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 제5장: 미생물 제어 및 살균 방법
본 내용은
"
nester's microbiology chapter5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5
문서 내 토픽
-
1. 보존과 저온살균의 차이보존은 미생물의 성장을 지연시키는 과정으로 부패하기 쉬운 제품의 부패를 늦추며, 저온살균은 식품에 적용되는 열처리로 병원균과 부패 유기체를 파괴한다. 보존은 미생물을 죽이지 않고 성장만 지연시키는 반면, 저온살균은 미생물을 직접 파괴하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다르다.
-
2. 미생물 살균 및 소독 방법미생물 제어 방법에는 열처리(끓임, 고압증기멸균, 초고온처리), 물리적 방법(여과, 방사선), 화학적 방법(알코올, 요오드, 염소 등)이 있다. 열에 민감한 액체는 여과법으로 살균하며, 전자레인지는 물 분자 등에 흡수된 열로 살균한다. 에틸렌 옥사이드는 플라스틱과 주사기 같은 열에 민감한 의료기구 살균에 사용된다.
-
3. 세균 포자와 화학 저항성세균 내생포자는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형성되며 열과 화학물질에 매우 강한 저항성을 가진다. Mycobacterium 종은 세포벽의 마이콜산으로 인해 화학물질에 저항성이 크다. 통조림 제조 시 혐기성 환경에서 번식하는 Clostridium botulinum의 내생포자를 파괴하기 위해 고온 처리가 필수적이다.
-
4. 식품 보존과 방부제식품 보존에는 높은 농도의 설탕, 소금, 벤조산 등이 사용되며, 냉동도 효과적이다. 방부제는 세균과 곰팡이 성장을 억제하고, 질산염과 아질산염은 Clostridium botulinum 성장을 억제한다. 그러나 방부제는 조리 중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으로 전환될 수 있어 사용량 조절이 중요하다.
-
1. 보존과 저온살균의 차이보존과 저온살균은 식품 안전성을 위한 서로 다른 접근 방식입니다. 보존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방법으로, 냉동, 건조, 염절임 등을 포함하며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습니다. 반면 저온살균은 특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가열하여 병원성 미생물을 대부분 제거하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저온살균은 더 효과적인 미생물 제거를 제공하지만 일부 열에 강한 포자는 생존할 수 있습니다. 보존은 장기 보관에 유리하고 저온살균은 단기 안전성에 효과적입니다. 두 방법 모두 식품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합니다.
-
2. 미생물 살균 및 소독 방법미생물 살균 및 소독 방법은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분류됩니다. 물리적 방법으로는 고온 가열, 자외선, 감마선 조사 등이 있으며 매우 효과적입니다. 화학적 방법으로는 알코올, 염소, 과산화수소 등의 소독제 사용이 있습니다. 각 방법은 장단점이 있어 상황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 고온 가열은 가장 신뢰할 수 있지만 에너지 소비가 많고, 화학 소독제는 빠르지만 환경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현대에는 여러 방법을 조합하여 최적의 살균 효과를 얻는 추세입니다. 미생물의 종류와 환경에 따라 적절한 방법 선택이 중요합니다.
-
3. 세균 포자와 화학 저항성세균 포자는 극도로 저항성이 강한 미생물 형태로, 열, 건조, 화학물질에 매우 잘 견딥니다. 포자의 두꺼운 외벽 구조와 낮은 수분 함량이 이러한 저항성의 주요 원인입니다. 일반적인 소독제로는 포자를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우며, 고농도의 화학물질이나 고온 처리가 필요합니다. 클로스트리디움과 바실러스 같은 포자 형성 세균은 식품 산업에서 특히 문제가 됩니다. 포자의 화학 저항성으로 인해 살균 공정 검증이 매우 중요하며, 포자를 지시 미생물로 사용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살균 전략 수립에 필수적입니다.
