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와 사지 검진 임상 가이드
본 내용은
"
<임상>척추와사지검진 Spine and limb examination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9
문서 내 토픽
-
1. 견관절 검진견관절은 구상관절로 흉쇄관절, 견쇄관절, 견갑상완관절로 구성된다. 시진에서는 Erb's palsy, 견갑골 윙잉, Sprengel 기형 등을 관찰한다. 촉진에서는 쇄골, 이두근구, 회전근개(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액와부를 검사한다. ROM 검사는 Apley의 긁기 검사로 능동검사를 수행하며, 신경학적 검사에서는 근력검사, 반사검사, 감각검사를 실시한다. 특수검사로는 Yergason 검사, drop arm 검사, apprehension 검사 등이 있다.
-
2. 주관절 검진주관절은 경첩관절로 상완골과 척골, 요골이 관여한다. 시진에서는 운반각(외반각), 종창을 관찰하고, 촉진에서는 내측상과, 주두, 외측상과를 검사한다. 연부조직 촉진에서는 척골신경, 수근굴곡근, 삼두근, 수근신전근을 평가한다. 근력검사는 굴곡, 신전, 회내, 회외를 검사하며, 반사검사는 이두근건, 완요골근건, 삼두근건 반사를 수행한다. 특수검사로는 인대 안정성 검사, Tinel 징후, Tennis elbow 검사가 있다.
-
3. 손목 및 손 검진손목과 손은 복잡한 구조로 근위 수근골(주상골, 월상골, 삼각골, 두상골)과 원위 수근골(대능골, 소능골, 유두골, 유구골)로 구성된다. 시진에서는 손바닥과 손등의 피부, 손톱 상태를 관찰한다. 촉진에서는 해부학적 주요 구조물과 신경, 혈관을 검사한다. 근력검사는 손목 신전, 굴곡, 손가락 신전, 굴곡, 외전, 내전, 대립을 평가한다. 특수검사로는 손가락 장굴곡근 검사, Bunnel-littler 검사, Allen 검사 등이 있다.
-
4. 경추 및 측두하악관절 검진경추는 머리 지지, 척수 보호, 척추동맥 통로 역할을 한다. 뼈 촉진에서는 설골, 갑상연골, 윤상연골, 경동맥 결절, 추간관절을 검사한다. 연부조직 촉진에서는 흉쇄유돌근, 림프절, 갑상선, 경동맥, 이하선, 승모근을 평가한다. ROM 검사는 굴곡, 신전, 회전을 수행한다. 근력검사는 굴곡, 신전, 측방회전을 검사한다. 특수검사로는 견인검사, 압박검사, Valsalva 검사, 연하검사, Adson 검사가 있다.
-
5. 고관절 및 골반 검진고관절은 구상관절로 골반과 대퇴골로 구성된다. 시진에서는 전상장골극의 높이, 요추 전만, 둔부 주름을 관찰한다. 뼈 촉진에서는 전상장골극, 장골능, 대전자, 좌골결절, 천장관절을 검사한다. 연부조직 촉진에서는 대퇴삼각, 내전근, 외전근, 신전근, 굴곡근을 평가한다. 특수검사로는 Thomas 검사, Trendelenburg 검사, 다리길이 차이 검사, Ober 검사, Ortolani 검사, Telescoping 현상 검사가 있다.
-
6. 보행 분석정상보행은 입각기(60%)와 유각기(40%)로 구성되며, 동시입각기는 25%이다. 보행 관련 용어로는 보폭, 한 발짝, 양발너비, 보행속도, 보행율, 발목각도, 무게중심점, 골반경사, 골반회전이 있다. 비정상보행으로는 대둔근 보행, 중둔근 보행, 대퇴사두근 보행, 종아리근 보행, 계단 보행, 편마비 보행, 운동실조 보행, 파킨슨병 보행, 가위 보행이 있다. 목발 보행은 4점 보행, 2점 보행, 삼각형 보행 등이 있다.
-
7. 슬관절 검진슬관절은 신체에서 가장 큰 관절로 경첩관절이다. 시침에서는 보행 분석, 종창, 근육 위축, 슬관절 변형(내반슬, 외반슬, 반장슬)을 관찰한다. 뼈 촉진에서는 경골 내측 플라토, 경골 조면, 대퇴 내측상과, 내전근 결절, 대퇴 외측상과, 비골두, 활차절흔, 슬개골을 검사한다. 연부조직 촉진에서는 대퇴사두근, 점액낭, 반월판, 측부인대, 십자인대를 평가한다. 특수검사로는 외반응력, 내반응력, 전방 서랍 징후, 후방 서랍 징후, McMurray 검사, Apley 검사, Bounce home 검사 등이 있다.
