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과 관련된 약물을 계열별로 정리한 자료
본 내용은
"
정신간호학과 관련된 약물을 계열별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5
문서 내 토픽
  • 1. 항정신약물(Atypical)
    Clozapine (Clozaril)은 초기용량으로 제 1일에는 12.5mg을 1회 혹은 2회 투여한 다음, 제 2일에는 25mg정제 1정을 1회 혹은 2회 투여하며, 유지용량 범위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200mg~450mg을 1일 2~4회 분할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졸음, 피로, 구갈, 시야몽롱, 타액분비 과다, 실신, 빈맥, 체위성 저혈압, 발작, 과립구 감소증, 호산구증가증 등이 있습니다. Risperidon (Risperdal)은 초기용량으로 1회 1mg을 1일 1회 경구투여하고 서서히 증량하며, 유지용량은 1회 1~3mg을 1일 2회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불면증, 현기증, 집중력 저하, 변비, 소화불량, 불안, 초조, 두통, 피로감, 구역, 복통, 진전, 경직, 타액 분비 증가, 추체외로계 증상, 기립성 저혈압, 발기부전 등이 있습니다.
  • 2. 항정신약물(Typical)
    Chlorpromazine (Thorazine)은 성인의 경우 1일 30mg-100mg, 정신과 영역에서는 50-450mg을 분할 경구투여하며, 부작용으로는 혈압강하, 빈맥, 부정맥, 심장질환악화, 백혈구감소, 과립구감소,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간장애, 소화기 장애, 추체외로증상, 축동 불안, 권태감, 발열, 부종 등이 있습니다. Haloperidol (Haldol)은 초회량으로 1일 1-15mg을 2-3회 분할 경구투여하며, 중증의 경우 최대 100mg까지 투여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추체외로 증상, 불면, 현운, 저혈압, 부종, 눈의 조절장애, 구갈, 코 막힘, 체중증가, 발한, 유즙 분비, 위장장애 등이 있습니다.
  • 3. 항우울제(TCA)
    Imipramine은 1일 25~75mg을 분할 경구투여하고 200mg까지 점차적으로 증량투여할 수 있으며, 필요시 300mg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배뇨곤란, 경련, 현기, 두통, 추체외로증상, 저혈압, 마비성 장폐쇄 등이 있습니다. Amitriptyline은 1일 30~75mg을 2~3회 분할 경구투여하고 필요시 1일 150mg까지 점차적으로 증량할 수 있으며, 드물게 1일 300mg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항콜린 효과, 운동마비, 근육강직, 기립성저혈압 등이 있습니다.
  • 4. 항우울제(SSRI)
    Paroxetine은 우울성 질환의 경우 1일 20mg으로 시작하여 필요시 단계적으로 10mg씩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1일 50mg까지 투여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동성빈맥, 혈압변화, 저나트륨혈증, 흐린 시야, 구역, 변비, 설사, 구갈, 무력증, 말초부종, 간효소의 증가, 현기증, 진전, 추체외로적 이상반응, 졸음, 불면, 혼돈, 뇨저류 등이 있습니다. Fluoxetine은 초기치료로 1일 1회 20mg을 오전에 경구투여하며, 부작용으로는 불안, 신경과민증, 졸음, 피로, 어지러움, 두통, 식욕부진 등이 있습니다.
  • 5. 기분안정제
    Lithium carbonate는 성인의 경우 탄산리튬으로서 1일 0.6-1.8g을 1일 3회 분할 경구투여하며, 부작용으로는 구역, 구토, 설사, 식욕부진, 연하곤란, 조대진전, 근육연축, 운동장애, 운동실조 등이 있습니다. 투약 시 주의사항으로는 치료 전과 후 환자상태 사정, 치료 전 갑상선 및 신장, 전해질, 심전도 검사, 정기적 재 사정, 약물 투여 후 8~12시간 혈중농도 측정, 주기적 관찰, 약물 부작용 & 상호작용 사정 등이 있습니다.
  • 6. 항경련제
    Cambamazepine(Tegretol)은 성인의 경우 이 약으로서 초회량은 1일 200-400mg이며 1일 600 mg까지 분할투여할 수 있으며, 부작용으로는 피부발진, 운동협응장애, 졸리움, 현운, 언어장애, 운동실조 등이 있습니다. Valproate (Depakene)는 초기 권고 용량이 체중 kg 당 발프로산나트륨 20 mg을 1일 1-2회 분할 경구투여하며, 권장 유지용량은 1일 1,000mg에서 2,000mg입니다. 부작용으로는 오심, 구토, 설사, 진정, 운동실조, 구음장애, 두통, 불안, 우울, 혈소판 감소 등이 있습니다.
  • 7. 항불안제(Benzodiazepines)
    Diazepam (Valium)은 1회 2-10mg을 1일 2~4회 경구투여하며, 부작용으로는 졸음, 현기, 운동실조, 피로, 두통, 진전, 언어장애, 백혈구/호중구 감소, 빈맥, 서맥, 순환 성숙, 호흡억제, 위장장애, 발진, 부종, 황달, 뇨저류 등이 있습니다. Clonazepam (ribotril)은 초회 용량으로 1일 1.5mg을 초과하지 않으며 3회 동량으로 분할 경구투여하고, 유지 용량은 3일 간격으로 0.5mg씩 증량하여 1일 3~6mg을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의존성 및 금단증상, 정신신경계, 지침, 졸음, 휘청거림, 어지러움, 식욕부진, 구역, 구토 등이 있습니다.
