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11-12장: 제자의 길과 예수님의 사역
본 내용은
"
마태복음 11 12장 제자의 길 2(설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04
문서 내 토픽
-
1. 세례자 요한과 예수님의 사역세례자 요한은 감옥에서 예수의 사역에 대해 의문을 품고 질문합니다. 요한이 기대한 그리스도는 죄인을 심판하는 강력한 심판자였으나, 예수님은 가난하고 병든 자, 소외된 자를 치유하고 세리와 죄인들을 용서하며 함께 식사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예수님은 이사야 35:5-6과 61:1의 예언을 인용하여 맹인이 보며, 못 걷는 자가 걸으며, 나병 환자가 깨끗함을 받으며, 가난한 자에게 복음이 전파되는 것이 자신의 사역임을 선언합니다.
-
2. 안식일의 의미와 예수님의 권위안식일은 원래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자비의 표현으로 제정되었습니다. 예수님은 안식일의 주인으로서 그 날에 손 마른 자를 고치시며 생명을 살리는 사역을 하십니다. 바리새인들은 안식일 규례를 엄격히 지키려 하지만, 정작 안식일을 성취하신 예수님을 죽이려 합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예수님의 통치를 받으며 이미 안식을 성취하고 영원한 안식에 참여하게 됩니다.
-
3. 성령 모독의 죄와 바리새인들의 거역예수님이 귀신 들린 맹인 벙어리를 고쳐주시자 바리새인들은 예수를 귀신의 우두머리 바알세불로 비난합니다. 예수님은 성령의 사역을 사탄의 사역으로 비난하는 것이 성령을 모독하는 용서받을 수 없는 죄라고 하십니다. 바리새인들은 진리의 수호자라 자처하지만 실제로는 진리에서 분리된 상태에 있으며, 성령의 종말론적 활동을 인정하지 않으면 하나님에게 인정받을 수 없습니다.
-
4. 예수님의 진정한 제자와 가족예수님의 진정한 가족은 혈연관계가 아니라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입니다. 제자는 예수님의 가르침과 치유 사역을 이어받으며, 예수님을 메시아로 고백하고 그의 통치를 받아야 합니다. 중립지대는 없으며, 예수님의 초청에 응하거나 거절하는 선택만 있습니다. 하나님 안에서 한 가족으로 예수님의 진정한 제자가 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 세례자 요한과 예수님의 사역세례자 요한은 예수님의 길을 준비하는 선구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요한의 회개의 세례는 영적 각성을 촉구했으며, 예수님의 세례는 그의 공적 사역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두 인물의 사역은 연속성을 가지면서도 구별되는데, 요한은 회개를 강조했다면 예수님은 구원과 용서의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요한의 제자들이 예수님으로 옮겨간 것은 자연스러운 영적 진전이었으며, 이는 구약의 예언이 신약에서 성취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두 사역 모두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알리는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
2. 안식일의 의미와 예수님의 권위안식일은 구약에서 하나님의 창조 완성과 백성의 거룩함을 기념하는 중요한 제도였습니다. 그러나 예수님 시대에는 율법학자들의 과도한 해석으로 인해 본래의 의미가 왜곡되었습니다. 예수님이 안식일에 병을 고치고 곡식을 주우신 행동은 단순한 규칙 위반이 아니라, 안식일의 진정한 목적이 인간의 치유와 회복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예수님은 율법의 주인이시며 영적 권위를 가지신 분임을 드러내셨습니다. 안식일 논쟁은 형식적 종교성과 영적 진정성의 대립을 상징합니다.
-
3. 성령 모독의 죄와 바리새인들의 거역성령 모독의 죄는 기독교 신학에서 가장 심각한 죄로 여겨집니다. 바리새인들이 예수님의 기적을 악의 세력으로 돌린 행위는 명백한 진리 거부였습니다. 그들은 성령의 역사를 목격하면서도 의도적으로 그것을 부정하고 왜곡했으며, 이는 단순한 불신이 아니라 영적 완악함을 드러냅니다. 성령 모독의 죄가 용서받지 않는 이유는 성령의 증거를 거부하는 것이 구원의 길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바리새인들의 거역은 종교적 권위와 자존심이 영적 진리보다 우선될 때의 위험성을 보여줍니다.
