자궁 수축, 태아, 골반, 산도, 산모의 심리적 상태입니다. 이 5가지 요소가 적절하게 작용하여 조화를 이루어야 정상적인 분만이 가능합니다. 자궁 수축은 분만을 진행시키는 핵심 요소이며, 태아의 위치와 자세, 크기 등이 적절해야 합니다. 산모의 골반 구조와 산도의 상태도 중요한데, 골반이 좁거나 산도에 이상이 있으면 분만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산모의 심리적 상태도 분만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산모가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5가지 요소가 균형을 이루어야 정상적인 분만이 가능하며,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지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 2. 분만 기전
    분만 기전은 태아가 산도를 통해 밖으로 나오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생리적 과정으로, 자궁 수축, 태아의 위치 변화, 골반의 변화 등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이루어집니다. 태아는 자궁 수축에 의해 점진적으로 하강하며, 골반을 통과하면서 머리, 어깨, 몸통 순으로 나오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태아의 자세와 위치가 중요한데, 만약 태아의 자세나 위치가 부적절하면 난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산모의 골반 구조와 산도의 상태도 분만 기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골반이 좁거나 산도에 이상이 있으면 태아가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분만 기전은 매우 복잡하고 섬세한 과정이며,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서는 이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어야 합니다. 의료진의 세심한 관찰과 적절한 개입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 3. 분만의 신체, 생리적 변화
    분만은 산모의 신체와 생리에 많은 변화를 가져옵니다. 먼저 신체적인 변화로는 자궁 수축, 자궁 경부 확장, 골반 구조의 변화 등이 있습니다. 자궁 수축은 분만을 진행시키는 핵심 요소이며, 자궁 경부 확장은 태아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냅니다. 또한 골반 구조가 변화하여 태아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됩니다. 생리적인 변화로는 호르몬 분비 변화, 혈액 순환 변화, 호흡 변화 등이 있습니다. 분만 과정에서 옥시토신,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호르몬이 분비되어 자궁 수축을 촉진하고, 혈액 순환이 증가하여 산모와 태아에게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또한 호흡이 빨라지고 깊어져 산모와 태아의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합니다. 이처럼 분만은 산모의 신체와 생리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며, 이러한 변화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정상적인 분만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