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서 12장 11-17절: 징계와 거룩한 삶
본 내용은
"
230927 히브리서12장11-17절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1
문서 내 토픽
-
1. 하나님의 징계하나님이 자녀들에게 징계를 주시는 이유는 하나님의 자녀임을 확신시키고, 구원받은 올바른 삶을 알려주며, 거룩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징계는 당시에는 슬퍼 보이지만 후에 의와 평강의 열매를 맺게 합니다. 징계를 받은 자들은 자신의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고, 피곤해진 육신을 바로잡으며, 가야할 길을 바로잡아야 합니다.
-
2. 화평함과 거룩함의 추구믿는 자는 모든 사람과 더불어 화평함과 거룩함을 추구해야 합니다. 이는 갈망하고 추구한다는 의미로, 구별된 삶을 살아야 함을 의미합니다. 과소비, 과식, 게으름, 지나친 치부, 세상의 쾌락에 빠져서는 안 되며, 취미생활, 건강생활, 의식주, 친구관계, 독서, 영상물 시청 등 모든 영역에서 세상 사람들과 구별되어야 합니다.
-
3. 신앙의 위험 요소믿는 자들을 위협하는 네 가지 위험이 있습니다. 첫째, 하나님의 은혜에 이르지 못할 위험입니다. 둘째, 쓴 뿌리의 위험으로 낙담, 사고, 질병, 무시, 학대 등에서 비롯됩니다. 셋째, 음행할 위험으로 세상의 매체와 환경에서 음란함에 빠질 위기가 있습니다. 넷째, 망령된 자가 될 위험으로 부정되고 더럽고 음탕해질 수 있습니다.
-
4. 신앙인의 깨어있음과 경계믿는 자들은 깨어 있어야 하며 자기 자신과 다른 이들을 돌아봐야 합니다. 주의하고 감시하고 돌봐야 합니다. 곳곳에 죄로 빠지게 하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으므로, 사람을 믿을 수 없고 오직 주님이 주시는 은혜로 깨어 하나님을 붙들어야 자신의 할 일을 할 수 있습니다.
-
1. 하나님의 징계하나님의 징계는 사랑과 교정의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징계는 단순한 처벌이 아니라 신앙인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한 교육적 목적을 가집니다. 이는 부모가 자녀를 훈육하는 것과 유사하게, 궁극적으로는 영적 성장과 성숙을 도모합니다. 징계를 통해 신앙인은 자신의 잘못을 인식하고 회개의 기회를 얻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징계를 받을 때 이를 겸손하게 받아들이고 영적 교훈을 얻으려는 태도입니다. 징계 속에서도 하나님의 자비와 은혜가 함께한다는 믿음이 신앙인에게 위로와 희망을 줍니다.
-
2. 화평함과 거룩함의 추구화평함과 거룩함은 신앙인이 추구해야 할 핵심 가치입니다. 화평함은 단순히 외적 평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내적 영혼의 평안과 타인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포함합니다. 거룩함은 세상의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자신을 구별하고 영적으로 순결함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 두 가치는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신앙인의 영적 삶을 풍요롭게 합니다. 화평함 속에서 거룩함을 추구하고, 거룩함을 통해 진정한 화평함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영적 성숙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건강한 발전에도 기여합니다.
-
3. 신앙의 위험 요소신앙의 위험 요소는 신앙인이 경계해야 할 영적 함정들입니다. 위선, 자기기만, 영적 교만, 물질주의, 그리고 신앙의 형식화 등이 주요 위험 요소입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신앙을 약화시키고 영적 성장을 방해합니다. 특히 신앙이 깊어질수록 자신이 영적으로 우월하다는 착각에 빠질 수 있으며, 이는 신앙의 본질을 잃게 만듭니다. 또한 물질적 축복을 신앙의 척도로 삼거나 종교적 의식만 중시하는 것도 위험합니다. 신앙인은 이러한 위험 요소들을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자신을 점검하며 영적 경각심을 유지해야 합니다.
