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리스강의 기계적 성질과 열처리 분석
본 내용은
"
신소재프로젝트3 금속 A+ 결과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1
문서 내 토픽
-
1. 스테인리스강(STS)의 정의 및 분류스테인리스강은 철에 크롬과 니켈을 첨가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 공업재료입니다. 성분에 따라 Cr계와 Ni계로 분류되며, 조직에 따라 마르텐사이트계, 페라이트계, 오스테나이트계 3가지로 구분됩니다. 중성 상태의 산소 농도 환경에서 부동태를 형성하여 불수성을 유지하는 강으로 정의되며, 내식성이 강한 특징을 가집니다. 다만 산화성 산에는 강하지만 염산, 황산 등 비산화성 산에는 상대적으로 약합니다.
-
2.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오스테나이트계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 유형으로,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내식성, 내열성을 가집니다. 대표적인 합금강으로는 STS304, 305, 316, 321 등이 있으며, 가정용품, 산업용 배관, 선박, 건축 및 건축 정면에 널리 사용됩니다.
-
3.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일반 강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내식성, 내열성, 내균열성이 우수합니다. 대표적인 합금강은 KS표준 STS405, 430, 434 등이며, 세탁기, 보일러, 실내 건축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
4.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마르텐사이트 스테인리스강은 매우 단단하고 강한 특성을 가지지만, 오스테나이트 또는 페라이트 등급에 비해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1. 주제1 스테인리스강(STS)의 정의 및 분류스테인리스강은 철을 주성분으로 크롬을 12% 이상 함유하여 부식 저항성을 갖는 합금강입니다. 크롬의 산화막이 표면을 보호하여 녹슬지 않는 특성을 제공합니다. 스테인리스강의 분류는 금속조직 구조에 따라 오스테나이트계, 페라이트계, 마르텐사이트계, 이중상계 등으로 나뉘며, 각각 다른 물리적 성질과 용도를 가집니다. 이러한 분류 체계는 산업 현장에서 재료 선택의 기준이 되어 매우 중요합니다. 스테인리스강은 건설, 화학, 식품,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재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한 분류 이해는 최적의 재료 선택을 가능하게 합니다.
-
2. 주제2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크롬과 니켈을 함유하여 상온에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유지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입니다. 우수한 부식 저항성, 높은 인성, 우수한 용접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식품 기계, 화학 장비, 의료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됩니다. 특히 SUS304와 SUS316은 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등급입니다. 다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고 강도가 낮은 편이며, 응력부식균열에 취약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성능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면 각 산업 분야에서 최적의 재료 선택이 가능합니다.
-
3. 주제3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크롬 함유량이 높고 니켈 함유량이 낮거나 없는 특징을 가지며, 상온에서 페라이트 조직을 유지합니다. 오스테나이트계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강도가 높으며 내식성도 우수합니다. 자성을 가지고 있어 자석에 붙는 특성이 있습니다. 다만 용접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저온 인성이 낮은 편입니다. SUS430이 대표적인 등급으로 자동차 배기계통, 건축 외장재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경제성이 우수하여 대량 생산이 필요한 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재료입니다.
-
4. 주제4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크롬 함유량은 높고 니켈 함유량이 낮으며, 열처리를 통해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변환되어 높은 강도와 경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SUS420, SUS440C 등이 대표적이며, 칼날, 베어링, 펌프 부품 등 고강도가 필요한 용도에 적합합니다. 우수한 내식성과 높은 강도를 동시에 제공하지만, 용접성이 낮고 열처리 과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에 비해 인성이 낮아 충격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특정 고강도 응용 분야에서 필수적인 재료로 평가됩니다.
