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9개
-
히브리서의 독특한 기독론과 종말론적 신학2025.11.131. 히브리서의 기독론 - 그리스도의 대제사장직 히브리서의 중심 기독론은 그리스도의 대제사장직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영광을 반영하며 그 본체의 형상이고 선재하신 분이다. 구약의 제사장직은 실재의 그림자에 불과하여 죄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나,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해 죄는 단번에 제거되었다. 예수님은 대제사장이면서 동시에 하나님께 바치는 제물이셨으며, 자신을 제물로 드려 믿는 자들의 죄를 없애주셨다. 그는 새 언약의 중보자가 되어 영원한 기업의 약속을 얻게 하셨다. 2. 멜기세덱의 반차와 예수님의 제사장직의 우월성 히브...2025.11.13
-
히브리서 4장 1-13절: 영원한 안식에 들어가기2025.11.161. 하나님의 안식(Rest of God) 히브리서 4장에서 저자는 하나님의 백성들이 영원한 안식에 들어갈 약속에 대해 설명합니다.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서 안식을 누렸듯이, 신약의 신앙 공동체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종말론적 안식에 참여합니다. 예수님의 오심으로 모든 날이 예수 안에서 안식을 경험하는 날이 되었으며, 아직 안식의 완성은 미래에 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이 세상에서 나그네와 행인으로 살아가며 영원한 안식을 소망합니다. 2. 순종과 불신앙의 경고 저자는 많은 사람들이 불순종과 불신앙으로 인해 하나님의...2025.11.16
-
히브리서 13장 1-17절 새벽설교2025.11.161. 형제 사랑과 나그네 대접 히브리서 13장 1-3절에서 강조하는 형제 사랑은 지속적이고 특별히 눈에 띄지 않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나그네 대접과 갇힌 자, 학대받는 자를 사랑의 대상으로 삼으며, 이는 예수님을 대접하는 것과 같습니다. 보이지 않는 가치를 보는 것이 믿음이며, 세상의 사랑 방식이 아닌 믿음으로 사랑해야 합니다. 2. 결혼의 순결과 물질에 대한 태도 히브리서 13장 4-6절은 결혼을 귀히 여기고 침소를 더럽히지 말 것을 강조합니다. 돈을 사랑하지 말고 있는 것에 족함을 알아야 하며, 하나님이 자신의 백성을 버...2025.11.16
-
히브리서 9장 1-10절: 옛 언약과 새 언약의 의미2025.11.161. 성소와 성막의 구조 및 의미 히브리서 9장 1-5절에서 설명하는 성소는 첫 장막(성소)과 둘째 휘장 뒤의 지성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성소에는 등잔대, 상, 진설병이 있고, 지성소에는 금 향로, 언약궤, 만나를 담은 금 항아리, 아론의 싹난 지팡이, 언약의 돌판이 있습니다. 이러한 성소는 하나님의 임재를 나타내는 증거이자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백성임을 보여주는 표지판입니다. 성막과 그 안의 모든 의식의 핵심은 노동이 아니라 하나님과 백성 간의 교제와 관계 맺음입니다. 2. 대제사장의 역할과 제사 제도의 한계 히브리서 9장 6-7...2025.11.16
-
히브리서 11장 7절 - 노아의 믿음과 순종2025.11.161. 노아의 믿음 히브리서 11장 7절에서 노아는 아직 보이지 않는 일에 대한 경고를 받아 경외함으로 방주를 준비하여 그 집을 구원했습니다. 노아의 믿음은 보이지 않는 미래에 대한 하나님의 경고를 받아들이고 순종하는 믿음이었습니다. 모든 사람이 멸망할 때에도 노아는 구원받았으며, 이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그것에 응하는 믿음의 결과입니다. 2. 하나님의 경고와 회개 하나님은 여러 방법으로 우리에게 경고하시며, 경고를 받아들이면 하나님의 심판을 면하게 됩니다. 가룟 유다는 경고를 받고도 회개하지 못해 죽게 되었고, 베드로는 닭 우는 ...2025.11.16
-
