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당뇨병 환자의 임상 사례
본 내용은
"
성인실습_급성신우신염케이스스터디_A+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3
문서 내 토픽
-
1. 급성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APN)신 실질과 집합체계의 염증으로, 주로 세균감염(특히 대장균)에 의해 발생한다. 본 사례에서 환자는 좌측 신우신염으로 진단받았으며, 신우 및 요관벽 비후, 신장 하부 소농양이 확인되었다. 증상으로는 좌측 옆구리 통증, 근육통, 오한, 고열(38.7°C), 오심, 구토 등이 나타났다. 혈액검사에서 WBC 18.51, CRP 183.45, ESR 79로 높은 염증수치를 보였다. 치료는 항생제(Ceftriaxone, Cirok, Anycef) 투여와 보존치료로 진행되었으며, 5일간의 입원 후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
2. 당뇨병(Diabetes Mellitus)과 신장합병증환자는 12세부터 제2형 당뇨병(NIDDM)을 진단받았으며, 망막병증을 동반하고 있다. 입원 시 혈당(FBS) 338 mg/dL로 높게 측정되었고, HbA1c 8.2%로 당뇨 조절이 불량한 상태였다. 당뇨병성신증이 의심되며, 요중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이 175.85로 정상(30 이하)을 크게 초과하였다. 인슐린 요법(Humulin R, Novorapid, Tresiba)으로 혈당을 관리하고 있으며, 당뇨병이 급성신우신염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3. 간호진단 및 중재: 고체온과 급성통증환자의 주요 간호진단은 염증 과정과 관련된 고체온과 급성통증이었다. 고체온 관리는 해열제(Denogan, Demonex) 투여, ice bag 적용, 미온수 trapping 등으로 이루어졌다. 통증은 NRS 6점에서 시작하여 진통제(Tridol, Ultracet) 투여와 항생제 치료로 2일 내 NRS 2점 이하로 감소하였다. 활력징후 모니터링, I/O 관찰, 염증수치 추적, 비약물적 이완요법 교육 등이 제공되었으며, 모든 단기 및 장기목표가 달성되었다.
-
4. 항생제 감수성 검사 및 약물치료혈액 및 소변 배양검사에서 대장균(E. coli)이 검출되었으며, 항균제 감수성 검사 결과 Ampicillin, Piperacillin, Trimethoprim에 감수성을 보였다. 입원 중 Cycin, Ceftriaxone 정맥주사를 투여하였고, 퇴원 후 Cirok, Anycef 경구약으로 전환하여 항생제 치료를 지속하였다. 추가로 해열진통제, 소화제, 전해질 보충제, 당뇨병 치료제 등 다양한 약물이 처방되었으며, 각 약물의 부작용 모니터링과 환자 교육이 이루어졌다.
-
1. 급성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APN)급성신우신염은 신장과 신우에 발생하는 세균 감염으로, 요로감염 중 가장 심각한 형태입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매우 중요하며, 혈뇨, 고열, 옆구리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특히 당뇨병 환자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합병증 위험이 높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적절한 항생제 투여와 함께 충분한 수분 섭취, 휴식이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재발 방지를 위해 근본적인 요로 폐색 원인을 제거하고 예방적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당뇨병(Diabetes Mellitus)과 신장합병증당뇨병성 신장질환은 당뇨병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로, 장기간의 고혈당이 신장의 사구체를 손상시켜 발생합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필수적입니다. 혈당 조절, 혈압 관리, 단백뇨 감소가 신장 기능 보존의 핵심입니다. 당뇨병 환자는 신장질환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신기능 검사와 소변검사가 필요합니다. 적절한 약물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신장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말기신부전으로의 진행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간호진단 및 중재: 고체온과 급성통증급성신우신염 환자의 고체온과 급성통증은 주요 간호 문제로,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킵니다. 고체온 관리를 위해서는 해열제 투여, 미온수 마찰, 충분한 수분 섭취 등의 중재가 필요하며, 체온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급성통증 완화를 위해서는 진통제 투여, 편안한 자세 유지, 온열 요법 등이 효과적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신체적 증상뿐만 아니라 심리적 불안감도 함께 관리하여 전인적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증상 완화와 함께 항생제 치료의 효과를 모니터링하고 환자 교육을 통해 회복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항생제 감수성 검사 및 약물치료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급성신우신염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필수적인 검사로, 원인 균주에 대한 항생제의 효과를 판정합니다. 요배양 검사를 통해 원인균을 동정하고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기에는 광범위 항생제로 시작하여 검사 결과에 따라 항생제를 변경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항생제 내성 증가로 인해 감수성 검사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적절한 용량과 투여 기간 준수가 치료 성공과 내성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환자의 신기능, 약물 상호작용 등을 고려한 맞춤형 약물치료가 필요합니다.
