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P & EKG 모니터링 체크리스트
본 내용은
"
CVP & EKG Mornitoring Checklis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2
문서 내 토픽
-
1. 중심정맥압(CVP) 모니터링중심정맥카테터 삽입 및 압력 모니터링을 위한 물품 준비, 적응증, 합병증 관리를 포함한다. 적응증은 체액량 상태 평가, 우심실 전부하 사정, 혈역학 변화 관찰, 정맥 샘플 채취 등이다. 합병증으로는 출혈, 부정맥, 감염, 혈전, 색전형성, 기흉, 혈흉, 유미흉, 혈관손상, 공기색전증, 수액과다주입이 있다. 삽입부위는 성인의 경우 쇄골하정맥, 경정맥, 대퇴정맥이며, 체위에 따른 정확한 모니터링과 영점 조정이 필수적이다.
-
2. CVP 파형 분석 및 정상 범위정상 파형은 A파(심방수축), B파(삼첨판 폐쇄), C파(우심방 충만)로 구성된다. 정상 CVP 범위는 2-7mmHg이며, 호기말에 측정한다. Square wave test를 통해 정확성을 평가하며, 최적 감쇠 시스템에서는 0.12초 이내에 1-2개의 진동이 나타난다. 과감쇠 시스템은 압력을 낮게, 저감쇠 시스템은 높게 표시하므로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다.
-
3. 심전도(EKG) 전도체계 및 유도심장의 전도체계는 동결절에서 방실결절, His bundle, Purkinje fiber를 거친다. 12유도 심전도는 양극유도(I, II, III), 단극유도(aVR, aVL, aVF), 흉부유도(V1-V6)로 구성된다. 기록지는 25mm/sec 속도로 수평축은 시간(0.04초/작은 눈금), 수직축은 전압(0.1mV/mm)을 나타낸다.
-
4. 정상 심전도 구성요소 및 부정맥P파는 심방탈분극(<0.25mV, 0.06-0.11초), PR간격은 0.12-0.2초, QRS복합체는 0.06-0.1초, ST분절은 등전위선, T파는 심실재분극을 나타낸다. 정상 심박동수는 60-100회/분이며, 부정맥으로는 동성서맥, 동성빈맥, 동성부정맥, 심방세동, 심방조동, 조기심실수축, 심실빈맥, 심실세동 등이 있다.
-
1. 중심정맥압(CVP) 모니터링중심정맥압 모니터링은 중환자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혈역학적 평가 도구입니다. CVP는 우심방의 압력을 반영하며, 환자의 체액 상태와 심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정상 범위인 2-8 mmHg를 기준으로 CVP 상승은 우심부전, 폐고혈압, 과도한 수액 투여를 시사하며, 저하는 탈수나 저혈량 상태를 나타냅니다. 중심정맥관을 통한 직접 측정은 신뢰성이 높으나 감염, 혈전, 천공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으므로 적절한 무균 기법과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입니다. 임상 의사결정에서 CVP 수치뿐만 아니라 추세 변화와 환자의 임상 증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2. CVP 파형 분석 및 정상 범위CVP 파형 분석은 단순한 수치 측정보다 더 깊이 있는 혈역학적 정보를 제공합니다. 정상 CVP 파형은 a파, x하강, v파, y하강으로 구성되며, 각 파형의 변화는 특정 병리 상태를 시사합니다. 거대 a파는 삼첨판 폐쇄부전이나 심방세동을 나타내고, 거대 v파는 삼첨판 역류를 의미합니다. 정상 범위 2-8 mmHg 내에서도 파형의 형태 변화는 중요한 진단 정보가 됩니다. 그러나 파형 해석은 기술적 오류(카테터 위치 부적절, 과도한 수액 주입)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측정 기법과 임상 맥락의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
3. 심전도(EKG) 전도체계 및 유도심전도의 전도체계 이해는 심장 전기 활동을 정확히 해석하기 위한 기초입니다. 동방결절에서 시작된 자극이 심방을 거쳐 방실결절, 히스속, 좌우 각 다발을 통해 심실에 전달되는 과정이 심전도에 반영됩니다. 12유도 심전도는 심장을 다양한 각도에서 관찰하여 국소적 이상을 감지할 수 있게 합니다. 표준 사지 유도 3개, 증강 사지 유도 3개, 흉부 유도 6개의 조합으로 심근경색, 비대, 허혈 등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전도체계의 정상 해부학적 구조와 각 유도의 해부학적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임상 진단의 정확성을 높입니다.
