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ABO 부적합 황달 신생아 간호 사례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A+ 받음!!] ABO 부적합 황달 케이스스터디 / 진단3개, 과정1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0
문서 내 토픽
  • 1. ABO 부적합 황달의 정의 및 병태생리
    ABO 부적합 황달은 태아적혈구모증 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질환으로, 산모의 혈액형이 O형이고 영아가 A 또는 B형일 때 발생한다. 산모의 O형 혈액에 포함된 IgG 항체(anti-A, anti-B)가 태반을 통과하여 영아의 적혈구를 파괴하면서 용혈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과량의 빌리루빈이 생성되고 간이 이를 포합하고 배설하지 못하면서 황달이 나타난다. Rh 부적합증과 달리 증상이 심하지 않으며 임신 횟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2. 광선요법의 원리 및 간호
    광선요법은 형광 불빛을 이용하여 간접 빌리루빈을 수용성 물질로 변환시켜 배설을 증가시키는 치료법이다. 신생아의 모든 신체표면이 빛에 노출되도록 2시간마다 자세를 변경하며, 눈 보호를 위해 불투명안대를 착용한다. 광선요법 중 부작용으로 묽은 초록색 변, 발열, 피부 발진, 탈수, 저칼슘혈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체온, 배설 상태, 피부 상태를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 3. 교환수혈의 적응증 및 간호
    교환수혈은 광선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심각한 고빌리루빈혈증의 표준 치료법으로, 감작된 적혈구를 제거하고 빌리루빈 수준을 낮추며 핵황달을 예방한다. 제대정맥을 통해 하대정맥으로 카테터를 삽입하고 신생아 혈액량의 2배 정도를 교환한다. 시술 중 체온 조절이 중요하며 저체온은 산소 소모를 증가시켜 대사성 산혈증을 초래한다. 시술 후 반동현상에 주의하여 4~8시간마다 혈청 빌리루빈을 측정한다.
  • 4. 신생아 황달의 진단 및 검사
    신생아 황달 진단은 임상증상과 혈액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직접 Coombs test로 항체 부착 여부를 확인하고, 혈청 빌리루빈 수치(총 빌리루빈, 직접 빌리루빈)를 측정한다. 망상적혈구 수 증가, AST/ALT 상승, 헤모글로빈 감소 등의 검사 결과가 용혈성 빈혈을 시사한다. 경피 빌리루빈 측정기를 이용한 비침습적 검사도 활용되며, 광선요법 시작 후 6~12시간마다 빌리루빈 수치를 재검사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ABO 부적합 황달의 정의 및 병태생리
    ABO 부적합 황달은 신생아 용혈성 질환 중 중요한 원인으로, 모체의 자연 발생 항-A 또는 항-B 항체가 태반을 통과하여 신생아의 적혈구를 파괴함으로써 발생합니다. 이는 Rh 부적합과 달리 첫 임신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습니다. 병태생리적으로 IgG 항체에 의한 적혈구 용혈이 주요 기전이며, 이로 인해 빌리루빈 수치가 급격히 상승하여 핵황달 위험이 증가합니다. 특히 O형 모체에서 A형 또는 B형 신생아를 출산할 때 발생 위험이 높으며, 임상 증상은 경미한 경우부터 심각한 용혈성 질환까지 다양합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신생아의 신경학적 손상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2. 광선요법의 원리 및 간호
    광선요법은 신생아 황달 치료의 1차 선택 치료법으로, 파란색-초록색 파장의 빛이 피부의 빌리루빈을 수용성 물질로 변환하여 담즙을 통한 배설을 촉진하는 원리에 기반합니다. 이는 비침습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적절한 간호가 치료 효과를 좌우합니다. 간호 시 신생아의 눈을 보호하고, 피부 노출을 최대화하며, 체온 유지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빌리루빈 수치 모니터링과 수유 상태 확인이 중요하며, 광선요법 중단 후에도 반동 황달 발생 가능성을 고려하여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신생아의 편안함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전인적 간호 접근이 요구됩니다.
  • 3. 교환수혈의 적응증 및 간호
    교환수혈은 광선요법으로 조절되지 않는 심각한 황달이나 용혈성 질환에서 시행되는 침습적 치료법으로, 신생아의 혈액을 공여자 혈액으로 교환하여 빌리루빈과 항체를 제거합니다. 적응증은 신생아의 나이, 체중, 기저 질환 등을 고려한 빌리루빈 수치 기준에 따라 결정되며, 핵황달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시기에 시행되어야 합니다. 간호 측면에서는 시술 전 신생아의 안정화, 정맥로 확보, 혈액 제품 확인이 필수적이며, 시술 중 활력징후 모니터링과 저혈당증, 저칼슘혈증 등의 합병증 감시가 중요합니다. 시술 후에도 감염, 혈전증 등의 합병증 예방과 모체-신생아 결합 촉진을 위한 간호가 필요합니다.
  • 4. 신생아 황달의 진단 및 검사
    신생아 황달의 진단은 임상적 관찰과 객관적 검사를 병행하여 이루어지며, 생후 시간에 따른 빌리루빈 수치 기준을 적용하여 치료 필요성을 판단합니다. 경피 빌리루빈 측정기는 비침습적 선별 검사로 유용하나, 확진을 위해서는 혈청 총 빌리루빈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용혈성 질환 감별을 위해 혈액형 검사, 직접 항글로불린 검사, 망상적혈구 수 등이 시행되며, 필요시 말초혈액 도말 검사도 수행됩니다. 또한 신생아의 수유 상태, 체중 감소, 배변 양상 등의 임상 정보와 모체의 혈액형, 항체 선별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황달의 원인을 규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