-
급성신우신염 케이스 12페이지
급성신우신염 간호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 간호학과 급성신우신염 간호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 급성신우신염 간호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 급성신우신염 간호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 급성신우신염 간호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목 차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Ⅱ. 문헌고찰Ⅲ. 자료수집Ⅳ. 투약기록지Ⅴ. 진단검사 결과 기록지Ⅵ. 기타 진단검사Ⅶ. 간호과정1. 고체온2. 배뇨양상 장애3. 급성 통증4. 신체기동성 장애5. 체액불균형 위험성Ⅷ. 결론Ⅸ. 참고문헌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급성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은 상...2025.05.07· 12페이지 -
세브란스합격자, 실습ALL A+ CASE_신우신염_성인실습_평균학점 4.28 18페이지
REPORT제목 :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수강과목 :담당교수 :학 과 :학 번 :이 름 :목 차1. 사례선정 필요성 및 목적2. 문헌고찰3. 대상자 사례 연구4. 진단검사5. 약물6. 간호과정 ???????? 1) 간호과정 #1???????? 2) 간호과정 #2???????? 3) 간호과정 #37. 참고문헌1. 사례선정 필요성 및 목적- 성인간호 임상실습을 통해 성인들에게 주로 호발하는 관련질환에 대해 알게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특히 저희 14병동에서는 급성 신우신염, 만성 신부전 등 신장과 관련된 환자가 다...2023.09.21· 18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요추 근막병증 디스크 케이스 18페이지
▣ 대상자 정보성별 / 나이M / 72주진단명Herniated disc disease of lumbar spine with radiculopathy부진단명1) Radiculopathy lumbar region2) Gastritis수 술 명Discectomy, lumbar spine(Microscopic discectomy L4-5 Rt)I. 서론1. 선정배경? 이번 실습을 나가 132W 응급병동에서 실습하던 중 “신근뿌리병증을 동반한 요추 및 기타 추간판 장애”라는 진단은 처음 들었을 때 어떤 질환인가 싶었다. 하지만 이 진단은 현...2024.12.11· 18페이지 -
아동 폐렴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CASE) 간호진단 2개 계획, 근거까지(고체온, 비효과적 기도 청결) 포함!! 18페이지
------------------------------------------------------------------------------아동간호학실습폐렴(Pneumonia)CASE STUDY-------------------------------------------------------------------------------실습기관실습병동실습기간실습지도교원조학 번이 름제출일- 목차 -Ⅰ. 서론Ⅱ. 본론1. 문헌고찰1) 정의2) 원인3) 증상4) 진단 검사5) 치료6) 합병증7) 예방2. 간호과정 사례보고서Ⅲ. 참고문헌Ⅳ. ...2024.04.07· 18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케이스스터디]급성담낭염과 담낭절제술 35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Ⅱ케이스 스터디-Acute cholecystitis -목차Ⅰ. 서론1. 사례 선정 의의2. 문헌고찰1) 정의2) 원인과 증상3) 진단 및 검사 소견4) 치료 및 간호5) 경과 및 합병6) 진단검사 임상적 의의Ⅱ. 본론1. 대상자 사정1) 간호력2) 진단검사3) 심장 및 영상의학검사4) 투약 날짜2. 간호과정Ⅲ. 결론1. 느낀점Ⅳ. 참고문헌2 case study.hwp11. 사례선정이유2019년 12월 30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개한 ‘2019년 주요 수술 통계 연보’에 따르면 국민적 관심이 높은 33개 주요 수술 건수는...2022.05.05· 3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