-
8. 발목 및 발 검진발목과 발은 보행 시 체중 지지, 균형 유지, 충격 흡수 역할을 한다. 시침에서는 발의 변형(편평족, 하수족, 안쫑다리, 강직성 굴지증), 족궁, 피부색, 종창을 관찰한다. 뼈 촉진에서는 제1 중족설상관절, 주상골 결절, 거골두, 제거돌기, 거골 내측결절, 제5 중족지절관절, 비골 결절, 내과, 외과를 검사한다. 연부조직 촉진에서는 삼각인대, 외측측부인대, 비골근, 족근동, 족저 건막을 평가한다. 특수검사로는 편평족 교정 검사, 경골 염전 검사, 전족부 내전 교정 검사, 족관절 배측굴곡 검사, Homan 징후가 있다.
-
9. 요추 검진요추는 마비신경이 척추관에서 하지로 분리되는 부위로 허리의 운동성을 부여한다. 시침에서는 탈의 동작, 발적, 반점(지방종, 털이 난 반점, 밀크커피 반점), 자세를 관찰한다. 뼈 촉진에서는 극돌기, 배꼽, 천골 갑각을 검사한다. 연부조직 촉진에서는 인대, 척추 주변근, 천골삼각, 좌골신경을 평가한다. 신경학적 검사는 신경학적 레벨별로 반사, 근력, 감각을 검사한다. 특수검사로는 SLR 검사, Hoover 검사, Kernig 검사, Milgram 검사, Naphziger 검사, Valsalva 검사, 골반 불안정 검사, Gaenslen 검사, Patrick 검사, Beevor 징후가 있다.
-
1. 견관절 검진견관절 검진은 상지 기능 평가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견관절은 인체에서 가장 가동범위가 넓은 관절이면서도 불안정성이 높아, 체계적인 검진이 필수적입니다. 회전근개 손상, 충돌증후군, 관절염 등 다양한 병변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능동적 및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검사, 근력 검사, 특수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며, 이는 적절한 치료 계획 수립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운동선수나 반복적 상지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예방적 검진이 중요합니다.
-
2. 주관절 검진주관절 검진은 상지 기능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부분입니다. 주관절은 굴곡과 신전이 주된 운동이지만, 회내회외 운동도 중요합니다. 테니스엘보우, 골프엘보우, 관절염 등의 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인 검진을 통해 통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반복적인 팔 사용으로 인한 직업성 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며, 정확한 진단은 환자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직결됩니다.
-
3. 손목 및 손 검진손목 및 손 검진은 세밀한 손 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손가락 관절염, 건염 등 다양한 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정밀한 감각 검사, 근력 검사, 관절가동범위 평가를 통해 신경학적 손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손의 기능은 일상생활과 직업 수행에 매우 중요하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환자의 기능 회복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정밀한 손 기능이 필요한 직업군에서 예방적 검진이 중요합니다.
-
4. 경추 및 측두하악관절 검진경추 및 측두하악관절 검진은 두경부 기능과 신경학적 상태를 평가하는 데 중요합니다. 경추 질환은 두통, 어깨 통증, 상지 방사통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측두하악관절 검진은 저작 기능과 관련된 문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체계적인 검진을 통해 신경근 압박, 관절 기능 장애, 근육 긴장 등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현대인의 잘못된 자세로 인한 경추 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예방적 검진과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5. 고관절 및 골반 검진고관절 및 골반 검진은 하지 기능과 전신 균형을 평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고관절은 체중 부하를 담당하는 중요한 관절로, 관절염, 충돌증후군, 근육 불균형 등의 질환이 보행과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골반의 정렬 상태는 척추와 하지의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정확한 검진을 통해 통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노화로 인한 고관절 질환 예방과 조기 진단이 환자의 독립적 생활 유지에 중요합니다.
-
6. 보행 분석보행 분석은 전신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가장 실용적인 방법입니다. 정상 보행 패턴의 이해를 통해 다양한 질환과 기능 장애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보행 이상은 척추, 고관절, 슬관절, 발목 등 여러 부위의 문제를 반영하므로, 보행 분석을 통해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신경학적 질환, 근골격계 질환, 노화 등으로 인한 보행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면 낙상 예방과 기능 유지에 효과적입니다. 임상 평가와 기기를 이용한 정량적 분석의 조합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
7. 슬관절 검진슬관절 검진은 하지 기능 평가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슬관절은 체중 부하와 운동 기능을 동시에 담당하는 복잡한 관절로, 전방십자인대 손상, 반월상연골 손상, 관절염 등 다양한 질환이 발생합니다. 체계적인 검진을 통해 이러한 질환들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운동선수나 활동적인 사람들에게 예방적 검진이 중요하며, 정확한 진단은 적절한 치료와 재활 계획 수립에 필수적입니다. 슬관절 기능의 유지는 독립적인 보행과 일상생활 수행에 직결됩니다.
