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 신생아실 실습 체크리스트
본 내용은
"
아동간호 신생아실 실습 체크리스트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6
문서 내 토픽
-
1. 신생아 감염관리신생아실에서의 감염관리는 무균술 원칙에 따라 수행된다. 내과적 무균술을 통해 손씻기, 격리지침, 폐기물 관리를 실시한다. 손씻기는 음식물 취급 전, 식사 전, 각 대상자 접촉 전후에 수행하며, 표준주의에 따라 장갑, 마스크, 가운 등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의료폐기물은 종류별로 분류하여 전용용기에 버리고, 생활폐기물과 혼합하면 과태료가 부과된다.
-
2. 신생아 영양공급신생아의 영양공급 방법은 모유수유, 병수유, 위관영양 세 가지이다. 모유수유는 신생아에게 가장 이상적인 영양법으로 초유가 태변 배설을 촉진하고 신생아 황달을 예방한다. 병수유 시 트림이 중요하며, 위관영양은 삽입길이를 코에서 귓불, 귓불에서 검상돌기까지 더한 길이로 설정하고 위치 확인 후 중력으로 천천히 주입한다.
-
3. 신생아 신체사정신생아 신체사정은 아프가 점수로 자궁외 생활 적응을 평가하며, 심박동수, 호흡노력, 근력, 자극반응, 피부색을 관찰한다. 활력징후는 체온 36.5~37℃, 맥박 120~160회/분, 호흡 30~60회/분, 혈압 80/46mmHg이다. 피부는 밝은 붉은색이며 태지, 솜털, 말단청색증 등의 정상 소견을 확인한다.
-
4. 신생아 초기간호신생아 초기간호는 신분확인, 호흡유지, 보온, 투약, 제대간호를 포함한다. 예방접종으로 B형간염과 비타민K를 투여하고, 안약으로 임균성 안염을 예방한다. 제대는 제와 위 1~2cm와 그 위 1cm 두 곳을 묶고 절단하며, 절단면을 소독수로 닦고 마른 거즈로 싼다.
-
5. 신생아 고위험 증상 관리신생아의 고위험 증상으로는 발열, 심잡음, 기저귀발진, 설사, 신음음, 두혈종, 청색증, 창백함, 구토, 황달, 안구분비물, 태변착색 등이 있다. 발열 시 38℃ 이상에서 해열진통제를 사용하고, 청색증은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여 산소 조절을 시행한다. 황달은 생리적, 모유, 병리적 황달로 분류되며 광선치료로 치료한다.
-
1. 신생아 감염관리신생아 감염관리는 신생아 사망률을 낮추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신생아는 면역체계가 미성숙하여 감염에 매우 취약하므로, 철저한 손 위생, 무균 기술, 그리고 환경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제대 관리, 피부 소독, 의료진의 감염 예방 교육이 중요합니다. 모자보건 시설에서의 표준 주의 지침 준수와 감염 감시 체계 구축은 신생아 감염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모유 수유 권장과 예방적 항생제 사용의 적절한 판단도 감염관리의 핵심입니다.
-
2. 신생아 영양공급신생아의 적절한 영양공급은 성장과 발달의 기초입니다. 모유 수유가 최적의 영양 공급 방법이며, 초유의 중요성과 수유 빈도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모유 수유가 불가능한 경우 인공 수유를 적절히 시행해야 하며, 신생아의 체중 감소, 배뇨 횟수, 배변 양상을 모니터링하여 영양 상태를 평가해야 합니다. 조산아나 저체중 신생아의 경우 특별한 영양 관리가 필요하며, 수유 후 트림, 위치 변경 등의 간호도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체중 측정과 성장 곡선 추적으로 영양 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3. 신생아 신체사정신생아 신체사정은 건강 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고 이상을 발견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체계적인 두부에서 발끝까지의 신체검진, 반사 검사, 피부 상태 평가가 포함됩니다. 특히 선천성 기형, 감염 징후, 신경학적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생아 황달, 저혈당, 저체온증 등의 생리적 변화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신체사정을 통해 정상 범위의 변화와 병리적 변화를 구분하고, 필요시 의사에게 보고하여 적절한 중재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4. 신생아 초기간호신생아 초기간호는 출생 직후 생명 유지와 적응을 돕는 가장 기초적인 간호입니다. 기도 유지, 체온 조절, 저혈당 예방, 감염 방지가 핵심입니다. 신생아를 따뜻하게 유지하고, 제대 결찰 및 관리, 눈 소독, 비타민 K 투여 등의 표준 처치를 시행해야 합니다. 모자 접촉 시간 확보와 초기 수유 지원도 중요한 간호 활동입니다. 신생아의 울음, 호흡, 피부색, 근긴장도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부모 교육을 통해 가정에서의 안전한 돌봄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5. 신생아 고위험 증상 관리신생아 고위험 증상의 조기 인식과 신속한 대응은 신생아 사망률 감소에 매우 중요합니다. 호흡곤란, 청색증, 경련, 저혈당 증상, 감염 징후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신생아 황달의 심각도 평가, 저체온증 관리, 저혈당 예방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고위험 신생아의 경우 집중 모니터링과 신속한 의료 개입이 필요하며, 부모에게 위험 증상 교육을 제공하여 퇴원 후 가정에서도 조기 발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체계적인 신생아 선별 검사와 추적 관리 체계 구축이 고위험 증상 관리의 효과를 높입니다.
