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결장암 수술 환자의 감염 위험성 간호사례
본 내용은
"
<A보장> S상결장암 Casestud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2
문서 내 토픽
  • 1. 결장암(Colon Cancer)
    88세 여성 환자로 상기환자는 고혈압 기저질환이 있으며 작년 가을부터 거동 시 호흡곤란이 있었다. 3월 10일 LMC에서 시행한 Lab상 Hb저하 소견으로 입원하였다. 진단명은 상세불명의 결장암이며 2023년 3월 23일 Hemicolectomy & lymphodectomy[Right, Left] 수술을 시행하였다. 내시경 생검 결과 hepatic flexure와 sigmoid colon에서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가 확인되었으며 Rectum에서는 Tubular ADENOMA dysplasia with low grade dysplasia가 확인되었다.
  • 2. 수술 후 감염 위험성 관리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이 주요 간호진단이다. 수술 후 활력징후 모니터링, 배액 양상 및 양량 관찰, 수술부위와 카테터 삽입부위 피부상태 관찰을 시행하였다. Foley catheter와 JP drain을 적절히 관리하고 처방된 항생제(국제세파제돈주, 메트리날주)를 투여하였다. 손씻기 철저히 하고 엄격한 무균술을 시행하여 감염을 예방하였다.
  • 3. 혈액검사 및 종양표지자
    일반혈액검사에서 WBC, RBC, Hb, Hct, MCV, MCH 등이 감소하여 빈혈 소견을 보였다. 3월 25일 WBC 16.64, CRP 8.3으로 상승하였고 3월 27일 WBC 10.75, CRP 13.30으로 변화하였다. 종양표지자 검사에서 CEA 1.1, CA19-9 0.38로 정상범위였다. 면역혈청검사에서 HBsAb 양성, HCV Ab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 4. 수술 후 간호중재 및 교육
    수술 직후 15분 간격으로 4번, 그 후 1시간 간격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JP drain 배액량을 매일 관찰하여 3월 24일 Rt 160cc, Lt 17cc에서 3월 29일 Rt 60cc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대상자에게 수술부위는 절대 손으로 만지지 말 것, 손씻기의 중요성, 올바른 손씻기 방법, 개인위생에 대해 교육하였다. 감염 증상 발생 시 즉시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결장암(Colon Cancer)
    결장암은 전 세계적으로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주요 악성종양 중 하나입니다. 조기 발견이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50세 이상의 성인에게 정기적인 선별검사가 중요합니다. 특히 가족력이 있거나 염증성 장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식이요법 개선, 규칙적인 운동, 금연 등의 생활습관 개선이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현대의 내시경 기술과 수술 기법의 발전으로 치료 성과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다학제 치료 접근이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수술 후 감염 위험성 관리
    수술 후 감염은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입원 기간을 연장시키는 심각한 합병증입니다. 효과적인 감염 관리를 위해서는 수술 전 항생제 예방투여, 무균 기법 준수, 적절한 상처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수술 후 환자의 면역 상태 모니터링과 조기 감염 징후 발견이 중요합니다. 의료진의 손 위생, 의료기구의 멸균, 환자 교육을 통한 자가 관리 능력 향상이 감염 예방의 핵심입니다. 감염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3. 혈액검사 및 종양표지자
    혈액검사와 종양표지자는 결장암의 진단, 치료 반응 평가, 재발 감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EA(암배아항원)와 CA 19-9 같은 종양표지자는 치료 효과 판정과 예후 예측에 유용합니다. 그러나 이들 표지자는 특이도가 완벽하지 않아 단독으로는 진단 기준이 될 수 없으며, 영상검사 및 조직검사와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되어야 합니다. 정기적인 혈액검사를 통한 추적 관찰은 조기 재발 발견에 도움이 됩니다. 개인맞춤형 의학의 발전으로 유전자 검사 등 새로운 바이오마커의 임상 적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 4. 수술 후 간호중재 및 교육
    수술 후 간호중재는 환자의 빠른 회복과 합병증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통증 관리, 영양 지원, 장 기능 회복 촉진, 신체활동 재개 등이 포함됩니다. 환자 교육은 퇴원 후 자가 관리 능력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특히 인공항문 환자의 경우 심리적 적응과 실제적인 관리 기술 교육이 중요합니다. 의료진과 환자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가족의 참여,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성공적인 회복을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다학제 팀의 협력을 통한 포괄적인 간호 제공이 환자 만족도와 예후를 개선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