-
4. 예수님의 진정한 제자와 가족예수님이 말씀하신 진정한 제자와 가족의 개념은 혈연 관계를 초월한 영적 관계를 강조합니다.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자가 예수님의 형제자매이며 어머니라는 선언은 신앙 공동체의 본질을 드러냅니다. 이는 혈연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영적 결합이 모든 관계의 기초가 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진정한 제자도는 예수님을 따르는 결단과 헌신을 요구하며, 이는 개인적 신앙을 넘어 공동체적 책임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가르침은 초대교회 공동체의 강한 유대감과 상호 돌봄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
마태복음 연구 - 마태복음 전체 개요와 핵심, 왕이신 메시아와 그의 나라 19페이지
마태복음 전체 개요와 핵심,왕이신 메시아와 그의 나라사복음서 마태복음 연구ANTEAMBULO VEGABONDER마태복음 전체 개요와 핵심,왕이신 메시아와 그의 나라목차서론: 왕이신 메시아를 위한 복음서마태복음의 저자, 기록 연대, 그리고 수신 공동체에 대한 학술적 고찰마태복음의 문학적 구조: 새로운 모세의 다섯 가지 가르침마태복음의 핵심 목적: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신가?제1부: 왕의 오심과 그분의 정체성 (마태복음 1-4장)1장: 다윗의 자손, 임마누엘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와 탄생2장: 새로운 모세의 등장과 구약의 성취3장: 사역의...2025.09.05· 19페이지 -
마태복음 서론과 개요 정리 11페이지
마태복음 서론 & 개요 정리Ⅰ. 마태복음 서론1. 저자마태. 성경 어디에도 마태가 저자라고는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마태가 저자라는 사실이 강력하게 입증되고 있습니다.(1) 초기 교부들은 한결같이 이 복음서가 마태에 의해 쓰여졌다고 믿었습니다. 윌리엄 바클레이(W. Barclay)는 초기 교회사가인 파피아스(Papias : A.D. 100)의 글을 인용합니다. “마태는 예수의 가르침을 히브리어로 정리하였습니다”(The Gospel of Matthew, Vol. 1. “The Daily Study Bible.” Philade...2024.07.25· 11페이지 -
성경리뷰(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독후감, 서평, 느낀점 4페이지
성경리뷰(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마태,마가,누가,요한복음서 까지는 예수님의 행적을 기록한 부분이 거의 겹친다. 예수님의 탄생에서부터 십자가에 못박혀 운명하시고 다시 부활하기까지의 행적이 동일하게 기록되어있다. 물론 각 저자마다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조금씩 다르나 역사적 부분은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번에 공부했던 마태, 마가, 누가복음에서는 3권에 모두 언급되는 무화과나무의 비유에 중점적으로 보게 된 것 같다. 무화과나무는 이스라엘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대부분의 교회에서 이스라엘로 보고 있다)무화과나무를 ...2023.10.24· 4페이지 -
((신약성경 도해))신약성경 4복음서 조감도_ver. 2022.12 - (하나님의 신약 경륜 관점) 핵심어 정리 - 한글자료 12페이지
마태복음 조감도5. 왕의 승리(28:1~20)4.왕께서 배척 받으심 (12:1~27:66)천국의나타남●부활하심o승리는 죽고 부활 안으로 들어가는 것임o그리스도는 의롭게 재판받고 죽으심으로 인간의 불의를 끝내고 의롭게 부활하심으로 의로운 왕국의 의로운 왕이 되셨음●왕권을 받으심o그리스도는 부활하여 왕권을 받으심으로 승리하셨음o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가 그분에게 주어졌고 그분은 하늘과 땅의 모든 주권을 가진 왕으로서 취임하셨음o그분은 어느 날 왕국을 가지고 다시 오실 것임그러므로 마태복음은 왕국복음이라고 하고 마태는 주로 왕으로서의 그리...2023.01.24· 12페이지 -
신약성경과 선교 15페이지
Johannes Nissen의 『신약성경과 선교』▣ 저자 소개 : 요하네스 니센(Johannes Nissen)그는 1944년에 태어나 덴마크의 아르후스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한 후, 1971년부터 동 대학에서 강의를 시작하였다. 현재는 덴마크 아르후스 대학에서 신약성경 석의학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영어로 쓰여진 저서로는 [빈곤과 선교](Poverty and Mission, Leiden, 1984), [요한복음 새로 읽기](New Readings in John, Sigfred Pedersen과 공저, 1999)가 있으며, 그밖에 덴...2022.04.14· 1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