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 환아의 호흡곤란 간호 시뮬레이션
본 내용은
"
[A+] 아동간호학 시뮬레이션 천식 환아의 호흡곤란 간호 시나리오 대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1
문서 내 토픽
-
1. 천식 환아의 응급 간호5세 여아가 2일간의 심한 기침 후 호흡곤란으로 응급실 내원하여 천식 진단을 받았다. 초기 활력징후는 BP 90/50mmHg, P 120회/분, R 42회/분, T 37.1℃, SpO2 88%로 측정되었다. 간호사는 NPO 교육, 반좌위 자세 변경, 산소 공급 등의 응급 간호를 제공하였다. 환아의 호흡곤란 사정, 활력징후 모니터링, 산소포화도 측정이 중요한 간호 중재이다.
-
2. 산소 요법 및 비강캐뉼라 적용의사의 지시에 따라 비강캐뉼라를 통해 산소 2L/min을 공급하였다. 간호사는 습윤병에 증류수를 넣고 산소장치를 연결한 후, 비강캐뉼라 착용 전 산소 흐름을 확인하고 환아의 비공 폐색 여부를 사정하였다. 환아에게 코호흡의 중요성, 산소 사용 시 주의사항(전열기구 사용 금지), 코 점막 손상 시 즉시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
3. 네뷸라이저를 이용한 기관지 확장제 투약산소 공급 후에도 호흡곤란이 지속되어 의사의 지시에 따라 Ventolin 0.2cc와 생리식염수 2cc를 혼합하여 네뷸라이저로 투약하였다. 간호사는 약물 투여 전 심박동수를 측정하여 부작용을 예방하고, 네뷸라이저 사용법을 교육하였다. 환아에게 입과 코를 기계에 밀착시키고, 입으로 천천히 깊게 호흡하며 짧게 숨을 참았다 내쉬도록 지도하였다.
-
4.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및 증상 사정Ventolin 투약 중 떨림, 심계항진 등의 부작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간호사는 환아의 신체 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하였다. 투약 후 환아의 활력징후를 재측정하고 부정맥 여부를 확인하였다. 네뷸라이저 시행 후 호흡곤란이 호소되지 않았고 호흡이 편안해졌으며, 호흡수는 38회/분, SpO2는 95%로 개선되었다.
-
1. 천식 환아의 응급 간호천식 환아의 응급 간호는 신속한 사정과 즉각적인 중재가 필수적입니다. 호흡곤란, 천명음, 흉부 긴장 등의 증상을 빠르게 인식하고 의료진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환아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보호자의 동반을 허용하고 차분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소포화도, 호흡수, 심박수 등 생체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속하게 약물을 투여해야 합니다. 또한 환아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반좌위를 제공하고, 수액 관리와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응급 상황에서의 침착함과 체계적인 간호 제공이 환아의 회복을 크게 좌우합니다.
-
2. 산소 요법 및 비강캐뉼라 적용산소 요법은 천식 환아의 저산소혈증을 개선하는 중요한 치료 방법입니다. 비강캐뉼라는 가장 일반적이고 안전한 산소 전달 방법으로, 1-6L/min의 유량으로 24-44%의 산소 농도를 제공합니다. 적용 시 캐뉼라가 콧구멍에 올바르게 위치하는지 확인하고, 귀 위의 조절기를 통해 고정하되 너무 조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산소 공급 중 비강 점막의 건조함을 방지하기 위해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소포화도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목표 수치(95% 이상)를 유지하고, 환아의 불편함이나 피부 자극 여부를 관찰해야 합니다. 비강캐뉼라는 환아가 먹고 말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아 장시간 사용에 적합합니다.