-
4. 정상 심전도 구성요소 및 부정맥정상 심전도의 구성요소인 P파, QRS파, T파, U파는 각각 심방 탈분극, 심실 탈분극, 심실 재분극, 심실 후 재분극을 나타냅니다. 정상 범위를 벗어난 파형의 변화는 다양한 병리 상태를 시사합니다. 부정맥은 심박수 이상, 리듬 불규칙, 전도 장애로 분류되며, 심방세동, 심실빈맥, 방실차단 등이 임상적으로 중요합니다. 부정맥의 심각성은 혈역학적 영향과 기저 심질환의 유무에 따라 결정됩니다. 정상 심전도 소견을 정확히 인식하고 이상 소견과 구별하는 능력은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진단과 치료 결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
중환자실 중증도 분류: APACHE Ⅱ, SAPS, MPM, SOFA 9페이지
신경외과 중환자실 중증도 분류목차1. 중환자실 중증도 분류 종류2. APACHE Ⅱ3. SAPS 3 Admission Score4. 환자사례5. 병원 중환자 간호사회6. 참고문헌1. 중환자실 중증도 분류 종류: APACHE, SAPS, MPM, SOFA- APACHE: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scoring system): 1985년도 APACHEⅡ가 발표: 생리지표 줄이고 GCS(glascow coma scale)와 ARF(acute ranal failure)의 가중치를...2019.08.29· 9페이지 -
성인간호학 OR Case Study [Wedge resection of lung by VAT’s] [spontaneous pneumothorax(자연기흉)] 10페이지
성인간호학 OR Case Study[Wedge resection of lung by VAT’s]실습지실습기간2019.03.11.~2018.03.22학교담당 교수님학년/반학번/이름Ⅰ.서론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국민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7년 기흉으로 병원을 찾은 2만4,149명의 약 51%는 10~20대가 차지했다고 한다. 또한 기흉의 재발률은 30~50%에 달해 한번 기흉을 겪은 환자는 이후에 또 기흉에 걸릴 위험이 크므로 근본적 치료를 위해서는 수술이 필요하다고 한다. 따라서 기흉의 발생원인 및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공...2020.04.05· 10페이지 -
CCU 수술환자간호 7페이지
단위업무명 : 수술환자 간호○ 업무흐름도수술 전 간호∥환자 확인Pre op order확인 및 시행수술전 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표 작성수술환자 확인기록지 확인수술실로 환자이동수술환자 받을 준비○ 업무내용【 수술전 간호 】1. 환자확인수술 예정 환자의 이름과 등록번호를 통해 환자확인을 한다.2. Pre OP order확인 및 시행Pre OP order확인 하에 수술전 처치를 시행한다.- IV 18G확보, 관장, 항생제 skin test, 처방된 수액 연결하기)- ABO, RH typing, antibody screening test, ...2015.01.05· 7페이지 -
성인간호학 ICU 체크리스트 4페이지
중환자 실습 목록표 (체크리스트)실 습 내 용문헌고찰 및 대상자상태경험수준관찰수행간호기록중환자 기록지대상자의 상태변화와 간호내용 파악하기 위함.11/911/9Cardex연필로 기록하여 변경, 첨가 가능함.11/9전산기록관리처치, 간호관리, 환자 검사 등 업무가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11/911/9기본간호Mouth / Eye care스스로 Mouth , eye care를 할 수 없는무의식 대상자를 대상으로 함.11/911/9Back massage & bath피부와 근육으로의 혈액공급을 원활히하기 위해 position chang...2010.11.16· 4페이지 -
ICU 대상자 중심으로 기술한 레포트 9페이지
Ⅶ. 중환자 실습 목록표 (체크리스트)실 습 내 용날 짜대 상 자 상 태경험수준HN 확인란관찰수행간호기록중환자 기록지03.03‘중환자 관찰 기록지’라 하여 매일매일 3교대의 간호를 기록한다.○Cardex03.03일시적으로 연필로 기록하여 사용하는 간호기록양식으로서 병록 작성 시 참고자료의 역할을 한다.○전산기록관리·환자 기록의 저장.·병원 컴퓨터와 연결된 모든 컴퓨터로는 기록을 확인.·처치, 투약 업무가 동시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의료소모품 청구 작업이 동시에 되도록 함.기본간호Mouth / Eye care03.0303....2009.08.21· 9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