-
4. 신앙인의 깨어있음과 경계신앙인의 깨어있음과 경계는 영적 삶의 필수 요소입니다. 깨어있음은 영적 현실에 대한 민감한 인식과 주의 깊은 관찰을 의미하며, 경계는 영적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는 적극적 태도입니다. 신앙인은 세상의 유혹과 거짓된 가르침에 대해 항상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 이는 수동적인 방어가 아니라 능동적인 영적 훈련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기도, 말씀 묵상, 영적 공동체와의 교제 등을 통해 깨어있음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깨어있고 경계하는 신앙인은 영적 위기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신앙의 본질을 지킬 수 있습니다.
-
학개 연구 - 학개 2장 10절-23절을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 본문 주해, 신학 분석, 설교 제안 23페이지
학개 2장 10절-23절을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본문 주해, 신학 분석, 설교 제안 ]목차I. 서론: 무너진 성전, 무너진 백성, 그리고 두 개의 신탁A. 역사적 배경: 페르시아 제국 다리오 왕 2년, 유다(Yehud) 지방의 현실B. 학개서의 전체 구조와 9월 24일의 두 신탁C. 연구의 목적과 구조II. 첫 번째 신탁 (학개 2:10-19): 부정함의 전염과 축복의 전환A. 본문 주해 (10-14절): 제사장의 토라(תּוֹרָה) 문답1. 거룩(קֹדֶשׁ)은 전염되지 않는다 (12절)2. 부정(טָמֵא)은 전염된다 (13절...2025.11.11· 23페이지 -
요단강에서 바벨론 물가까지 서평 6페이지
『요단강에서 바벨론 물가까지』- 구약 역사서의 문예적-신학적 서론 -· 저자에 대하여저자 김지찬 교수는 총신대학교 신학과 및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Calvin Theological Seminary(Th. m), 네덜란드 Kampen Theological University(Th. D)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학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The Structure of the Samson Cycle(Kok Pharos : Kampen, 1993) 언어의 직공이 되라(생명의 말씀사, 1996), 구약개론(...2023.11.04· 6페이지 -
[구약신학] 레위기 2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성물에 관한 정결 규례 6페이지
레위기 2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성물에 관한 정결 규례 -목차1. 레위기 22장 개요2. 성물을 먹을 수 있는 자들의 신체적, 신분적 조건(22:1-16)3. 오직 흠 없는 제물만을 바칠 것(22:17-30)4. 이스라엘이 계명을 지켜야 할 이유(22:31-33)참고문헌1. 레위기 22장 개요본장은 21장에 이어 성물에 관한 제사장들의 태도(1-16절)와 하나님께 완전한 제물을 바칠 것(17-33절)에 관한 법들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우리가 자세히 살펴보면 새삼 느끼게 되겠지만 본서에는 이스라엘 민족 전체...2017.01.10· 6페이지 -
[구약신학] 민수기 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성결에 대한 세부 지침 6페이지
민수기 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성결에 대한 세부 지침 -목차1. 민수기 5장 개요2. 부정한 자들의 격리(5:1-4)3. 타인에게 끼친 손해의 배상(5:5-10)4. 간음죄의 예방(5:11-31)참고문헌1. 민수기 5장 개요시내 산 언약과 성막 완공 및 인구 조사까지 마친 이스라엘 백성은 이제 광야 여행을 시작하여야 했다. 그런데 이러한 시점에서 하나님께서는 신정국가(神政國家)의 시민인 이스라엘에게 당신 앞에서의 성결 유지를 요구하신다. 이러한 요구는 본장과 6장에서 여러 경우의 예를 들어 언급하고 있다.특히 본...2017.01.12· 6페이지 -
[구약신학] 민수기 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레위인들의 직무와 가족수 6페이지
민수기 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레위인들의 직무와 가족수 -목차1. 민수기 3장 개요2. 제사장 아론의 자손(3:1-4)3. 레위인들의 성별(3:5-13)4. 레위인들의 총계와 직무세칙(3:14-39)5. 이스라엘 장자들을 대속한 레위인들(3:40-51)참고문헌1. 민수기 3장 개요성막 중심의 각 지파별 거주 위치와 행군 순서에 관한 계시를 마치신(2장) 하나님께서는 이제 이스라엘 전체를 대표하여 성막에서 봉사하게 될 레위인들에 대한 규례를 3장과 4장에 걸쳐 말씀하신다. 그런데 이 두 장은 1:48-54의 명령이...2017.01.12· 6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