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회로실험: 멀티플렉서, 디멀티플렉서, 패리티 발생기
본 내용은
"
<디지털회로실험> 멀티플렉서와 디멀티플렉서, 패리티발생기와 검사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4
문서 내 토픽
-
1. 멀티플렉서(MUX)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데이터 입력을 받아들여 선택된 입력만을 출력하는 논리 회로로, 데이터 셀렉터라고도 불린다. IC 74LS153을 이용하여 구성하며, Select 값 S1, S2에 따라 입력 D0~D3 중 하나가 출력 Y로 선택된다. 통신장비에서 여러 기기를 하나로 묶어 통신회선에 연결하여 관리를 간단하게 하고 통신 비용을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
2. 디멀티플렉서(DEMUX)디멀티플렉서는 멀티플렉서의 반대 기능으로 하나의 입력을 여러 개의 출력 중 하나로 전달하는 데이터 분배기이다. IC 74LS138을 이용하여 구성하며, Select 값 S3, S2, S1에 따라 출력 D0~D7 중 하나가 선택되어 0의 값을 가지면 LED가 켜진다. 선택된 출력이 0이 될 때 불이 켜지는 이유는 저항과 LED가 +5V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
3. 패리티 비트(Parity Bit)패리티 비트는 정보 전달 과정에서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해 추가된 비트이다. 짝수(Even) 패리티의 경우 전송 데이터의 비트 값에서 1의 개수가 짝수가 되도록 패리티 비트를 정한다. 통신 과정에서 비트 값이 변경되었을 때 수신자가 전체 비트를 계산하여 패리티 비트를 다시 계산함으로써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
4. 패리티 발생기/검사기2-비트 짝수 패리티 발생기/검사기는 IC 74LS86(XOR), 74LS08(AND), 74LS76(JK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JK 플립플롭으로 A, B 신호를 생성하고, XOR 게이트로 패리티 비트를 생성한 후 AND 게이트와 스위치를 통해 인위적 에러를 생성하여 패리티 오류를 검사한다. 함수발생기의 1Hz 신호를 클락으로 사용한다.
-
1. 멀티플렉서(MUX)멀티플렉서는 디지털 회로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조합 논리 소자입니다. 여러 개의 입력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선택 신호(셀렉트 라인)의 조합에 따라 어떤 입력을 선택할지 결정됩니다. 이는 데이터 라우팅, 신호 선택, 그리고 복잡한 논리 함수 구현에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시스템, 통신 장비 등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며, 집적도가 높아질수록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됩니다. 멀티플렉서의 효율적인 설계는 시스템의 성능과 비용 최적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2. 디멀티플렉서(DEMUX)디멀티플렉서는 멀티플렉서의 역함수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조합 논리 회로입니다. 하나의 입력 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 라인 중 하나로 라우팅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선택 신호에 따라 입력이 어느 출력으로 전달될지 결정합니다. 데이터 분배, 주소 디코딩, 신호 분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메모리 주소 선택과 I/O 포트 제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멀티플렉서와 함께 사용되어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
3. 패리티 비트(Parity Bit)패리티 비트는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효율적인 오류 검출 방식입니다. 짝수 패리티와 홀수 패리티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데이터 비트의 개수를 짝수 또는 홀수로 만들어 오류 여부를 판단합니다. 구현이 간단하고 오버헤드가 적어서 많은 통신 시스템과 저장 장치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다만 단일 비트 오류만 감지 가능하고 오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더 강력한 오류 정정 코드와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
