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역대사략: 1895년 편찬 한국 고대사 교과서
본 내용은
"
조선역대사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6
문서 내 토픽
-
1. 단군조선우리나라 최초의 국가로 단군이 세운 나라입니다. 단군은 고조선의 시조이자 우리민족의 시조입니다. 이름은 왕검(王儉)이며, 신인이 태백산 단목 아래에 내려와 나라 사람들이 임금으로 세웠습니다. 나라를 조선이라 하고 처음 평양에 도읍하였다가 뒤에 구월산에 도읍하였습니다.
-
2. 기자조선기자는 중국 은나라의 태사이자 주 임금의 제부였습니다. 주 무왕이 상을 이기자 기자는 동쪽 조선으로 들어왔으며, 무왕이 그를 조선에 봉하였습니다. 기자가 동쪽으로 올 때 중국 사람 5천 명이 따라왔으며, 시서·예악·의무·음양·복서·백공·기예 등의 문화를 전파했습니다.
-
3. 삼한(마한·진한·변한)마한은 기준이 위만에게 쫓겨 남쪽 금마군에 건국한 나라로 50여 나라를 통솔했습니다. 진한은 진나라에서 망명해 온 사람들이 정착한 지역으로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하여 신라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변한은 낙동강 하류 유역에서 발달하여 가야의 기초가 되었으며, 11개의 나라를 통솔했습니다.
-
4. 조선역대사략의 구성1895년 학부 편집국에서 고등교육기관의 역사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입니다. 모두 3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권1은 단군기·기자기·삼한·위만조선·4군 2부·삼국기에 대한 내용이고, 권2는 고려기, 권3은 본조기인 조선역사부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
1. 단군조선단군조선은 한국 고대사에서 가장 오래된 국가로 전해지는 역사적 존재입니다. 기원전 2333년 건국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고고학적 증거가 제한적이어서 학계에서는 신화적 요소와 역사적 사실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군조선의 존재는 한민족의 정체성과 역사 의식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를 통해 한반도 초기 국가 형성 과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존하는 기록들이 대부분 후대에 편찬된 것이므로, 비판적 검토와 함께 고고학적 발굴을 통한 실증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
2. 기자조선기자조선은 중국 상나라의 유민 기자가 건국했다는 전설적 국가로, 한국 고대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기자조선의 존재 여부와 그 영역, 통치 기간 등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의견이 나뉘고 있습니다. 일부는 실제 역사적 국가로 보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신화적 구성으로 해석합니다. 기자조선이 전한 문명 요소와 통치 체계는 한반도 초기 국가 발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동아시아 고대사의 문화 교류를 이해하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
3. 삼한(마한·진한·변한)삼한은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던 마한, 진한, 변한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한국 고대사에서 중요한 시기를 대표합니다. 각 한은 독립적인 정치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상호 교류와 경쟁을 통해 발전했습니다. 마한은 가장 광대한 영역을 차지했고, 진한과 변한은 각각 독특한 문화와 정치 구조를 형성했습니다. 삼한 시대는 이후 삼국시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기초를 제공했으며, 당시의 사회 구조, 경제 활동, 대외 관계 등을 연구함으로써 한반도 고대사의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4. 조선역대사략의 구성조선역대사략은 조선시대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중요한 사료로, 한국 고대사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역사를 포괄적으로 다룹니다. 이 저작의 구성은 시대별, 주제별로 조직되어 있어 한국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조선역대사략은 단순한 사건 기록을 넘어 역사적 의미를 해석하려는 시도를 보여주며, 당시의 역사 인식과 가치관을 반영합니다. 다만 편찬 시기와 편찬자의 관점에 따른 편향성을 고려하여 비판적으로 읽을 필요가 있으며, 다른 사료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더욱 정확한 역사 이해가 가능합니다.