-
4. 식품 보존과 방부제식품 보존과 방부제는 식품의 유통기한 연장과 안전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방부제는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여 부패를 방지하는 화학물질로, 소금, 설탕, 아질산염 등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현대에는 천연 방부제와 합성 방부제가 모두 사용되며, 각국의 규제 기준에 따라 허용 물질이 결정됩니다. 방부제의 안전성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과다 사용은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식품 산업은 방부제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전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천연 식품 선호도 증가로 인해 물리적 보존 방법과의 조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살균소독제와 천연항균제의 저감화 효과 비교 및 시너지 효과 확인1. 식중독균 제어 식중독균 제어란 식중독균을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진동 자기장, 초고압, 초음파, 마이크로웨이브, 자외선 등을 이용한 물리적 제어법과 hot water treatment, 염소계, 알콜계, 4급암모늄계, 요오드계, 산알칼리계, 계면활성제 처리 등과 같은 살균제를 사용한 화학적 ...2025.01.12 · 의학/약학
-
식품미생물학 식품의 부패1. 식품의 부패 식품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발효, 부패, 산패, 변패가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하고, 부패에 주로 관여하는 세균에 대해 설명한다. 식품 부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식품의 조성, pH와 산화환원능, 물리적 구조, 천연 항미생물 물질, 온도, 습도, 대기 조성 등을 다룬다. 2. 부패 생성물 식품 부패 과정에서 생성되는 암모니아, 트...2025.05.07 · 자연과학
-
살모넬라균 식중독 사고: 원인 분석 및 방지 방법1. 살모넬라균의 특성 및 감염 경로 살모넬라균은 그람 음성 단간균으로 전 세계적인 수인성·식품매개질환의 주요 원인병원체이다. 주된 전파 경로는 오염된 음식 및 물의 섭취, 분변에서 구강으로의 경로이며, 제대로 익히지 않은 날고기, 가금류, 달걀류, 채소류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달걀의 경우 수란관을 통해 장관 내의 살모넬라균이 분변과 함께 부착되어 달걀의...2025.11.14 · 보건
-
현대생물학실험2: 형질전환, PCR, 전기영동1. 형질전환(Transformation)과 Competent Cell 형질전환은 외부 DNA가 세포 내부로 들어와 세포의 형질이 바뀌는 현상이다. Competent cell은 외부 DNA를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의 박테리아 세포로, CaCl2 처리와 열충격을 통해 인위적으로 제조된다. DH5α 대장균을 사용하여 log phase(OD600=0.4~0.6)...2025.11.17 · 자연과학
-
감염관리: 체계, 방법, 효과 및 간호과정1. 감염관리의 정의 및 중요성 감염관리는 병원체가 환자 신체에 침투하여 증식하는 감염 과정을 예방하기 위한 전반적인 업무를 의미합니다. 의료기관의 질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모든 사람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활동입니다. 감염관리 활동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통해 발전해 왔으며, 우리나라의 감염관리도 지속적으로 발전하...2025.11.14 · 의학/약학
-
식품미생물학 식품의 부패 17페이지
1. 식품의 부패1) 발효: 식품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인갂에게 유용한 알코올, 젖산, 아미노산 등을 생성하는 것2) 부패: 단백질 식품을 미생물이 혐기적으로 분해하여 황화수소와 아민 등을 생산한 결과 식품. 본래의 성질을 잃고 악취가 발생하거나 독성물질이 생성되어 먹을 수 없게 되는 현상3) 산패: 지방이 미생물, 산소, 광선 및 금속 등에 의하여 산화하여 분해하는 현상4) 변패: 탄수화물이나 지방을 주로 포한된 식품이 변질되는 현상5) 부패세균: 식품 중 단백질 분해에 관여하는 세균2. 식품 부패에 관여하는 인자1) 식품의 ...2023.05.01· 17페이지 -
살균소독제와 천연항균제의 저감화 효과 비교 및 시너지 효과 확인 4페이지
살균소독제와 천연항균제의 저감화 효과 비교 및 시너지 효과 확인1. Introduction식중독균 제어란 식중독균을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진동 자기장, 초고압, 초음파, 마이크로웨이브, 자외선 등을 이용한 물리적 제어법과 hot water treatment, 염소계, 알콜계, 4급암모늄계, 요오드계, 산알칼리계, 계면활성제 처리 등과 같은 살균제를 사용한 화학적 제어법이 있으며 유용 미생물군을 활용함으로써 위해 미생물을 제어하는 생물학적 제어법도 있다. 이러한 방식 중 ...2024.03.24· 4페이지 -
미생물학 Ch.11 미생물을 제어하는방법 5페이지
미생물학Ch.11 미생물을 제어하기 위한 물리화학적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11.1 미생물 제어▷ 미생물 제어방법 : 오염균 파괴, 오염제거▷ 오염제거 방법 : 열, 방사선 (물리적제제) or 소독제, 방부제 (화학적 제제)▷ 오염균 종류 : 세균 영양세포 내생포자, 진균 균사 포자, 효모, 원생동물 영양체 피낭, 벌레, 바이러스, 프리온▷ 미생물들의 상대적 저항성최고 저항성(내성) ex) 세균 내생포자, 프리온 (중요)중간 저항성(내성) ex) 원생동물 피낭, 일부 진균 생식포자(접합포자), 일부 바이러스(외피X 바이러스), ...2022.02.21· 5페이지 -
식품저장학_수업자료정리11_식품저장법8가지 4페이지
식품 저장학 118가지 저장법학 과식품생명공학과학 번이 름교수명1. 건조에 의한 저장- 식품 중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 승화시켜 제거하는 단위조작- 열의 전달과 물질(수분)이동의 원리가 적용- 건조공기는 열원의 공급매체와 수분의 운반매체로 작용- 열풍건조, 분무건조, 드럼건조, 복사건조, 감압건조, 냉동건조, 마이크로파건조 등◈ 건조 방법- 자연건조법 : 태양광선과 바람을 이용하여 수분을 자연 증발시켜 건조- 열풍건조 : 열풍을 불어넣어서 수분을 증발시켜 탈수- 분무건조 : 우유, 난백 등 액상식품을 열공기 중에 분무하여 건조- ...2023.11.20· 4페이지 -
자외선 살균 실험 6페이지
미생물생리학 실험보고서 (5) 2019년 10월 08일물리적 미생물 제어 ? 자외선 살균 실험1. Objects물리적 미생물 제어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고 그 중 하나인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에 대해 알아본다.12. Introduction1) 미생물 제어 방법(1) 멸균(sterilization)살아있는 세포와 포자 그리고 비세포성 입자(예: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프리온) 모두를 물건이나 서식지에서 완전히 파괴하거나 제거하는 과정(2) 소독(disinfectant)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을 죽이거나, 억제 또는 제거하는...2021.10.21· 6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