4. 패리티 발생기/검사기패리티 발생기와 검사기는 패리티 비트 기반 오류 검출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발생기는 원본 데이터로부터 패리티 비트를 생성하고, 검사기는 수신된 데이터의 패리티를 검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들은 XOR 게이트를 기반으로 한 간단한 논리 회로로 구현되어 비용 효율적이며, 실시간 처리가 가능합니다. 메모리 시스템, 통신 프로토콜, 저장 장치 등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논리회로의 간소화,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조합논리 예비레포트 8페이지
논리회로의 간소화,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조합논리예비레포트1. 실험 제목1) 논리회로의 간소화2)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조합논리2. 실험 목적1) 논리회로의 간소화- 무효 BCD-코드 감지기에 대한 진리표 작성- Karnaugh 맵을 이용한 표현식의 간소화- 간소화된 표현식을 구현하는 회로의 구성 및 시험- 회로 내 결함에 의한 영향 예측2)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조합논리-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비교기 및 패리티 발생기 회로의 구성 및 시험- N-입력 멀티플렉서 하나를 이용한, 2N개의 입력을 갖는 진리표의 회로 구현- 시험회로에서의 가...2022.08.26· 8페이지 -
예비보고서(5) 부호기복호기 6페이지
실험제목 :부호기, 복호기- 예비보고서1. 목적논리회로는 일반적으로 조합논리회로와 순서논리회로로 구분된다. 조합논리회로는 실험 1 기본논리게이트에서 제시된 기본논리게이트들의 조합을 통해서 구성된 논리회로이고, 순서논리회로는 입력 신호의 순서에 따라서 동작과 출력이 다르게 나타나는 논리회로이다. 이 장에서는 조합논리회로의 기본적인 예가 되는 복호기와 부호기의 동작 원리 및 특성을 확인하고 부호 변환기의 동작을 살펴본다.2. 관련이론고정기능 조합논리회로에는 가산기, 비교기, 디코더, 인코더, 코드 변환기, 멀티플렉서, 디멀티플렉서 및 ...2020.10.14· 6페이지 -
(예) 12.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조합 논리 5페이지
디지털 논리 회로 실험예비 레포트(실험12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조합논리)실험의 목적? 멀티플렉서를 사용하여 비교기와 패리티 발생기 구성 및 회로 테스트.? N-입력 멀티플렉서를 사용하여 2N개의 입력을 갖는 진리표 구현.? 테스트 회로에서 모의실험 결함의 고장 진단.실험의 개요? 이론 요약멀티플렉서 혹은 데이터 선택기는 여러 입력 중의 하나를 한 개의 출력으로 연결한다.반대로, 한 개의 입력을 여러 출력 중 하나로 연결하는 기능은 디멀티플렉서 혹은 디코더라고 한다. 이러한 정의를 그림에 나타내었다. 제어는 선택 또는 주소입력이라고 ...2015.12.11· 5페이지 -
[예비레포트]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조합논리 4페이지
1 실험제목: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조합논리2 실험 목적멀티플레서를 이용한, 비교기 및 패리티 발생기 회로의 구성 및 시험N-입력 멀티플렉서 하나를 이용한 ,2N개의 입력을 갖는 진리표의 회로 구현시험회로에서의 가상적 결함에 대한 고장진단.3 준비물(실험용 기기 및 부품)74151A멀티 플렉서/데이터 선택기7404HEX인버터LED1개저항3301개 1.0K4개4 관련이론멀티플렉서란?=MUX여러 개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해 출력으로 내보내는 논리 회로이다.어떤 입력을 출력으로 보낼지 결정하는 CONTROL INOUT핀이 따로 존재한다.진...2019.07.22· 4페이지 -
조합논리회로 실험 이론정리(10주차) 10페이지
10주차 실험 이론정리이번 시간은 저번 시간에 배운 가산기와 감산기 복습과 더불어 엔코더, 디코더, 비교기에 대한 이론을 공부하였다.가산기저번 시간에 배운 가산기와 감산기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면 가산기라는 것은 이름 그대로 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가산기에는 반가산기와 전가산기가 있는데 반가산기는 2입력 회로이고 전가산기는 3입력 회로이다. 2진수 입력 값을 가지는 가산기에서 반가산기의 경우 입력 값 서로 더해서 2개의 출력 값을 가지는데 두개의 입력 값을 더해 캐리가 발생할 경우 출력 값 1을 가지고 더해서 0이 되면 출력 값...2013.06.09· 10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