-
8. 발목 및 발 검진발목 및 발 검진은 보행 기능과 신체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발목 염좌, 평발, 족저근막염 등의 질환은 보행 패턴을 변화시키고 상위 관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정확한 발 정렬 평가와 발목 안정성 검사를 통해 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발은 신체의 기초이므로, 발 기능의 이상은 전신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당뇨병 환자나 노인의 경우 발 검진을 통한 합병증 예방이 중요하며, 조기 진단과 치료는 보행 능력 유지와 낙상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
9. 요추 검진요추 검진은 척추 질환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요추는 체중 부하와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부위로, 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근육 긴장 등 다양한 질환이 발생합니다. 체계적인 검진을 통해 통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신경학적 손상 여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요추 질환은 하지 방사통, 보행 장애 등을 유발하여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킵니다. 정확한 진단은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의 선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조기 개입은 만성화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
[A+보장]아동간호학 골절(Fracture)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19페이지 고퀄리티 자료입니다. 19페이지
[A+보장]아동간호학골절(Fracture)A 받은 14페이지고퀄리티 자료입니다.목차Ⅰ. 문헌고찰1. 정의2. 증상3. 원인4. 진단5. 검사6. 치료7. 경과/합병증8. 생활가이드Ⅱ. Pediatric Nursing Practice Conference1. Briefing Note2. 진단적 검사3. 약물요법4. 의학 및 간호학적 처치와 관리(간호)5. 간호진단6. 간호과정7. Work Sheet8. 실습소감9. 참고문헌Ⅰ. 문헌고찰1. 정의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하며, 대개의 경우 ...2023.05.05· 19페이지 -
A+ 아동간호학 급성 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27페이지
아동간호학실습1 사례보고서 (진단명: 급성 신우신염(E.coli) ) 교과목 아동간호학 학번 이름 담당교수 제출날짜 실습기간 ⅰ. 문헌고찰 1) 정의 신우신염(pyelonephritis) 신우신염은 세균 감염에 의해서 생기는 신장 및 신우의 염증이다. 감염경로에는 세균이 요로를 역행해 침입하는 상행성 감염과 패혈증에 의한 혈행성 감염이 있다. 발생빈도는 전자가 많다. 1. 급성신우신염(acute pyelonephis) : 증상은 발열, 허리통증, 배뇨빈도의 증가 등이며 소변 중 에 세균이나 백혈구가 나타난다. 신장조직에서는 세뇨관이...2025.06.27· 27페이지 -
한방간호학실습 돌발성난청 사례보고서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13페이지
00병원과목명한방간호 임상실습교수명학번이름제출일목차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2. 간호력3. 간호과정1) 초기자료(1) 신체 검진(2) V/S, I/O, Ht, Bwt 등(3)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4) 정서적 자료(5) 사회 경제적 자료(6) 교육, 문화적 자료(7) 습관2) 경구, 비경구적 투약과 수액 주입3) 특수 검사4) 각종 처치4.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1) 간호진단2) 간호중재5. 출처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돌발성 난청[sudden sensory neural hearing loss]정의돌발성 난청은 순음청력검사에...2020.12.26· 13페이지 -
아동간호학 미숙아CASESTUDY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27페이지
preterm infant과목명아동간호학실습1실습처실습기간교수님학과학번이름분반제출일목차Ⅰ. 서론 1pⅡ. 문헌 고찰 1~9pⅢ. 간호 과정 10p1. 간호사정 --------------- 10~13p2. 진단적 검사 ------------- 14~15p3. 약물요법 --------------- 16~17p4. 간호진단 ---------------18~24pⅣ.참고 문헌 25pⅠ.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성숙 되지 않은 아기라는 뜻으로 재태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미숙아 (preterm...2021.01.12· 27페이지 -
노화로 인한 신체허약감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목표 3개, 계획 10개, 그에 따른 중재 및 이론적근거 다있습니다. 12페이지
1주차실습 보고서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하시오.성명 : 이**성별 : 여연령 : 86세정보제공자본인입원일자 : 2019년 11월 18일입원경로: □외래 ■응급실진단명 : Closed fracture(FX) of intertrochanteric sect of femur (대퇴골 전자간 골절)수술명 : open reduction of fracture extremity femur■의식수준■Alert □Drowsy □Stupor □Semicoam □Coma■활력징후체온 : 36.6℃ 측정 부위 : 고막호흡 : 20회/분 호흡...2019.11.25· 12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