-
아동간호학 신생아실 실습 체크리스트 / 지침서 체크리스트 13페이지
신생아실 실습 체크리스트1. 일반적 사항1) 병동구조총 침상 수는 58병상이며 1,2,3 신생아 중환자실로 운영되고 있으며 신생아과를 비롯한 소아 심장과, 소아외과의 24시간 전문의 당직 시스템을 유지중이다. 그 외에도 집중치료 시스템, 자동청력검사기, 산소포화도 모니터 등의 최첨단 의료장비를 가지고 신생아를 관찰한다.(서울아산병원)2) 침상관리온도, 환기, 필터가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실내 온도는 22~26℃, 습도는 30~60%의 습도가 적절하다. 또한, 신생아의 열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침상은 외부 창으로부터 최소 6...2023.01.26· 13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 NICU(신생아중환자실) 체크리스트(Checklist) 16페이지
아동간호학실습 NICUCheck List간호사정 및 간호 중재사전학습내용신체계측identification환자 등록번호, 이름, 생년월일, 보호자 등을 확인한다.신장신장은 머리부터 발뒤꿈치까지의 길이로 평균 49~51cm이다. 키를 측정할 때에는 앙와위에서 다리를 펴고 발바닥을 수직으로 굴곡시킨 뒤 두정부에서 발뒤꿈치까지의 길이를 줄자로 측정한다.체중체중은 신생아용 체중계에 신생아를 눕혀놓고 측정하며 출생 직후 체중은 평균 3.2~3.4kg이다. 체중 측정 시 신생아의 옷과 기저귀를 모두 벗기고 측정하거나 옷은 벗기고 기저귀를 채운 ...2022.04.14· 16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정상신생아)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7개] 21페이지
아동간호학실습-Case study-정상신생아Ⅰ.환아의 일반적 사항진단명: newborn, singleton, born in hospital○○○님(00/F)의 아기는 GA 38+6wks, B.wt 2.65kg으로 본원에서 20xx년 x월 xx일 오후 5시 38분에 C-sec delivery된 female baby이다. 20xx년 x월 xx일 기준으로 연령은 3일이며 apgar score는 1분에 9점, 5분에 10점이다. 아기의 엄마는 schizophrenia로, 경과관찰을 위해 입원하였다.Ⅱ.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신생아는 태아가...2021.05.18· 21페이지 -
아동간호실습 정상신생아 케이스 간호과정(감염위험성,체온불균형 위험성)2개 있습니다!! 25페이지
case study정상 신생아 (normal baby)목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Ⅱ. 본론1. 문헌고찰1) 신생아의 해부학적 구조2) 신생아 신체적 성장 발달3) apgar score4) 신생아의 행동발달 특정5) reflex6) 출생 후 간호7) 수유 시 주의사항8) 기저귀 발진9) 모아상호작용의 측정도구2. 대상자 사정1) 일반적 배경2) 신체사정 및 건강사정3) 투약4) 현병력5) 가족력6) 검사3. 문제리스트4. 우선수위 설정5.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Ⅲ. 결론1. 요약정리2. 활용 가능한 참고 문헌Ⅰ.서론...2021.10.01· 25페이지 -
신생아실 실습 체크리스트 아동간호학 check list 3페이지
신생아실 실습 checklist실습내용관찰내용1/211/221/231/241/251. 일반적 사항1)병동구조수선생님께 병동구조와 침상관리법을 OT받음- 인큐베이터, 아프가점수 사정 하는곳, 스테이션, 광선치료 하는곳, 수유 하는곳 등의 구조를 알게됬고 아기침상관리법을 배움2)침상관리2. 감염관리1)손씻기출근해서, 기저귀갈고 난 뒤 수유하고난 뒤 등 수시로 손씻기를 할 것을 OT받음. 6단계 손씻기 수행함6단계 손씻기 수행함6단계 손씻기 수행함6단계 손씻기 수행함6단계 손씻기 수행함3. Feeding1)Schedule Feeding아...2019.03.20· 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