-
한국 실증주의 사학 9페이지
Ⅰ. 일본 실증사학1. 에도시대2. 메이지유신시대3. 청일전쟁 이후Ⅱ. 한국 실증사학1. 17c~18c 실학2. 한말 계몽주의 역사학(갑오개혁 이후)3. 1930년대 실증사학4. 해방이후Ⅲ. 실증사학의 한계1. 연구방법론적 한계2. 현실도피적 역사사학Ⅳ. 마치며..한국 실증사학? 한국사학의 접근방법 - 민족주의적 접근- 사회경제적 접근- 실증주의적 접근*(강당사학자로서 한국사학의 정통을 유지하는 전문 역사가라 자부)Ⅰ. 일본 실증사학1. 에도시대1603-1868 (실증사학 이전)- 주자학자(하야시 라산林羅山·후지와라 세이카藤原星窩·...2021.05.18· 9페이지 -
개화기 역사교과서의 서술과 역사인식 11페이지
開化期 歷史敎科書의 敍述과 歷史認識Ⅰ. 머리말Ⅱ. 근대 초기 역사서의 간행1) 개화운동기2) 개화개혁기3) 계몽운동기Ⅲ. 개화개혁기의 국사교과서1)조선역대사략2)동국사략3)역사집략Ⅳ. 개화기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역사인식Ⅴ. 맺음말Ⅰ. 머리말한국사에서 근대적 전환은 역사서술을 통해서 잘 나타나고 있다. 전근대사학에서 근대사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역사서는 한국사학이 어떻게 근대화되어 갔던가를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연구 주제가 된다.‘근대사학’이란 서술방식이나 체계가 과학적 · 실증적인 사실에 따라 역사주체를 사회 구성원 전체로 보는 ...2014.11.14· 11페이지 -
한국사 특강(한국인의 역사의식) 5페이지
한국인의 역사의식1. 고대적?유교적 역사의식의 성립?전승과 그속에 담긴 의식들이 문자로 정착될 때 역사서가 만들어짐?의식은 역사의 주체자, 역사의 장을 담는 세계관, 그리고 서술방식의 진전에 따라 변화1) 삼국시대와 남북국 시대?공통점 - 고구려 『유기』, 백제 『서기』, 신라 『국사』 등은 모두 중국사서의 명칭과 다르고 삼국이 고대국가 체제를 정비한 후 국가팽창단계에서 나타남?내용 - 해와 달?하늘로 연결되는 왕실계보를 중심, 부족설화 및 신화?전설들 종교 특히 샤머니즘적 세계관으로 체계화하여 왕실의 권위를 높임 → 『동명왕편』,...2012.12.05· 5페이지 -
근대초기의 역사인식 5페이지
근대 초기의 역사인식1. 근대사학의 태동근대사학은 경사일체(經史一體)의 중세사학에서 역사학이 학문으로 독립하는 데서 출발한다. 그리고 한국사가 중국역사에 종속되었던 종래의 서술인 중화부용(中華附庸)적 역사서술에서 벗어나 독자적 민족사학으로 정립하는 것이 요망되었다. 학문으로 성립하자면 서술방식이나 체제가 과학적이어야 한다. 중세적 역사서술인 왕실 중심의 서술이나 명분론을 앞세우거나 단순한 기억을 위한 편년체 방식의 서술에서 벗어나, 실증적인 사실에 따라서 역사담당자 전체를 주체로 한 서술과 인과관계에 의한 사회의 발전과 퇴보를 구명...2008.01.30· 5페이지 -
[한국사학사] 한국 개화기의 역사가 - 현채 4페이지
한국의 역사가와 사서 - 발표문현 채1. 현채의 생애현채는 1856년 조선의 대표적 역관 가문이었던 천녕(川寧) 현씨가에서 출생하였으며 호는 백당이다. 천녕 현씨가문은 당시 가장 많은 왜학(倭學) 급제자를 배출한 가문이었는데, 그는 1873년 18세의 나이로 역과(驛科)의 한학(漢學)에 급제한 후 별다른 직책없이 일본어 공부에 몰두하다 1892년 부산항 감리서의 번역관에 발탁되었다. 그는 부산 관직시절 당시 개항의 분위기로 왜인들과 많이 접촉하며 왜학을 공부하였다.그는 갑오개혁 이후 통리교섭아문{)1882년({고종19) 청(淸)나라...2004.05.28· 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