-
3. 네뷸라이저를 이용한 기관지 확장제 투약네뷸라이저는 액체 약물을 미세한 입자로 분무하여 직접 기도에 전달하는 효과적인 투약 방법입니다. 천식 환아에게 알부테롤이나 이프라트로피움 같은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할 때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투약 전 약물의 유효기간과 용량을 확인하고, 네뷸라이저 컵에 정확한 양의 약물을 넣어야 합니다. 환아가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마우스피스를 물고 천천히 깊게 호흡하도록 지도하며, 투약 중 환아의 반응을 관찰합니다. 일반적으로 5-15분 정도 소요되며, 투약 후 입을 헹굼으로써 약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네뷸라이저 사용 후 기기를 깨끗이 세척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4.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및 증상 사정천식 환아에게 투여되는 약물의 부작용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안전한 치료의 필수 요소입니다. 기관지 확장제 사용 시 떨림, 두근거림, 신경과민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스테로이드 사용 시 구강 칸디다증, 목의 자극감 등을 확인하고, 투약 후 입을 헹굼으로써 예방합니다. 환아의 호흡 상태, 산소포화도, 심박수, 혈압 등 생체징후를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기록합니다. 환아나 보호자에게 약물의 목적, 사용 방법, 예상되는 부작용에 대해 설명하여 이해도를 높입니다. 부작용이 의심될 경우 즉시 의료진에게 보고하고, 약물 투여 중단 여부를 판단받아야 합니다. 지속적인 사정과 기록은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간호 계획을 수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아동간호학 실습 천식환아 간호관리 문헌고찰 4페이지
I. 서론천식(asthma)은 아동의 급성과 만성 질환의 주요 원인이며, 아동이 입원하는 가장 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의학적 치료법은 발전했지만 천식의 발병률은 아직 많은 국가에서 증가 추세에 있다. 천식은 우리나라 만성질환 중 질병 부담이 6번째로 큰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5)1980년대 이래 천식의 발생 빈도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되었다. 17세 이하 미국 아동 중 710만 명이 천식환자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소아 천식유병률은 의사의 천식 진단 기준으로 볼 때 초등학생이 1995년 7.7%, 2000...2021.02.05· 4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 Sabina Vasquez vSim 학습성찰보고서 2페이지
1. 대상 환아는 어떤 상황(문제)에 처해 있었는지 기술하세요.대상환아는 상기도감염이 며칠간 있다가 입원 당일날 아침 고열로 응급실을 통해 폐렴진단을 받고 입원했다. 천식의 과거력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호흡곤란이 주요한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태였고, 실제로 환아에게 중재를 하기 전 “숨을 쉴 수가 없어요” 라고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었다. 환아의 EMR을 보면 혈액검사 결과 Hb, HCT는 감소, Platelets, WBC는 증가된 상태였다. 이를 통해 빈혈, 탈수, 감염, 경화등을 의심할 수 있다. 흉부 x-ray결과 폐우하엽에 ...2022.03.19· 2페이지 -
아동간호학 vSim 사례기반 학습성찰 보고서 (Sabina Vasquez) 3페이지
아동간호학 vSim 사례기반 학습성찰 보고서(Sabina Vasquez)대상 환아 상황사정간호진단간호중재와 근거추가적인 간호진단과 중재퇴원교육리뷰`vSim 사례기반 학습성찰 보고서대상 환아는 어떤 상황(문제)에 처해 있었는지 기술하세요.Sabina Vasquez는 5세로 오늘 응급실에 폐렴을 진단받고 입원했다. 천식의 과거력이 있고 알부테롤을 집에서 흡입기로 복용 중이다. 며칠간 상기도 감염을 앓았었고 오늘 열이 39도에 달하여 어머니와 응급실에 내원했다. 숨을 쉬기 힘들어하고 가슴 쪽에 통증을 가지고 있다.대상 환아에게 어떻게 사...2022.03.13· 3페이지 -
아동간호 Vsim(브이심) 3번 Sabina Vasquez Core (SBAR) 2페이지
SBAR 간호기록 (SN: )3번 시나리오: 경증 간헐적 천식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v-sim) 상황을 요약정리 할 때 SBAR 형식을 이용해서 그 상황을 분석이름: Sabina Vasquez성별: F연령: 5호실: 응급실 1400Situation환아 정보와 입원동기, 주호소 등에 대해 기록Sabina Vasquez인종: HispanicF/5세119cm/19kg입원일: 2021/02/01-Dx: Mild intermittent asthma-C.C: Dyspnea-입원동기: 몇시간 전 밖에서 놀다가 호흡 문제(호흡 곤란, 기침)이 발...2021.12.20· 2페이지 -
아동간호학 천식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18페이지
아동간호학Ⅱ 실습[ CASE STUDY ]‘ 천식(Asthma) ’제 출 날 짜학 년 / 반학 번이 름[ 목차 ]Ⅰ. 서론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Ⅱ. 문헌고찰Ⅲ. 연구기간 및 방법Ⅳ. 간호과정가. 간호건강사정1) 일반적 사항2) 건강력(1) 현병력(2) 과거력(3) 가족력3) 간호력4) 신체검진5) 연령별 성장발달 과업6) 진단을 위한 검사나. 치료 및 경과다. 간호과정 적용Ⅴ. 결론참고문헌Ⅰ. 서론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소아 천식은 기침, 천명, 호흡곤란의 증상을 보이는 만성 호흡기 질환으로 소아를 대상으로 한 만성 비감염성 질환에서...2022.08.29· 1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