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배양 시 배지 교체 방법
본 내용은
"
Changing cell culture media (Refreshing the media) A+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17
문서 내 토픽
  • 1. 세포 배양
    세포 배양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한 후 체외(in vitro) 환경에서 배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세포를 지속해서 배양하기 위해서는 세포를 떼어내어 세포 현탁액으로 만들고, 희석하여 새로운 배양용기에 plating하게 되는데 이를 계대배양(subculture)이라고 한다. 세포 배양에서 media 교체는 세포의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media에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있어 세포 증식에 필수적이며, 동시에 세포의 대사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노폐물이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2.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는 평형염류용액의 일종으로, 생리식염수에 pH를 더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인산염이 첨가된 용액이다. PBS는 이온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세포의 삼투압 변화를 최소화하고, 세포가 생리적 활성을 보이는 pH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pH 변화를 완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세포 배양 시 media change나 subculture를 할 때 wash가 필요한 단계에서 사용하게 된다.
  • 3. 배지 성분
    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에는 RPMI 1640, MEM, DMEM 등이 있으며, 이번 실험에서는 RPMI 1640이 사용되었다. RPMI 1640은 L-Glutamine, methionine 등의 아미노산과 비타민, 지시약인 phenol red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세포 증식을 위해 FBS(태아 소 혈청)와 항생제인 penicillin, streptomycin이 첨가된다. FBS는 세포 성장에 필요한 아미노산, 당, 성장인자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생제는 배지에서 증식시키고자 하는 세포 이외의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세포 배양
    세포 배양은 생물학, 의학, 약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기법입니다. 세포를 실험실 환경에서 인위적으로 증식시켜 연구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 수준의 생물학적 현상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세포 배양 기술은 줄기세포 연구, 조직 공학, 바이러스 백신 개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세포 배양 기술의 발전은 생명과학 분야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혁신을 통해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는 세포 배양, 면역학, 생화학 등 다양한 생물학 실험에서 널리 사용되는 완충 용액입니다. PBS는 생리학적 pH와 삼투압을 유지하여 세포와 생물학적 분자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PBS는 세포 세척, 항체 희석, 단백질 정제 등 다양한 실험 과정에서 사용되어 실험의 재현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최근에는 PBS의 조성을 변형하여 특정 실험 목적에 맞게 최적화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PBS는 생물학 연구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잡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됩니다.
  • 3. 배지 성분
    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필요한 다양한 영양분과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배지 성분에는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 염류, 성장 인자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세포의 대사 활동과 생리적 기능을 지원합니다. 배지 성분의 조성은 세포 종류와 실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되며, 최적의 배양 환경을 만들어 세포의 건강과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에는 배지 성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세포 배양의 효율성과 재현성을 높이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지 성분 연구는 줄기세포 배양, 조직 공학, 바이러스 백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