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가와사키병 아동의 간호 사례 연구
본 내용은
"
아동간호 casestudy(소아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8
문서 내 토픽
  • 1. 가와사키병(Mucocutaneous Lymph Node Syndrome)
    가와사키병은 5세 남아 환자에게서 진단된 질환으로, 내원 4일 전부터 발생한 발열(39.9도), 콧물, 복통을 시작으로 구토, 피부발진, 안구충혈,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응급혈액검사에서 WBC 상승, 혈색소 저하, ESR 상승 등이 확인되었으며, IVIG(감마글로블린 44g for 12hr) 투여 및 아스피린 등의 약물 치료가 시행되었다. 입원 후 5일 이내에 발열이 정상범위로 회복되고 피부증상이 호전되었다.
  • 2. 소아 고체온 간호
    환아는 39.9도의 고열을 보였으며, 2시간 간격의 체온 측정, 오한 시 담요 사용, 얇은 옷 착용,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피부 닦기, 수분 섭취 격려 등의 간호중재가 시행되었다. 해열제(setopen suspension 32mg/mL) 투여 및 IVIG 투여를 통해 5월 19일 체온이 정상범위(36.5~37.2℃)로 회복되었고, 보호자가 열 감소에 따른 안구충혈과 입술 발적의 호전을 확인했다.
  • 3. 소아 영양부족 및 식욕부진 관리
    질병으로 인한 식욕부진으로 환아가 식사를 거부하고 구토 증상을 보였다. 간호중재로 식욕부진의 원인을 사정하고, 매일 아침 체중을 측정(5/16: 22.2kg, 5/17: 22.0kg, 5/18: 22.0kg)하며, 환아의 기호식품을 파악하여 식단을 구성했다. 정맥주사를 통한 수액 공급(dextrose inj. 4% 1000mL bag)을 유지하고 보호자 교육을 시행한 결과, 5일 이내에 식사 거부 없이 식사하는 모습을 보였다.
  • 4. 소아 피부손상 간호 및 증상 관리
    환아는 하지 부종, 가려움증으로 인한 긁음, 빨간 입술, strawberry tongue 등의 피부 증상을 보였다. 간호중재로 피부손상 정도를 사정하고, 피부 긁지 않기, 가피 뜯지 않기 교육, 부종 부위 마찰 및 압력 회피, 비누 사용 제한, 기분전환 활동 제공, 입술에 바셀린 도포 등을 시행했다. 5월 18일 이후 하지 부종이 나타나지 않았고 입술 색이 정상화되며 strawberry tongue도 소실되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가와사키병(Mucocutaneous Lymph Node Syndrome)
    가와사키병은 영유아에게 발생하는 급성 전신성 혈관염으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5세 이하의 소아에서 고열이 5일 이상 지속되면서 특징적인 임상증상이 나타날 때 의심해야 합니다. 간호 측면에서는 IVIG와 아스피린 투여 시 정확한 용량 계산과 투여 방법 준수가 필수적이며, 심장 합병증 모니터링을 위한 정기적인 심초음파 검사 결과를 주의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질병의 경과, 치료 계획, 장기 추적 관찰의 필요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소아 고체온 간호
    소아의 고체온은 감염성 질환의 주요 증상으로, 체온 측정 방법과 해석이 정확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연령별 정상 체온 범위를 이해하고 적절한 측정 부위를 선택해야 하며, 고체온으로 인한 경련 위험성을 평가하고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물리적 냉각법과 약물 투여를 병행할 때는 아동의 편안함을 고려하고, 과도한 냉각으로 인한 오한을 방지해야 합니다. 보호자 교육을 통해 가정에서의 적절한 체온 관리와 응급 상황 대처 방법을 안내하는 것이 효과적인 간호 중재입니다.
  • 3. 소아 영양부족 및 식욕부진 관리
    소아의 영양부족과 식욕부진은 성장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원인 파악과 체계적인 중재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영양 상태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식이 선호도와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맞춤형 식단을 제공해야 합니다. 식사 환경을 편안하고 긍정적으로 조성하며, 아동이 식사에 참여하도록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호자와의 협력을 통해 가정에서의 영양 관리 방법을 교육하고, 필요시 영양사와 협력하여 전문적인 영양 상담을 제공하는 통합적 접근이 효과적입니다.
  • 4. 소아 피부손상 간호 및 증상 관리
    소아의 피부손상은 감염 위험이 높고 흉터 형성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한 간호가 필요합니다. 손상 부위의 정확한 사정, 적절한 상처 세척 및 드레싱이 기본이며,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는 설명과 심리적 지지를 제공해야 합니다. 가려움증이나 통증 관리를 위해 약물 투여와 비약물적 중재를 병행하고, 아동이 상처를 건드리지 않도록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보호자 교육을 통해 가정에서의 상처 관리 방법, 감염 징후 인식, 흉터 예방 방법을 안내하여 최적의 치유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