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무기 태양광전지 광전변환효율과 양자효율 측정
본 내용은
"
A+ 받은 유기,무기 태양광전지 광전변환효율과 양자효율 측정 및 분석-신소재 예비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30
문서 내 토픽
-
1. 태양광전지의 작동원리태양광전지는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광활성층에 흡수된 빛이 전자와 정공 쌍인 엑시톤을 생성하는 광여기 현상이 발생하며, P극과 N극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전자와 정공이 각각 음극과 양극으로 흐르게 되어 전류가 발생합니다. 표준 실험 조건은 인공태양광의 입력광 파워가 1000W/m²인 AM 1.5 스펙트럼입니다.
-
2. 광전변환효율과 양자효율광전변환효율은 빛을 전기로 전환하는 효율을 나타내며, 필 팩터(FF), 단락 전류 밀도(Jsc), 개방 회로 전압(Voc)을 이용하여 계산됩니다. 양자효율은 광자 또는 전자가 다른 에너지의 광자 또는 전자로 변환되는 비율이며, 외부 양자효율(EQE)은 입사된 광자 중 전자가 빠져나오는 비율, 내부 양자효율(IQE)은 흡수한 광자 중 전자가 빠져나오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
3. 유기태양광전지의 구조와 특성유기태양광전지는 전자를 줄 수 있는 물질(도너)과 받을 수 있는 물질(억셉터)을 혼합하여 p-n 접합과 같은 효과를 얻습니다. 유기물 사용의 장점은 높은 흡광계수로 얇은 막에서도 많은 빛 흡수가 가능하며 유연하다는 점입니다. ITO는 양극으로, Al은 음극으로 사용되며, 광활성층의 유기 반도체는 유기 단분자와 고분자로 나뉩니다.
-
4. 실험 기기 및 측정 시스템글러브박스는 수분과 산소에 취약한 샘플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분리합니다. 스핀 코터는 원심력으로 물질을 균일하게 펴 얇은 막을 형성합니다. 열 증착기는 저진공 상태에서 시료를 기체로 만들어 기판에 증착시킵니다. Newport 시스템은 태양광 모사 광원으로 광전변환효율을 측정하고, Quantx-300은 다양한 파장에서 양자효율을 측정합니다.
-
1. 태양광전지의 작동원리태양광전지는 반도체의 p-n 접합에서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빛이 반도체에 입사되면 광자의 에너지가 전자-정공 쌍을 생성하고, 내부 전기장에 의해 전자와 정공이 분리되어 전류가 발생합니다. 이 원리는 매우 우아하고 효율적이며, 현대 에너지 문제 해결의 핵심 기술입니다. 다만 실제 응용에서는 재결합 손실, 반사 손실 등 다양한 손실 메커니즘을 극복해야 하므로, 지속적인 재료 개발과 구조 최적화가 필수적입니다.
-
2. 광전변환효율과 양자효율광전변환효율(PCE)은 입사된 태양 에너지 중 실제로 전기로 변환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성능 지표입니다. 양자효율(QE)은 특정 파장의 광자가 전자-정공 쌍을 생성하는 확률을 의미하며, 이는 파장에 따라 달라집니다. 두 지표 모두 태양광전지의 성능 평가에 필수적이며, 이들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광학 손실 감소, 전자 수송층 최적화, 재결합 억제 등 다층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현재 상용 실리콘 태양광전지의 효율은 약 20% 수준이며, 이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산업의 주요 과제입니다.
-
3. 유기태양광전지의 구조와 특성유기태양광전지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사용하여 가볍고, 유연하며, 저비용 제조가 가능한 차세대 태양광전지입니다. 일반적으로 공여체-수용체(donor-acceptor) 구조의 벌크 헤테로접합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이는 광자 흡수와 전하 분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합니다. 유기태양광전지의 장점은 유연성과 투명성이지만, 낮은 효율(현재 약 15-18%)과 안정성 문제가 주요 제약입니다. 최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광전지와의 결합이나 새로운 유기 물질 개발을 통해 성능 향상이 진행 중이며, 향후 건물 일체형 태양광(BIPV) 등 특화된 응용 분야에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4. 실험 기기 및 측정 시스템태양광전지 성능 평가를 위한 정확한 측정 시스템은 연구와 개발의 기초입니다. 주요 기기로는 태양 시뮬레이터(AM 1.5G 표준 조건), 전자 부하기, 분광 응답 측정 장치, 임피던스 분석기 등이 있습니다. 이들 기기는 높은 정확도와 재현성을 요구하며, 국제 표준(IEC 61215 등)을 따라야 합니다. 정확한 측정은 태양광전지의 실제 성능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다만 측정 환경의 온도, 습도, 조명 조건 등 다양한 변수를 엄격히 제어해야 하므로, 고급 실험실 인프라와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합니다.