-
STS 304, S45C, AZ91HP의 미세조직 관찰 실험1. 스테인리스강(STS 304) STS 304는 Fe-base에 18Cr-8Ni 성분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입니다. 크롬 12% 이상 함유로 표면에 Cr2O2 피막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식성을 가집니다. 상온에서 등축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조직을 나타내며, 결정립계에 M23C6형 탄화물이 석출됩니다. 내식성, 내열성, 저온강도가 우수하고 열처리로 경화되...2025.11.16 · 공학/기술
-
금오공대 화학적 특성 평가 부식 보고서1. 부식 실험 이번 실험은 STS304, STS430, SS400 시편을 농도와 시간에 따라 부식시켜 반응 전과 후의 차이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실험 결과를 통해 HCl 농도에 따른 시편 변화, 스테인리스강과 탄소강의 부식 비교, 부식 속도 그래프 개형, 실험 전후 무게 변화 이유, 용액 색깔 변화, 기포 발생 이유 등을 알 수 있었다. 2. 스테인리스강...2025.01.18 · 공학/기술
-
부식 실험 보고서 22.10.09 18페이지
화학적특성평가부식실험 보고서교수님 :시간 :학 과 : 신소재공학부학 번 :이름 :제출일 : 2022.10.09.1. 실험제목탄소강과 스테인리스강의 부식2. 실험목적STS430, SS400, STS340에 염산의 농도와 시간을 다르게 하여 무게와 두께를 측정하고 부식 속도를 비교하고 분석한다.3. 관련 이론3-1) 부식이란?부식이란 화하적으로 금속이 표면에서 환경 성분과 반응하여 화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산화 또는 변질 되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금속이 수분이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 등의 작용으로 용해, 녹 등의 생성물을 만들어 ...2024.02.15· 18페이지 -
금속재료의 조직관찰 및 기계적 특성 예비보고서 26페이지
금속재료의 조직관찰 및 기계적 특성 평가목적재료의 특성은 그 재료의 구조에 기인한다. 따라서 재료가 나타내는 특성의 근원을 이해하고 이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재료의 미세조직 및 구조를 관찰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미세조직 관찰을 위한 시편 전처리 과정과 경도시험/인장시험을 통한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의 관계 및 미세조직의 변화와 재료의 물성 변화의 관계 이해한다.배경지식●탄소강, 합금강의 정의 및 용도탄소강(carbon steel)철과 합금으로 탄소 함량이 0.02~2.11%인 것을 말한다. 순철에 탄소를 넣어 철의 강도를 높인 합...2021.01.21· 26페이지 -
[재료공학실험]금속 재료의 인장 강도 시험 16페이지
금속 재료의 인장 강도 시험1. 시험 이론 및 원리가. 시험 배경재료의 인장에서 인장강도, 항복강도, 변형률, 단면수축률, 탄성한계, 비례한계, 포아송비, 탄성계수 등을 측정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시험을 인장시험(tensile test)이라고 한다. 인장시험은 공업용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알기 위한 기본적인 시험으로써 일정한 속도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대한 물질의 저항성을 측정하는 실험이다.재료강도에 관한 기본적인 설계 정보를 얻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된다. 이를 통해 공업용 재료의 변형 과정과 응력의 변화를 조사하며,...2022.04.16· 16페이지 -
고체역학설계실습 Metallurgical Microscope Test 실습레포트 A+ 17페이지
Metallurgical Microscope Test### ##########Class number : ##Team : ##20##.##.####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Abstract이 실험으로 금속 및 합금 재료의 미세구조를 분석하며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알아낼 수 있는데, 우리는 SM20C 시편을 대상으로 Polishing, Etching 과정을 수행하고 과정을 마친 후에 시편의 미세구조를 관찰하며 시편이 어떤 구조를 가지는지, 시편에 어떤 열처리가 ...2024.12.31· 17페이지 -
KS KC ISO 표준 기반 볼트 규격 정리 및 적용 14페이지
KS KC ISO 표준 기반 볼트 규격 정리 및 적용목 차 (Table of Contents)1. 일반 사항 (General Information)1.1 적용 범위 (Scope)1.2 인용 문서 및 표준 규격 (Applicable Documents and Standards)1.3 용어 및 약어 (Definitions, Acronyms and Abbreviations)2. 부품 설명 (Parts Description)2.1 적용 제품 (Applicable Products)2.2 부품 구성 및 명칭 (Composition Of Comp...2025.08.16· 14페이지