  • 8. 항불안제(Azaspirodecanedine)
    Buspirone Hcl (Buspar)은 초회량으로 염산부스피론 1회 5mg을 1일 3회 경구투여하며, 부작용으로는 비특이성 흉통, 실신, 고혈압 및 저혈압, 울혈성 심부전, 이명, 인후통, 유즙 분비, 빈뇨, 월경이상, 무뇨 근통, 관절통, 홍조, 부종, 가려움 등이 있습니다.
  • 9. 수면제
    Flurazepam(Dalmane)은 1일 1회 15mg을 취침전에 경구투여하고 중증의 경우에는 30mg을 투여하며, 부작용으로는 현운, 구갈, 보행실조, 두통, 오심, 변비, 발진, 황달, 혈압강하, 속쓰림, 심계항진 등이 있습니다. Triazolam (Halcion)은 0.125 ~ 0.25 mg을 취침전에 경구투여하며, 부작용으로는 의존성 및 금단증상, 졸음, 어지러움, 다행증, 빈맥, 피로, 혼돈/기억상실, 우울증, 두통, 시각 이상 등이 있습니다.
  • 10. 항파킨슨 약물
    Benztropine (cogetine)은 초기 용량으로 1일 0.5-1mg을 경구투여하고, 유지 용량은 5-6일 간격으로 1일 0.5mg씩 점차 증량하여 사용합니다. 부작용으로는 오심, 구토, 구갈, 배뇨곤란, 변비, 뇨폐색, 운동실조, 환각, 의식장애, 신경과민, 눈의 조절 장애 등이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항정신약물(Atypical)
    항정신약물(Atypical)은 전통적인 항정신병약물(Typical)과는 다른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 외에도 세로토닌, 히스타민, 아세틸콜린 등 다양한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에 작용하여 정신증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형적인 항정신병약물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인지기능 저하가 적은 것이 장점이지만, 대사성 부작용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정신사회적 개입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2. 항정신약물(Typical)
    전통적인 항정신병약물(Typical)은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정신증상을 개선하는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정신증상 개선에 효과적이지만, 추체외로 부작용, 지연성 운동장애, 고프로락틴혈증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비전형 항정신병약물(Atypical)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형 항정신병약물도 여전히 중요한 치료 옵션 중 하나이며,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정신사회적 개입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3. 항우울제(TCA)
    삼환계 항우울제(TCA)는 오랜 역사를 가진 대표적인 항우울제 계열입니다. 이들은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여 우울증 증상을 개선하는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삼환계 항우울제는 효과적이지만, 항콜린성 부작용, 심혈관계 부작용, 과량 투여 시 치명적인 독성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삼환계 항우울제도 여전히 중요한 치료 옵션 중 하나이며,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항우울제(SSRI)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세로토닌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우울증 증상을 개선하는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삼환계 항우울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은 것이 장점입니다. 또한 노인이나 소아 환자에게도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성기능 장애, 불면증, 불안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적절한 SSRI를 선택하고, 부작용 발생 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 5. 기분안정제
    기분안정제는 양극성 장애, 조울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들은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에 작용하여 기분의 극단적인 변화를 억제하고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기분안정제로는 리튬, 발프로산, 카르바마제핀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효과적이지만, 갑상선 기능 저하, 신장 독성,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기분안정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정신사회적 개입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6. 항경련제
    항경련제는 간질, 신경병증성 통증, 양극성 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들은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에 작용하여 신경 흥분을 억제하고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항경련제로는 발프로산, 카르바마제핀, 가바펜틴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효과적이지만, 진정, 어지러움,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병력에 따라 적절한 항경련제를 선택하고, 부작용 발생 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정신사회적 개입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7. 항불안제(Benzodiazepines)
    벤조디아제핀계 항불안제는 불안, 불면증, 근육 긴장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들은 GABA 수용체에 작용하여 신경 억제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벤조디아제핀계 항불안제로는 디아제팜, 알프라졸람, 로라제팜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빠른 효과와 높은 효능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만, 의존성, 인지기능 저하, 낙상 위험 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 사용을 피하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정신사회적 개입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8. 항불안제(Azaspirodecanedine)
    아자스피로데카네딘계 항불안제는 벤조디아제핀계 항불안제와 유사한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지만, 의존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대표적인 아자스피로데카네딘계 항불안제로는 부스피론이 있습니다. 이 약물은 5-HT1A 수용체에 작용하여 불안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벤조디아제핀계 항불안제에 비해 작용 발현이 느리지만, 인지기능 저하나 낙상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따라서 장기 사용이 필요한 환자나 노인 환자에게 유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차가 크므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9. 수면제
    수면제는 불면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들은 GABA 수용체에 작용하여 신경 억제를 증가시켜 수면을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수면제로는 벤조디아제핀계 수면제, 비벤조디아제핀계 수면제, 멜라토닌 수용체 작용제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빠른 수면 유도 효과가 있지만, 의존성, 낙상 위험, 기억 장애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 사용을 피하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수면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수면 위생, 인지행동 치료 등의 비약물적 개입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10. 항파킨슨 약물
    항파킨슨 약물은 파킨슨병의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들은 도파민 수용체 작용, 도파민 분비 촉진, 아세틸콜린 수용체 차단 등의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항파킨슨 약물로는 레보도파, 도파민 작용제, 아만타딘, 항콜린제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효과적이지만, 구토, 어지러움, 인지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부작용 발생 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물리치료, 작업치료 등의 재활 치료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