히브리서 3장 7-19절 - 믿음과 순종의 경고2025.11.161. 믿음과 순종 히브리서 3장은 하나님의 백성을 하늘의 성을 향해 나아가는 순례자로 표현합니다. 믿음은 이 길을 가는 데 필수적인 힘으로, 하나님께 대한 믿음, 약속된 도착지에 대한 믿음, 그리고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한 믿음이 포함됩니다. 불신앙은 불순종을 만들며, 이는 하나님의 말씀에 온전히 응답하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본문은 이스라엘의 광야 방황 사건을 통해 순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2. 이스라엘의 광야 경험과 경고 이스라엘 백성이 40년간 광야를 해매며 범죄와 불순종으로 인해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한 사건을 다룹니다. 출...2025.11.16
-
히브리서 11장 1-12절: 믿음의 본질과 실천2025.11.161. 믿음의 정의와 본질 히브리서 11장 1절에서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로 정의됩니다. 믿음은 단순한 입술의 고백이 아니라 기도한 내용을 머리와 생각으로 구체화하여 실제적으로 실현케 하는 힘입니다. 말씀 안에 거하면서 바라는 것이 믿음의 첫 번째 조건이며, 이미지화를 통해 자신이 바라는 것들을 마치 앞에 놓고 보듯이 분명하게 그려야 합니다. 2. 구약의 믿음의 사람들 아벨은 영과 진리가 깃든 진실된 믿음으로 제사를 드렸고, 에녹은 300년 동안 하나님과 동행하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했습니다. 노아는 사...2025.11.16
-
히브리서 13장 18-25절: 믿음의 경주를 마치기 위한 기도와 권면2025.11.161. 기도와 중보의 중요성 히브리서 저자는 교회 지도자들을 위한 기도를 요청하며, 선한 양심으로 모든 일에 올바르게 처신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누군가의 중보기도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는 은혜를 경험하며, 이러한 경험이 다른 사람을 위해 기도할 수 있는 기초가 됩니다. 기도할 때 인간적 뜻이 아닌 주님의 뜻 안에서 그 사람을 통해 이루어지기를 기도하는 것이 진심 어린 중보기도입니다. 2.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구원 평강의 하나님은 양들의 큰 목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영원한 언약의 피로 죽은 자 가운데서 이끌어 내셨습니다. 예수님은...2025.11.16
-
구약성서의 형성과 구조에 따른 히브리성서(타나크)와 기독교 구약성서의 차이2025.01.201. 히브리성서(타나크)의 구조 히브리성서(타나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율법서인 토라, 예언서인 네비임, 성문서인 케투빔으로 나뉩니다. 토라는 모세 5경, 네비임은 8권의 역사서와 예언서, 케투빔은 11권의 시가서와 기타 저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배열은 하나님의 말씀이 율법을 통해 주어지고, 역사와 예언자를 통해 계시되며, 개인의 삶 속에서 예배와 신앙생활로 이어지는 신학적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2. 기독교 구약성서의 구조 기독교 구약성서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모세오경, 역사서, 시가서, ...2025.01.20
-
히브리서 8장 1-13절: 새 언약과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자 역할2025.11.161. 예수 그리스도의 대제사장 직분 히브리서 8장은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의 대제사장이며 하늘에서 하나님의 보좌 우편에 앉아 계심을 강조합니다. 예수는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완전한 제물이 되셨으므로 다른 제물이 필요 없습니다. 구약의 레위 계열 제사장들이 드리던 제사와 성전은 예수님의 속죄 제사의 모형과 그림자일 뿐입니다. 예수는 더 아름다운 직분을 얻으셨으며 더 좋은 약속으로 세우신 새 언약의 중보자가 되셨습니다. 2. 새 언약과 구약 언약의 차이 새 언약은 그림자의 원래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과 맺고 싶어 하...202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