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포 배양 시 배지 교체 방법
본 내용은
"
Changing cell culture media (Refreshing the media) A+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17
문서 내 토픽
-
1. 세포 배양세포 배양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한 후 체외(in vitro) 환경에서 배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세포를 지속해서 배양하기 위해서는 세포를 떼어내어 세포 현탁액으로 만들고, 희석하여 새로운 배양용기에 plating하게 되는데 이를 계대배양(subculture)이라고 한다. 세포 배양에서 media 교체는 세포의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media에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있어 세포 증식에 필수적이며, 동시에 세포의 대사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노폐물이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2.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PBS는 평형염류용액의 일종으로, 생리식염수에 pH를 더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인산염이 첨가된 용액이다. PBS는 이온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세포의 삼투압 변화를 최소화하고, 세포가 생리적 활성을 보이는 pH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pH 변화를 완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세포 배양 시 media change나 subculture를 할 때 wash가 필요한 단계에서 사용하게 된다.
-
3. 배지 성분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에는 RPMI 1640, MEM, DMEM 등이 있으며, 이번 실험에서는 RPMI 1640이 사용되었다. RPMI 1640은 L-Glutamine, methionine 등의 아미노산과 비타민, 지시약인 phenol red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세포 증식을 위해 FBS(태아 소 혈청)와 항생제인 penicillin, streptomycin이 첨가된다. FBS는 세포 성장에 필요한 아미노산, 당, 성장인자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생제는 배지에서 증식시키고자 하는 세포 이외의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
1. 세포 배양세포 배양은 생물학, 의학, 약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기법입니다. 세포를 실험실 환경에서 인위적으로 증식시켜 연구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 수준의 생물학적 현상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세포 배양 기술은 줄기세포 연구, 조직 공학, 바이러스 백신 개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세포 배양 기술의 발전은 생명과학 분야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혁신을 통해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PBS(Phosphate Buffered Saline)는 세포 배양, 면역학, 생화학 등 다양한 생물학 실험에서 널리 사용되는 완충 용액입니다. PBS는 생리학적 pH와 삼투압을 유지하여 세포와 생물학적 분자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PBS는 세포 세척, 항체 희석, 단백질 정제 등 다양한 실험 과정에서 사용되어 실험의 재현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최근에는 PBS의 조성을 변형하여 특정 실험 목적에 맞게 최적화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PBS는 생물학 연구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잡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됩니다.
-
3. 배지 성분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필요한 다양한 영양분과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배지 성분에는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 염류, 성장 인자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세포의 대사 활동과 생리적 기능을 지원합니다. 배지 성분의 조성은 세포 종류와 실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되며, 최적의 배양 환경을 만들어 세포의 건강과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에는 배지 성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세포 배양의 효율성과 재현성을 높이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지 성분 연구는 줄기세포 배양, 조직 공학, 바이러스 백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계대배양 실험 결과 보고서1. 계대배양 실험 이번 실험을 통해 HeLa cell의 배지 조성 방법과 시약들의 용도를 알 수 있었고, 마이크로 피펫과 파이펫에이드 사용법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세포가 오염되지 않도록 클린벤치에 들어가는 모든 물품을 소독하고, 배지 및 시약의 뚜껑과 병의 입구, 배양 접시의 뚜껑을 열고 닫을 때 화염멸균을 하는 등 실험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점들을 배...2025.01.13 · 자연과학
-
간 배양 실습레포트1. 간의 기능 간은 산소가 풍부한 동맥혈과 산소가 적은 정맥피가 함께 섞이는 특별한 장소이며 혈액의 창고라고 할 만큼 우리 몸 전체 혈액의 3분의 1정도가 항상 존재한다. 간은 angiotensin 1을 만드는 angoitensinogen을 분비하고, glucose를 glycogen으로 만들어 저장하며, 공복 시 저장된 glycogen을 분해하여 혈중으로...2025.01.22 · 의학/약학
-
세포배양결과레포트 6페이지
세포배양결과레포트1.실험 목적세포배양을 통하여 세포의 성장주기와 세포배양법을 익힌다.2.실험이론•세포배양-생물의 조직이나 기관으로부터 분리한 세포를 적당한 배양액 속에서 생육시키는 것을 말한다.-수분조절 : 모든 재료의 수분 함량을 70%로 맞춰야 한다.-공기의 유통 : 대부분과 균과 세포는 호기성, 번식 왕성을 위함-온도 : 40도 이상의 높은 온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양분공급•계대배양 (Cell Pass)-세포 증식을 위해 새로운 배양접시에 옮겨 세포의 대를 계속 이어서 배양하는 방법으로, 제한된 배양접시 내에서 세포가 증식...2022.01.23· 6페이지 -
식물생명공학_식물대사물질 레포트 5페이지
대사물질의 이용식물 유용 성분의 생산식물이 생산하는 대사물질은 인류에게 유용한 물질로 쓰일 수 있다. 이는 미생물 발효법을 이용하여 유용물질을 생산한 이후로 식물에게도 해당 시스템을 적용하여 이를 대량생산하며 시작하였다. 비록 증식속도가 빨리 유용물질을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얻을 수 있는 미생물을 사용한 생산법과는 다르게 식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수개월에서 수개월이 필요한 편이다. 하지만 식물을 이용한 생산의 대사물질의 생산은 화학적 합성법이나 미생물 발효법을 사용하여 생산할 수 없는 복잡한 구조나 입체적 구조 등을 가지고 있어 식...2024.01.04· 5페이지 -
미생물의 배양배지의 제조 및 시료채취 5페이지
3주차 미생물의 배양배지의 제조 및 시료채취1. 실험 제목 (subject) : 미생물의 배양배지의 제조 및 시료 채취2. 실험 목적 (purpose) : 미생물학 실험에서는 특이한 성질을 지닌 미생물을 분리, 배양하거나 조사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반드시 필요한 도구가 배양배지이다. 따라서, 미생물학 실험에 필수적인 배양배지의 제조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1)}3. 배경지식 (background knowledge)-배지(medium)배지란, 미생물의 발육을 위한 영양 물질로사 미생물의 종류, 생리적 조건, 실험목적에 따라...2022.06.13· 5페이지 -
[미생물실험]환경오염의 원인인 황화합물 제거를 위한 미생물(T.1082) 배양 9페이지
환경오염의 원인인 황화합물 제거를 위한 미생물(T.1082) 배양- Microorganism (T. 1082) cultivation experiment for removing sulfurcompounds which is a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1. 실험 목적가. 실험 목표최근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기술개발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중대해 지고 있다. 악취는 특성상 저 농도에서도 불쾌감이 발생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지역 주민들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세균번식으로 ...2020.08.18· 9페이지 -
GMP-무균 및 미생물시험 관리 18페이지
Laboratory control system 무균 및 미생물시험 관리생물학제제 소개 생물학제제 소개 01생물학제제 소개 생물의약품이란 ? ▶ 약사법 정의 : 식품의약품안전청 제 2013-193 호 (2013. 7. 5. 개정 )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것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제조한 의약품으로서 보건위생상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의약품을 말하며 , 생물학적제제 , 유전자재조합의약품 , 세포배양의약품 , 세포치료제 , 유전자치료제 , 기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인정하는 제제를 포함한다 . 생물학제제 소개 01생물학제제 소개...2020.12.30· 1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