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ST-II 발달선별검사: 역사, 한국형 개정, 타당성 평가
본 내용은
"
DDST-II 발달선별검사 레포트 (A+ 받은 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6
문서 내 토픽
-
1. DDST-II 발달선별검사의 역사적 배경Denver Development Screening Test(DDST)는 1967년 Dr. W.K.Frankenburg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아동의 잠재적 발달문제를 감별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종래의 발달사정도구가 사용방법이나 해석이 어려워 더 간단한 도구로 개발되었고, 이후 DDST-R과 Denver-II로 개정되었습니다. 현재 이 도구는 54개국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15개국 이상에서 표준화되어 사용 중입니다. 출생 시부터 6세까지 개인사회성, 미세운동, 언어 및 전체운동영역의 발달수준을 105항목으로 사정합니다.
-
2. 한국형 Denver-II의 개정 및 특성한국형 Denver-II는 신희선 등의 재표준화 연구에 의해 수정되었으며 110개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개인사회성, 미세운동, 언어, 전체운동 발달 영역으로 나뉘며, 해당 연령 아동 75% 합격 항목 실패는 주의, 90% 합격 항목 실패는 지연으로 해석합니다. 전체 해석에서 지연 2개 이상은 비정상, 1개 지연 또는 주의 2개 이상은 의심, 1개 이하 주의는 정상으로 분류합니다.
-
3. DDST-II 개정의 이유DDST-II 개정은 언어영역 보완의 필요성, 해석이나 시행이 어려운 항목 제거 또는 수정, 다양한 인종, 성, 어머니 교육수준, 주거환경에 따른 검사 적합성 확인, 학업성적과의 관계 등 민감성 향상을 목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사회문화적 변수가 아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므로 문화나 환경 변화에 따른 주기적 재표준화가 필요합니다.
-
4. Denver-II의 타당성 및 임상적 가치한국형 Denver-II의 타당성 평가 결과 Bayley 발달 진단에 대한 민감도는 90.28%, 특이도는 60.97%로 나타났으며 전체 79.6%가 올바로 분류되었습니다. 베일리 검사에서 정신발달지연(MDI<85)을 진단 기준으로 할 때 민감도 0.87, 특이도 0.62로 나타났으며, Denver-II의 각 영역별 발달은 베일리 검사의 정신발달지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여 전반적인 발달 선별검사로서의 타당성을 입증합니다.
-
1. DDST-II 발달선별검사의 역사적 배경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는 1967년 Frankenburg와 Dodds에 의해 개발되어 영유아의 발달 지연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 자리잡았습니다. 초기 DDST는 1,036명의 정상 발달 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되었으며, 개인-사회성, 미세운동, 언어, 대운동 등 4개 영역을 평가했습니다. 이후 1989년 DDST-R이 개발되어 항목 수를 125개로 확대하고 표본 크기를 2,096명으로 증가시켰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발전은 발달 선별 검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을 보여주며, 현대 아동 건강 관리에서 필수적인 평가 도구로 확립되는 과정을 반영합니다.
-
2. 한국형 Denver-II의 개정 및 특성한국형 Denver-II는 한국 아동의 발달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문화적 적응과 표준화 과정을 거쳤습니다. 원본 Denver-II의 항목들을 한국 문화 맥락에 맞게 수정하고, 한국 아동 1,2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새로운 규준을 개발했습니다. 특히 언어 발달 항목에서 한국어의 특성을 반영하고, 한국 가정의 양육 방식과 교육 환경을 고려한 조정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개정은 한국 아동의 발달 패턴을 더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게 하며, 임상 현장에서의 진단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
3. DDST-II 개정의 이유DDST-II로의 개정은 여러 중요한 이유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첫째, 원본 DDST의 표본이 1960년대 미국 인구를 대표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고, 더 다양한 인구집단을 포함한 표준화가 필요했습니다. 둘째, 사회 변화에 따른 아동 발달 패턴의 변화를 반영해야 했습니다. 셋째,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항목 분석과 통계적 재검토가 필요했습니다. 넷째, 임상 실무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검사의 실용성을 개선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개정은 발달 선별 검사의 과학적 근거를 강화하고 임상적 유용성을 증대시키는 데 목적이 있었습니다.
-
4. Denver-II의 타당성 및 임상적 가치Denver-II는 수십 년간의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높은 타당성이 입증되었습니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우수하여 발달 지연 아동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적용 가능한 보편적 도구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임상적 가치 측면에서 Denver-II는 조기 개입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비용 효율적이고 시간 효율적인 선별 도구입니다. 또한 부모 면담을 통한 정보 수집으로 가족 중심의 평가가 가능하며,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들은 Denver-II를 영유아 발달 평가의 표준 도구로 만들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