-
유기태양광전지 제작 및 분석 (예비)1. 태양광전지의 구조와 작동원리 태양광전지는 태양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장치입니다. 무기 태양광전지와 유기 태양광전지로 나뉩니다. 무기 태양광전지는 실리콘과 같은 무기물에 불순물을 doping한 것이고, 유기 태양광전지는 광활성층(photoactive layers)으로 공액 유기화합물을 사용한 것입니다. 2. 인공 태양 광원 및...2025.05.12 · 공학/기술
-
나노결정 태양전지의 제작 예비1. 반도체 태양전지 반도체 태양전지는 태양열(가시광선)의 흡수, 즉 에너지에 의해 p형 반도체에서는 정공이 발생하고, n형 반도체에서는 전자가 발생하는 반응을 이용한다. p-n 접합에 의해 발생한 정공과 전자는 반도체를 통해서 서로 이동하며 전류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반도체 태양전지의 경우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반도체 단결정(single crystal...2025.05.09 · 공학/기술
-
유기태양광전지 제작 및 분석 (예비) 4페이지
1. 실험 목적태양광전지의 구조와 작동원리 및 유/무기 태양광전지의 차이를 이해한다. 인공 태양 광원 및 양자 효율 측정기의 작동 원리를 학습하여 태양광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 및 양자 효율을 측정한다.또, 외부 양자 효율과 내부 양자 효율의 차이를 구별한다.2. 실험 원리1) 용어 정의전도성 고분자: 고분자 본래의 특성인 가볍고 가공이 쉬운 장점을 유지한 채 전기를 통할 수 있는 플라스틱 소재의 일종이다. 이는 형변화가 자유롭고, 고분자의 특성상 압력을 가해도 쉽게 깨지지 않고 휠 수 있다. 태양광전지(Solar(Photovolta...2023.08.04· 4페이지 -
[섬유공학실험]유기 태양전지의 제작 및 측정 9페이지
유기 태양전지의 제작 및 측정- Fabrication of Organic Solar Cell and It`s Measurement -1. 실험 목적가. 대표적인 유기반도체 소재인 p-형 폴리(3-헥실)티오펜, poly(3-hexyl thiophene)과 n-형 플러렌 유도체, ph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PCBM)를 이용한 유기태양전지의 소개, π-공액구조 및 전하이동 메커니즘,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해한다.나. 유기태양전지 효율에 있어 벌크 이종접합(bulk ...2020.09.13· 9페이지 -
염료감응 태양전지(DSSC) 40페이지
염료감응태양전지 (DSSC) 그린에너지 응용 및 실험 2 조 2011-12-04 1목차 DSSC 의 정의 DSSC 의 원리와 구조 DSSC 의 효율 DSSC 의 응용 및 미래동향 참고문 헌 2011-12-04 2염료감응태양전지 염료감응태양전지란 ? (Dye-Sensitized Solar Cells ) 식물의 광합성 원리를 응용한 소자 식물의 엽록체에서 빛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과 유사 구성 태양광 흡수용 염료고분자 n 형 반도체 역할을 하는 넓은 band gap 을 갖는 반도체 산화물 p 형 반도체 역할을 하는 전해질 촉매용 상대전극...2013.12.18· 40페이지 -
고분자유기태양전지 23페이지
고분자 유기태양전지수 강 과 목담 당 교 수실 험 일 자제 출 일 자실 험 조작성자 이름조 원Abstract유기 태양광 전지는 탄소이중결합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구조를 가진 고분자를 사용한다. 유기 분자들은 합성이 간단하고 광 흡수 용량이 매우 커서 수백 나노미터 정도의 두께만으로도 태양전지에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이나 용액 인쇄공정을 통해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기판에도 박막 형성이 가능해 여타 박막 태양전지 기술에 비해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이번 실험에서는 고분자 유기 태양전지 소자를 제작한다. 먼저 A...2010.10.02· 23페이지 -
DSSC cell제작 6페이지
DSSC(Cell 제작)- 예비 보고서 -과 목재료공학실습Ⅱ분 반1 분반담당교수김상호 교수님학 과신소재공학과학 번2005171032이 름임 언 호목 차1. 실험 목적2. 관련 이론1.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개념2. 염료3. 전해질4. 금속 대전극5. n-형 산화물참고 문헌1. 실험 목적dye-sensitized solar cell(DSSC) 태양전지의 원리와 Cell의 제작과정을 익힘으로써 태양전지를 완벽히 이해하고 TiO2의 두께를 달리하여 Cell의 효율을 비교해 봄으로써 TiO2의 양이 Cell의 효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2010.12.25· 6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